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외계의 지적생명탐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29번째 줄: 129번째 줄:
=== 소설·영화의 소재 ===
=== 소설·영화의 소재 ===
SETI의 활동은 [[공상 과학]] 소설과 영화의 소재가 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많은 SF 작품을 남긴 [[칼 세이건]] 원작의 소설 《[[콘택트 (소설)|콘택트]]》와 이를 영화화한 《[[콘택트 (영화)|콘택트]]》는 SETI의 공동 창립자인 질 타터 박사를 모델로 한 작품으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208213 ]박초롱《연합뉴스》2011-08-11</ref> 초반에 주인공이 외계 신호를 수신하면서 SETI가 등장한다.<ref name="정윤식"/> 영화《[[인디펜던스 데이]]》에서도 외계인이 발견되기 전 뉴멕시코 SETI 우주연구소가 등장한다.
SETI의 활동은 [[공상 과학]] 소설과 영화의 소재가 되었다. [[미국]]의 [[천문학자]]이자 많은 SF 작품을 남긴 [[칼 세이건]] 원작의 소설 《[[콘택트 (소설)|콘택트]]》와 이를 영화화한 《[[콘택트 (영화)|콘택트]]》는 SETI의 공동 창립자인 질 타터 박사를 모델로 한 작품으로<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001&aid=0005208213 ]박초롱《연합뉴스》2011-08-11</ref> 초반에 주인공이 외계 신호를 수신하면서 SETI가 등장한다.<ref name="정윤식"/> 영화《[[인디펜던스 데이]]》에서도 외계인이 발견되기 전 뉴멕시코 SETI 우주연구소가 등장한다.

=== 과학과 종교 간 논쟁의 요소 ===
{{참고|과학과 종교의 관계}}
과학과 종교의 논쟁은 인류의 역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져왔다. 종교는 믿음으로써 사실들을 검증하고, 과학은 사실로써 또다른 사실을 검증하려 하는 등 서로 대립하거나 상호 보완의 관계가 된다.

SETI 프로젝트는 [[진화론]]에 근거를 두고있어 정반대 개념이자 [[개신교]]와 [[이슬람교]]가 지지하는 [[창조론]]에 반대되는 활동으로 여겨저 이 논란의 요소로 자주 쓰여지고있다.<ref>[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50100730192209 과학 vs 종교…과학만 바라보는 인류의 미래는 없다]홍승수《프레시안》2010-07-30</ref>


== 비판 및 논란 ==
== 비판 및 논란 ==

2012년 2월 13일 (월) 04:09 판

이용자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한 분산 컴퓨팅으로 처리되고 있는 SETI@home 의 화면보호기 모습

SETI(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는 외계 지적생명체를 찾기 위한 일련의 활동을 통칭적으로 부르는 말이다. 인간은 오래전부터 외계 생명체에 대한 궁금증을 갖고있었고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직접 찾아 나서기 시작하였다. SETI 프로젝트는 그 일환이다. 외계 행성들로부터 오는 전자기파를 찾아거나 그런 전자기파를 보내서 외계생명체를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초에는 미국 정부의 후원을 받는 국가지원 프로젝트로 시작하였으나 별다른 성과가 없어 국가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고 지원이 축소되었다.[1] 현재는 SETI@Home 등을 통한 개인지원 및 수많은 과학자와 기업의 지원으로 수행되고 있다.[2]

배경

별들의 집합체인 은하

기원전(BC) 3세기,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에피쿠로스는 “우주는 무한하다. 그래서 우리가 모르는 생명체가 사는 곳도 수없이 많을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고대 로마의 시인 루크레티우스는 “우주 어딘가 우리 지구와 같은 것이 있어 사람이나 동물이 살고 있을 것”이라고 기록하였다. 중세 이탈리아 철학자 조르다노 브루노는 외계인설을 주창하다가 처형됐다.[3] 조선 중기의 실학자 홍대용은 '우주는 무한하고, 지구가 그 중심이 아닐 수 있으므로, 생각할 수 있는 생물이 지구에만 있지는 않을 것'이라고 추측했다.[4] 17ㆍ18세기에는 외계인에 대한 관심이 커져 네덜란드 물리학자 호이겐스 등 천문학자들은 외계인 구조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였다.[3] 이렇듯 인간은 오래전부터 외계 생명에 대한 관심과 논란이 있어왔다. 점차 우주론 및 생명의 진화론 등의 과학이 발달함에 따라 지구와 같이 생명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행성은 우주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드레이크 방정식에서 볼 수 있듯 그러한 가능성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증명하려는 노력은 계속되고있다. SETI 프로젝트는 과학적인 방법으로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찾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시행되고있다.[5]

