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호킹
![]() Stephen William Hawking | |
![]() 1980년대의 스티븐 호킹 | |
![]() | |
출생 | 1942년 1월 8일 잉글랜드 옥스퍼드셔 주 옥스퍼드 |
---|---|
사망 | 2018년 3월 14일 (76세) 잉글랜드 케임브리지셔 주 케임브리지 자택에서 별세 |
분야 | 이론물리학 |
소속 | 케임브리지 대학교 |
출신 대학 |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
지도 교수 | 데니스 윌리엄 시아마 (Dennis William Sciama) |
지도 학생 | 래피얼 부소(영어: Raphael Bousso) 게리 기번스 돈 페이지(영어: Don N. Page) 레몽 라플람(프랑스어: Raymond Laflamme) |
주요 업적 | 호킹-펜로즈 특이점 정리(Hawking–Penrose singularity theorem) 호킹 복사 하틀-호킹 상태(Hartle–Hawking state) 기번스-호킹-요크 항 |
수상 | 대니 하이너먼 수리물리학상(1976) 특별 기초물리학상(2012) |
종교 | 무종교(무신론자) |
배우자 | 제인 와일드 호킹(1965 ~ 1995, 이혼) 일레인 메이슨(1995 ~ 2006, 이혼) |
자녀 | 2남 1녀 |
1963년경 루게릭병 판정을 받아 휠체어에 앉아 생활함. |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CH, CBE, FRS, 1942년 1월 8일 ~ 2018년 3월 14일)은 영국의 이론물리학자이다. 그는(특히, 블랙홀이 있는 상황에서의) 우주론과 양자 중력의 연구에 크게 기여했으며, 자신의 이론 및 일반적인 우주론을 다룬 여러 대중 과학 서적을 저술했다. 그 중에서도 시간의 역사는 영국 런던 선데이 타임즈 베스트셀러 목록에 최고 기록인 237주 동안이나 실려서 화제가 된 적도 있다. 2009년까지 케임브리지 대학교 루커스 수학 석좌 교수로 재직하였다.
호킹은 21살 때부터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루게릭병)을 앓는 바람에, 휠체어에 의지하며 생활했다. 그의 중요한 과학적 업적으로는 로저 펜로즈와 함께 일반상대론적 특이점에 대한 여러 정리를 증명한 것과 함께, 블랙홀이 열복사를 방출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는 호킹 복사 혹은 베켄슈타인-호킹 복사로 불린다.
생애[편집]
학창 시절[편집]
스티븐 호킹은 1942년 1월 8일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세상을 떠난지 300주년이 되는 날에 태어났다. 그의 가족은 책을 정말 좋아하는 그를 책벌레라고 불렀으며, 그는 과학자가 되겠다는 결심을 한다.
옥스퍼드 대학교와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학업을 이어간 호킹은 대학에서 조정 선수로 활동할 정도로 건강했으나,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계단을 내려가던 중 중심을 못 잡고 쓰러졌고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병원으로 이송된 그는 루게릭병 진단을 받게 되었다. 의사에게 앞으로 2년 밖에 못산다는 말을 들었음에도 연구를 계속하였다. 병세가 악화되어 기관지 절제 수술을 받은 후 얼굴의 움직임을 이용해 문장을 만들어 말로 전달하는 장치를 써서 의사소통을 하게 된다.
이후 연구 활동[편집]
호킹은 32살이던 1974년 5월 2일 왕립학회에 역사상 가장 젊은 회원으로 추대된다. 왕립학회에는 새로 선출된 회원들이 직접 걸어 나가 명부에 자신의 이름을 적는 전통이 있었다. 하지만 이미 걷기는 물론, 글씨도 제대로 쓸 수 없었던 스티븐 호킹에게는 매우 힘든 일이었는데, 당시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이자 학회장이었던 엘런 호드킨이 명부를 밑으로 가져간 후, 스티븐 호킹이 힘겹게 서명을 하자, 우레 같은 함성이 터져 나왔다고 한다.
사망[편집]
2018년 3월 14일 케임브리지에 있는 자택에서 76세로 사망하였다.[1][2]
사망 원인[편집]
스티븐 호킹이 단순 노화로 사망한 건지 루게릭병 때문에 사망한 것인지 아직 분명하지 않다. 스티븐 호킹이 걸린 병이 루게릭병이 아니라는 주장과, 그의 DNA에 루게릭병을 막는 무언가가 있다고 주장이 있다.
