유럽오소리
![]() | ||||||||||||||||
![]() 유럽오소리 | ||||||||||||||||
유럽오소리의 소리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Meles meles (Linnaeus, 1758) | ||||||||||||||||
![]() 유럽오소리의 분포 지역 |
유럽오소리(Meles meles)는 유럽 전역과 중동 일부 지역에 서식하는 족제비과 포유류의 일종이다.[2]
아종[편집]
- 서유럽오소리 (Meles meles meles) - 서유럽 전역
- 크레타오소리 (Meles meles arcalus) - 크레타 섬
- 남캅카스오소리 (Meles meles canascens) - 남캅카스
- 키즐랴르오소리 (Meles meles heptneri)
- 이베리아오소리 (Meles meles marianensis) - 스페인과 포르투갈
- 노르웨이오소리 (Meles meles milleri)
- 로도스오소리 (Meles meles rhodius)
- 페르가나오소리 (Meles meles severzovi)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Meles mele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8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8. 2009년 3월 21일에 확인함. Database entry includes a brief justification of why this species is of least concern
- ↑ Koepfli, Klaus-Peter; Deere, K.A.; Slater, G.J.; Begg, C.; Begg, K.; Grassman, L.; Lucherini, M.; Veron, G.; Wayne, R.K. (February 2008). “Multigene phylogeny of the Mustelidae: Resolving relationships, tempo and biogeographic history of a mammalian adaptive radiation”. 《BMC Biology》 6: 10. doi:10.1186/1741-7007-6-10. PMC 2276185. PMID 18275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