드레이크 방정식

프랑크 드레이크 박사

드레이크 방정식은 인간과 교신할 수 있는 지적인 외계 생명체의 수를 계산하는 방정식으로, 1960년대 프랭크 드레이크 박사에의해 고안되었다. 이를 통해 지적인 외계 생명체의 수를 추측해 볼 수 있다.

드레이크 방정식의 변수는 7개이다. 이 중 6개까지의 계산은 확률 추정으로 계산해 볼 수 있다. 우리 은하계 내 별의 숫자를 추정 ○약 4000억 개, 별이 행성을 거느릴 갯수 추정 ○대개 10개 정도·확률 10%, 그 행성이 생물이 살기에 적합할 확률 ○10%, 생명이 탄생할 확률 ○10%, 지능이 진화할 확률 ○1%, 항성 간 통신기술을 개발할 확률 ○10% 을 곱한다. 400만 개라는 계산이 나온다. 다만 이 중 대부분은 우리 은하계 탄생 이래 100억 년이 흐르는 동안 멸망해 지금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마지막 일곱째 변수가 등장한다. ‘기술이 발달한 종은 얼마나 오래 살아 남는가?’이다. 평균 1000만 년이라면 현재 그런 문명이 4000개 정도 존재한다는 답이 나온다(400만 개×1000만 년/100억 년). 존속기간이 1만 년이라면 그 숫자는 4개로 줄어든다.[6]

이에 따라 부정적인 사람들은 1미만, 긍정적인 사람들은 100에서 1000개의 문명이 존재할 거라고 제시한다.[7]

전파의 구분

자연 발생 전파는 주기성이 없고 전파 강도나 파장 분포가 종을 거꾸로 엎어 놓은 것 같은 모양을 지니고 있다. 인공 전파는 주기성이 있고 파형이 변화할 수 있으며 특정 주파수 대에 국한 될 가능성이 높다. 이 차이는 전파를 보내거나 받을 때 자연 전파와의 구분을 가능하게 해준다.[8]

역사

연구소 설립 이전

파일:Arecibo naic big.gif
아레시보 천문대

1959년 주세페 코코니필립 모리슨의 논문은 마이크로파장을 이용한 탐색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려주었다.[9] 외계 생명체 전파 탐사는 1960년대 전파 망원경이 처음 천문학 연구에 쓰이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8] 1960년 4월 8일 프랭크 드레이크의 구상이 오즈마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아레시보 천문대를 통해 10년간 시행됐다. 표적은 생명 존재 가능성이 높아 보인 고래자리 타우 별과 에리다누스자리 엡실론 별 이었다.[8][10] 1961년 SETI의 첫 학술 모임이 미국에서 개최됐다. 이에 소련이 관심을 보였는데, 이는 미국, 소련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오시프 쉬클로브스키의 저서이자 이 분야의 선구자적 책인 “우주 내 지적 생명 (Intelligent Life in the Universe)"이 써지는 계기가 되었다.[11] 1971년 오즈마 2 프로젝트가 실시됐다. 전파 망원경을 이용해 5백시간 동안 6백 24개의 별을 대상으로 전파를 추적하는 프로젝트였다. 그러나 오즈마 프로젝트들은 모두 실패했다.[12][13] 1973년 12월 오하이오 주립 대학교The Big Ear 천문대를 사용하기 시작하면서 SETI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14] 1974년 11월 아레시보 천문대를 통해 메세지가 쏘아보내졌다. 이는 아레시보 메세지로 불리며[11] 목표는 허큘리스 대성단이었다. 1979년 버클리 대학교가 SETI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11] 1980년 칼 세이건, 브루스 머레이, 루이스 프리드먼은 SETI 연구를 위해 미국 행성협회를 창립했다.[11]

연구소 설립 이후

1974년 11월 SETI가 보낸 아레시보 메세지. 밑에서부터 망원경, 태양계, 인류에 대한 정보, DNA의 분자, 세포핵, 중요 화학 원소, 수의 표현