주요 저서[편집]
- 1988년 《시간의 역사》 ISBN 89-7291-197-6
- 1997년 《시간과 공간에 관하여》 ISBN 89-7291-158-5
- 2001년 《호두껍질 속의 우주》 ISBN 89-7291-301-4
- 2005년 《짧고 쉽게 쓴 시간의 역사》 (A Briefer History of Time) ISBN 89-7291-405-3 (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와 공저)
- 2010년 《위대한 설계》
상훈[편집]
- 1975년 영국 왕립천문학회 에딩턴 메달
- 1975년 로마 바오로 6세 피우스 3세 메달
- 1976년 영국 왕립학회 휴즈 메달
- 1982년 영국 대영 제국 훈장 3등급(CBE)[3]
- 1985년 영국 왕립천문학회 골드 메달
- 1988년 이스라엘 울프 재단 울프 물리학상
- 1989년 영국 컴패니언 오브 아너(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CH)[4]
- 1999년 미국 줄리어스 에거드 릴리엔펠트상
- 2002년 아벤티스 과학 서적상(《호두껍질 속의 우주》)
- 2009년 미국 대통령 자유 훈장
같이 보기[편집]
- 이론물리학
- 우주론
- 양자 역학
- 로저 펜로즈
- 왕립학회
- 루커스 수학 석좌 교수
- 근위축성 측색 경화증
- 사랑에 대한 모든 것 (2014년 영화)
각주[편집]
- ↑ 김연숙 (2018년 3월 14일). “'루게릭병 극복' 세계적인 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타계(종합)”. 《연합뉴스》 (서울). 2018년 3월 1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16일에 확인함.
- ↑ u.a. (2018년 3월 14일). “Stephen Hawking: Tributes pour in for 'inspirational' physicist”. 《BBC NEWS》 (영어). 2018년 3월 1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3월 16일에 확인함. ISBN 978-89-509-1350-2 1978.04.27
- ↑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82 New Year Honours”. 《The Gazette》 (영어) (런던) (48837): 8. 1981년 12월 30일.
- ↑ “Supplement to The London Gazette: 1989 Birthday Honours”. 《The Gazette》 (영어) (런던) (51772): B18. 1989년 6월 16일.
외부 링크[편집]
위키백과 자매 프로젝트에서 “스티븐 호킹”에 관련된 문서를 찾을 수 있습니다. | |
---|---|
![]() |
위키낱말사전 — 사전적 정의 |
![]() |
위키책 — 교과서 |
![]() |
위키인용집 — 인용구 |
![]() |
위키문헌 — 원문 |
![]() |
위키뉴스 — 뉴스 기사 |
![]() |
위키미디어 공용 — 이미지와 미디어 자료 |
![]() |
위키스피시즈 — 생물 분류 도감 |
![]() 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을 통해 촬영한 우주의 구조 |
우주 · 대폭발 우주의 나이 우주의 역사 우주의 종말 |
초기 우주
|
- 스티븐 호킹 - 공식 웹사이트
- O’Connor, John J.; Edmund F. Robertson (2009년 9월). “스티븐 호킹”. 《MacTutor History of Mathematics Archive》 (영어). 세인트앤드루스 대학교.
- “스티븐 호킹”. 《수학 계보 프로젝트》 (영어). 미국 수학회.
- (영어) 스티븐 호킹 - 인터넷 영화 데이터베이스
- 1942년 태어남
- 2018년 죽음
- 스티븐 호킹
- 잉글랜드의 물리학자
- 잉글랜드의 천문학자
- 우주론자
- 잉글랜드의 무신론자
- 미래학자
- 이론물리학자
- 천체물리학자
- 20세기 철학자
- 21세기 철학자
- 대영제국 훈장 사령관
- 왕립학회 회원
- 케임브리지 대학교 교수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홀 동문
- 옥스퍼드 대학교 유니버시티 칼리지 동문
- 옥스퍼드 출신
- 미국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
- 코플리 메달 수상자
- 대통령 자유 훈장 수상자
- 울프상 물리학 부문 수상자
- 교황청 과학원의 회원
- 영국의 장애인
- 지체 장애인
- 잉글랜드의 회고록 작가
- 장애인 과학자
- 스코틀랜드계 잉글랜드인
- 20세기 천문학자
- 21세기 천문학자
- 잉글랜드의 SF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