1984년 SETI 연구소가 설립되면서 미국 항공우주국미국 국립과학재단(NSF), 그리고 몇몇 연방정부의 후원을 받는 국가지원 프로젝트로 연장되었다.[15][10] 1985년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합류한 메타(META)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100만개 전파를 분석하는 것으로 1992년부터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도 지원에 합류하였다.[16] 1993년 미국 정부는 국가 예산 낭비라는 지적을 받아 지원을 축소했다.[1][10] 이에 활동이 멈출 위기에 있었으나 휴렛 팩커드(HP)의 창업자인 윌리엄 휴렛데이브 팩커드,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공동창업자 폴 앨런, 인텔고든 무어 회장 등 재계인사의 재정지원과 과학자들의 자원봉사가 이어져 다시 지속하게 되었다.[17] 1994년 62개국 1500명의 천문학자 회원들로 구성된 비영리 조직 SETI League가 출범하였다. 이들은 27개국 143개의 망원경을 네트워크화 하여 하늘 전체를 실시간으로 탐사하는 아르구스(argus) 프로젝트를 실시했다.[11][14] 1995년 메타 프로젝트는 '피닉스' 프로젝트로 바뀌었다.[16] 이는 200광년 거리 안의 약 1천개의 태양과 닮은 별에서 오는 전파를 조사하는 프로젝트다. 조사 전파는 1200 ~ 3000MHz의 마이크로파인데 이 대역이 자연적으로 생성 된 전파가 적기 때문에 외계 문명이 교신을 시도한다면 이 대역을 쓸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에서였다. 이 프로젝트는 2001년 까지 진행됐다.[18] 1999년 20광년부터 69광년 사이의 가까운 별들에 메시지를 보내기 시작하였다.[11] 1999년 5월 하루 2기가바이트씩 쏟아지는 전파 신호를 분석할 슈퍼컴퓨터는 용량이 부족해져 분산 컴퓨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SETI@Home을 만들어 개인의 지원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1995년 이후 계속된 행성 발견의 영향으로 관심이 높아져 4개월만에 전세계의 120만명에 육박하는 네티즌들이 참여하는 등 뜨거운 인기를 보여줬다.[19] 2001년 폴 앨런이 기부한 약 2500만 달러(약 280억 원)로 앨런 망원경 집합체 42개가 건설되어[10] 더의상 타 지역의 망원경을 빌리지 않게 되었다.[20] 2007년 햇크릭 천문대를 건설하여 활용하기 시작하였다.[21] 2011년 4월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의 기금 바닥으로 앨런 망원경 집합체는 운영이 중지되었다.[22][15] 2011년 12월 미 항공우주국(NASA)의 슈퍼지구 ‘케플러-22b'의 발견으로[23] 20만 달러의 기부금이 모여 운영이 재개되었다.[10]

방법

SETI의 방법에는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Passive SETI)와 수동적 외계 지능 찾기(Active SETI)가 있다.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는 외계로부터 보내오는 신호를 받아 그들의 존재를 확인하는 방법이며, 수동적 외계 지능 찾기는 외계인을 찾아 나서는 방법으로 외계인에게 메시지를 보내서 그들의 응답을 받는 방법이다. 능동적 외계 지능 찾기는 전파와 외계 문명이 쓸지 모르는 광파장 레이저를 고려한 빛을 이용한 탐사를 진행하고 있다. 수동적 외계 지능 찾기는 생명체 존재 가능성이 있는 슈퍼 지구 등 다양한 장소로 전파를 보내고있다.[11]

활용 전파

과거에는 물리적 전파(pulse)만 사용하였다. 최근에는 수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레이저 전파(laser pulse)나 레이저 플래시(laser flash) 등의 디지털 신호도 사용한다.[24]

시설

연구소

SETI 연구소(The SETI Institute)는 1984년에 설립된[15] 미국의 비영리 단체이다. 캘리포니아 주 마운틴 뷰에 위치하고있다.[17] SETI 프로젝트를 총괄한다.

천문대

앨런 망원경 집합체

앨런 망원경 집합체

앨런 망원경 집합체(Allen Telescope Array, ATA)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 동북 지역에 있는 전파 망원경 군집이다. 2001년 폴 앨런이 기부한 약 2500만 달러(약 280억 원)로 42개를 만들어 활용하기 시작하였다.[10] 이 망원경이 사용되기 전까지는 영국의 천문대와 아레시보 천문대를 빌려 1년에 20일만을 사용해왔다. 이 천문대는 외계 생명체로부터 발신됐을 가능성이 있는 500만개의 무선 주파수 신호를 탐지하고있다.[20]

햇크릭 전파 천문대

햇크릭 전파 천문대(Hat Creek Radio Observatory)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북쪽에 있는 천문대로 42개의 전파 망원경으로 구성되어있다. SETI 연구소와 캘리포니아대 SETI 연구팀이 건립했고 2007년 부터 가동되고있다. 목적은 외계 생명체 관찰에 있으며, 인간이 사용하지 않는 300Hz 이하의 주파수만 잡아낸다.[21]

세부 활동

행성협회

행성협회 설립자들

행성협회(The Planetary Society)는 천문학과 관련된 많은 연구활동을 하고 있는 NGO/비영리단체 이다. 이 단체는 1980년 칼 세이건, 브루스 머레이, 루이스 프리드먼에 의해 세워졌으며 전 세계 125개국에서 참여하고 있다. 목적은 "사람들에게 또다른 세상을 탐구하고 우리가 사는 세상을 이해하며 다른 곳의 생명을 찾아내도록 하자(To inspire the people of Earth to explore other worlds, understand our own, and seek life elsewhere.)" 이다.[25] SETI@Home을 비롯한 수많은 천문관련 프로젝트, 연구과제, 교육을 지원한다.

SETI@Home

Astropulse v5.05의 동작

1999년 5월 하루 2기가바이트의 전파 신호를 분석하던 SETI의 슈퍼컴퓨터는 용량이 부족하게 되어 분산 컴퓨팅 프로그램을 이용한 SETI@Home을 만들어 개인 지원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는 전세계에 퍼져있는 개인 컴퓨터에 분석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수신된 전파 데이터를 잘게 나누어 전송받아 분석한 결과를 취합함으로서 거대한 수퍼컴퓨터와 맞먹는 능력을 갖는 방식이다.[26] 이에 따라 전세계인이 분석에 참여 할 수 있게 되었다. 초기에는 1995년 이후 계속된 행성 발견의 영향으로 관심이 높아져 개방 4개월만에 전세계에서 120만명에 육박하는 네티즌들이 참여하는 등 뜨거운 인기를 보여줬다.[19] 2012년 2월 전 세계 약 15만명의 유저가 활동 중이며, 초당 평균 604테라플롭스의 부동 소수점 연산을 기록하고 있다.[27]

최초에는 SETI@Home의 분석을 위한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나 2005년 BOINC(Berkeley Open Infrastructure for Network Computing)라는 분산컴퓨팅을 위한 플랫폼의 한 프로젝트로 참여하고 있다. 기존의 SETI@Home은 구분을 위하여 SETI@Home Classic 이라 불리고 있다.

발견

Wow! signal

제리 R. 이만의 당시 로그 종이

1977년 8월 15일 밤, 세티 프로젝트의 일반 참여자이자 대학 교수였던 제리 R. 이만은 탐지된 전파의 컴퓨터 로그를 프린트해 분석 하던 중 특별한 신호를 발견하고 놀라 종이에 Wow! 라고 적어 Wow! Signal 이라고 불려지고 있다.

이 신호는 외계 신호일 가능성이 있는 강한 협대역 신호이다. Big Ear telescope에서 72 초간 수신되었다. 위치는 궁수자리 안쪽이다. 그러나 지적 외계 생명체의 신호임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복적인 신호 수신이 이루어 져야하는데 이 신호는 그 이후로 발견되지 않았다.[11]

여전히 이 신호의 정체는 논란으로 남아있다.[11]

2008년 레이저 신호

2008년 12월 호주에서 평소보다 100배 이상 강한 레이저 신호가 수신됐다. 이에 대해 SETI의 라비르 바탈 박사는 “기계적 결함이나 우주에서 온 무의미한 광학 잡음일 수도 있지만 외계 문명이 보낸 메시지일 가능성도 있다. 중요한 것은 단 한 번도 이 같은 신호가 관측된 적이 없었다는 점이다.”라고 말하였다.[24]

영향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의 발전

BOINC를 통해 분석되고있는 Rosetta@homeClimateprediction.net의 그래픽 화면

SETI 이후 이를 벤치마킹한 프로젝트가 수학, 의학, 분자 생물학, 기후학, 천체물리학 등의 다양한 분야에서 생겨났다.[28][29] 더불어 SETI@home을 위해 만들어진 분산 컴퓨팅 프로그램인 BOINC는 후에 생겨난 일부 타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에게 제공되어 시너지 효과를 내게 되었다.[30] 2006년 엔비디아그래픽 처리 장치를 분산 컴퓨팅에 이용하게 해주는 CUDA를 내놓았다.[31] 2008년 AMDATI 스트림(Stream)을 내놓았다.[32] 이에 CPU로만 가동되던 분산 컴퓨팅은 GPU을 함께 활용함으로써 이전보다 20배 더 빠른 속도를 갖게 되었다.[31][29] 전파 분석을 통해 중력파를 찾아내어 중성자별블랙홀을 확인하는 Einstein@Home이 2010년 빠르게 회전하는 펄서 `PSRJ2007+2722`를 처음으로 발견하는 등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의 효과는 점차 보여지고있다.[33] 2012년 2월 BOINC를 통해 이뤄지는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는 70개에 육박하고 있다.

소설·영화의 소재

SETI의 활동은 공상 과학 소설과 영화의 소재가 되었다. 미국천문학자이자 많은 SF 작품을 남긴 칼 세이건 원작의 소설 《콘택트》와 이를 영화화한 《콘택트》는 SETI의 공동 창립자인 질 타터 박사를 모델로 한 작품으로[34] 초반에 주인공이 외계 신호를 수신하면서 SETI가 등장한다.[10] 영화《인디펜던스 데이》에서도 외계인이 발견되기 전 뉴멕시코 SETI 우주연구소가 등장한다.

과학과 종교 간 논쟁의 요소

과학과 종교의 논쟁은 인류의 역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를 가져왔다. 종교는 믿음으로써 사실들을 검증하고, 과학은 사실로써 또다른 사실을 검증하려 하는 등 서로 대립하거나 상호 보완의 관계가 된다.

SETI 프로젝트는 진화론에 근거를 두고있어 정반대 개념이자 개신교이슬람교가 지지하는 창조론에 반대되는 활동으로 여겨저 이 논란의 요소로 자주 쓰여지고있다.[35]

비판 및 논란

인간이 살고 있는 지구와 달

낭비

SETI 프로젝트는 어떠한 성과도 이루어 내지 못하고있어 미국 내에서 돈과 시간 낭비라는 비판을 받고있다.[36]

하버드대 동물학자 언스트 메이어는 "우리는 꿈이 아닌 현실을 다뤄야 한다. SETI는 희망없는 시간낭비일 뿐이다"라고 말하였다.[37]

지구인 노출

우주로 지구인의 메세지를 보내는 수동적 외계 지능 찾기 방법은 적대적이고 위험한 외계인에게 지구 인류를 노출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있다.[38]

탐사 방향

천체물리학자이자 캘리포니아주립대 명예교수인 그레고리 벤포드 어바인과 물리학자 제임스 벤포드 쌍둥이 형제는 "외계 생명체가 SETI 프로그램이 찾고 있는 지속적인 전방향 신호에 비해서 비용이 최적화되고 좁고 집중된 신호를 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지향성 깜빡 신호로 '벤포드 신호'로 불린다. 또 "SETI의 탐사는 새로 형성된 은하 가장자리 보다 우리의 은하, 특히 별의 90퍼센트가 몰려 있고 10억년 정도가 더 오래된 중심부에 집중돼야 한다"고 지적했다.[39]

구탄 행성 우주선 접근 루머

2010년 12월 22일 러시아 일간지 '프라우다'(Pravda)는 SETI의 보도를 인용해 "3대의 거대한 우주선이 지구를 향해 다가오고 있다. 이 우주선들은 현재 명왕성 궤도 너머에 있으며 곧 화성 궤도까지 도달할 것이며, 우주선 3대 중 가장 큰 것은 지름이 240km에 이른다."고 보도하였다.[40] 이에 네티즌들이 트위터를 통해 SETI에 문의한 결과 SETI 측은 "유감이지만 사실이 아니다!"라며 보도를 부인한 것으로 알려졌고, SETI 홈페이지에서도 이에 관한 발표 내용을 전혀 찾을 수 없었다.[41][42]

그러나 힐러리 클린턴이 외계인과 관계를 맺었다거나 사담 후세인오사마 빈라덴이 연인이라는 기사, 고인이 된 엘비스 프레슬리가 햄버거가게에서 나오는 합성사진보도 등 출처나 정보 입수 경로가 명확하지 않은 내용을 담기로 유명한 신문인 미국 위클리월드뉴스[43]2012년 2월 6일, 스웨덴 해저탐험대가 발트 해 바다 아래에서 UFO를 발견했다는 2011년 7월 말, 2012년 1월 말 보도를 근거로[44][45] "발트해 심해에서 우주선이 발견돼 UN이 전문가들을 급파했다. 현재까지 29대의 우주선이 목격됐다. 외계의 구탄행성에서 우주선이 날아와 지구를 공격할 것."이라고 보도하였다.[46] 이 정보는 대한민국에 전해져 네티즌들 사이에서 지구종말론과 함께 거론되는 등 논란이 되었다.[47]

미래

가상으로 그린 외계인

현재는 어떠한 증거물도 없기에 오직 추측만으로 미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드레이크 방정식에 따른 지적 생명체의 수 논란과 같이 개인의 신뢰에 따라 인간을 우주 유일의 지적 생명체로 보기도 하고, 지구의 인간의 존재를 증거로 들어 가능성을 이야기 하기도 한다. 이 논란의 진실에 따라 SETI의 미래가 좌우될 것이다.

부정적 입장

하버드 대학교 천체물리학자 하워드 스미스 교수는 당시인 2011년 1월 까지 발견된 행성 500개 대부분의 환경이 극단적인 점을 들어 "이런 정보는 우리가 사실상 지구에서 유일하게 혼자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은 지구가 유일할 것이며 타 행성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처럼 생명에 적대적이다"고 말하였다.[48]

긍정적 입장

하버드 대학교 천문학자 디미타르 사세로브 교수는 "드레이크 방정식의 계산으로 보아 은하수에는 최대 10개의 발달된 외계인 사회가 있을 수 있다. 지구와 같은 행성들이 실제로 매우 많을 것"이라고 말하였다.[48]

SETI 연구소의 천문학자 세스 쇼스탁(Seth Shostak)은 2010년 8월 BBC 뉴스에 출연해 “우리가 접하게 될 전파가 우리 같은 생명이 아니라 인공지능이 보낸 것일 가능성이 크다”라고 말하였다. 이는 전파 신호를 보내고 우주 여행을 하는 단계에 이른 문명은 인공 지능을 만들어낼 가능성이 크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6]대기원시보 등의 언론 보도에 따르면 세스 쇼스탁 박사는 학술대회에서 “드레이크 방정식에 따르면 우리는 25년 안에 외계인을 만날 것이며 인류가 외계인과 교신에 성공해도 그들의 과학수준이 너무 높아 신호를 이해하기 힘들 것”이라고 추측하였다.[49]

2010년 4월 스티븐 호킹 박사는 “외계인들은 고향별의 모든 자원을 소진하고 식민지로 삼을 별을 찾아다닐 것으로 상상되며, 이들을 만나는 것은 우리에게 재앙이다”라고 말하였다.[49]

함께 보기

주석

  1. “Petition to Restore NASA SETI Funding” (영어).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2. “SETI Institute Sponsorship” (영어).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3. 풀리지 않은 수수께끼. 외계인 논란 BC 3세기부터 있었다천예선《헤럴드경제》2010-12-03
  4. 김정훈. "ET의 존재를 주장한 조선 과학자, 홍대용"김정훈《한겨례》2007-04-25
  5. “SETI Institute FAQ - Background and Rationale” (영어).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6. 우주엔 인류뿐인가? 글리제 581g에서 답 찾아라조현욱《중앙sunday》2010-12-05
  7. 우종학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김성원《국민일보》2010-12-12
  8. E.T 탐사작전 어디까지...강신구《경향신문》1983-03-09
  9. Giuseppe Cocconi, Philip Morrison (1959년 9월 19일). "Searching for Interstellar Communication," Nature, 184, 844 (1959)”. 
  10. ‘ET 찾기’ 프로젝트 살아났다정윤식《동아일보》2012-01-31
  11. 외계인을 찾는 사람들 1.50여년 동안 계속 되고있는 '외계 지능 찾기'신홍식《인터뷰365》2009-07-22
  12. 외계지적생명탐색(SETI) 계획일지《한겨례》1996-08-08
  13. "외계 생명체를 찾아라"이태희《한겨례》1996-08-08
  14. Jodrell Bank Centre for Astrophysics. “Overview and History of SETI”. 
  15. SETI 외계인 추적 프로젝트 기금 부족으로 중단... 도움 호소《이티뉴스닷컴》2011-04-27
  16. 태초에 전파가 있었다이은용《이티뉴스닷컴》2008-08-05
  17. 외계문명 전파탐사 민간기구가 계속키로《연합뉴스》1994-01-17
  18. 새 천년,새 세기를 말한다 (24) 제2부 과학기술의 도약 와계 생명체 신호 어딘가 있다신동호《한겨례》1998-11-09
  19. 전세계 네티즌 외계생명체를 찾아라김미경《한겨례》1999-09-06
  20. "외계인 탐사는 인류 최대의 벤처"김병찬《한국일보》2000-08-06
  21. 햇크릭 천문대 HatCreek Observatory안동수《매일경제》2010-12-06
  22. SETI Institut CEO, Tom Pierson (2011년 4월 22일). “Status of the Allen Telescope Arra” (PDF). 
  23. 물 존재, 지구같은 행성발견...기온 22℃.지디넷.2011.12.06.
  24. ‘외계인의 메시지?’ 호주서 수수께끼 전파 수신김상기《국민일보》2009-05-18
  25. “Who We Are”. 2010년 10월 14일에 확인함.  다음 글자 무시됨: ‘ The Planetary Society ’ (도움말)
  26. ‘참여 네티즌’ 슈퍼컴퓨터 부럽잖네오철우《한겨례》2005-02-01
  27. “BOINCstats”. 2012년 2월 10일에 확인함. 
  28. 정통부, '코리아앳홈' 사업 추진서양원《매일경제》2002-01-30
  29. 엔비디아 GPU, 새로운 펄서(Pulsar) 발견에 활용《케이벤치》2011/03/03
  30. 외계인 찾기 한 번 도전해 보세요이상은《한국경제》2008-01-11
  31. 엔비디아 GPU 기반 슈퍼 컴퓨터 현황과 전망이주석《아크로펜》2009-07-13
  32. GPU 컴퓨팅 기반의 Avivo 비디오 컨버터 공개예정이우용《케이벤츠》2008-11-17
  33. 개인 컴퓨터의 놀라운 성과…"중성자별도 찾았다"《매일경제》2010-08-13
  34. [1]박초롱《연합뉴스》2011-08-11
  35. 과학 vs 종교…과학만 바라보는 인류의 미래는 없다홍승수《프레시안》2010-07-30
  36. “외계인은 응답하라, 오버!”이정호《주간동아》2009-10-14
  37. 불가능에 도전하는 외계 지적생명체 탐사《경향신문》1997-02-22
  38. 외계에 인류문명 알리기 첫 시도, 25주년이주영《연합뉴스》1999-11-16
  39. "SETI, 외계신호 찾으려면 주파수 바꿔야"《연합뉴스》2010-07-22
  40. Three giant spaceships to attack Earth in 2012?《프라우다》2010-12-22
  41. SETI Institute, Senior Astronomer, Dr. Seth Shostak. “Internet Rumor of Inbound 2012 Spaceships Untrue”. 
  42. SETI, 외계우주선 접근설 부인…사실 아니다백종모《엑스포츠뉴스》2010-12-29
  43. '구탄행성' 우주선 발견, 지구 침공?이지영《머니투데이》2012-02-07
  44. 스웨덴 해저탐험대 “바다에 침몰한 UFO 발견”강경윤《나우뉴스》2011-07-30
  45. 발트해에서 UFO 잔해 또 포착?《매일경제》2012-01-31
  46. 구탄행성이 뭐길래..`UFO, 지구 침략?`김상화《이데일리》2012-02-07
  47. 구탄행성 "거대한 우주선 29척 지구 착륙?", "이게 무슨 귀신…"《부산일보》2012-02-07
  48. 우주엔 `외계인` 살 수 없다? 주장 제기돼《매일경제》2011-01-24
  49. “2035년 외계인 만난다“…방정식 적중?김태정《지디넷코리아》2010-08-22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