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리히 폰 만슈타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2.171.58.154 (토론)님의 2015년 9월 30일 (수) 15:58 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출생지 베를린
사망지 바이에른 주 이르센하우젠(Irschenhausen)
복무 나치 독일
복무기간 1906년 ~ 1944년
최종계급 육군원수
지휘 18 보병사단
38 보병군단
56 기갑군단
11군
돈 집단군
남부집단군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기타 이력 전후 서독 육군의 고문역을 맡음
서훈 백엽 검 기사십자장

에리히 폰 만슈타인(독일어: Erich von Manstein, 1887년 11월 24일 ~ 1973년 6월 10일)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 육군의 장군이다. 주로 구데리안과 함께 전격전의 주창자이고, 후에 연합국 전쟁사가로부터 가장 유능한 독일군 지휘관 중 한 명이라고 평가받았다. 독소전쟁 당시 동부전선의 독일군 지휘관들은 히틀러가 사령관을 겸임하고 있던 기존의 육군 총사령부(OKH)에서 동부전선 총사령부를 따로 설치할 것을 원했고 총사령관으로서 만슈타인을 염두에 두고 있었지만, 아돌프 히틀러동부 전선에 대한 전략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어 1944년 3월에 해임되었다.

성장과정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1887년 11월 24일 대대로 군인을 배출한 프로이센 귀족 가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에두아르트 폰 레빈스키(1829년 ~ 1906년)도 독일 제국의 군인으로서 포병대장으로 퇴역하였다. 이런 가정환경속에 만슈타인은 어릴적부터 직업군인의 길을 생각했을지도 모른다. 원래 이름은 프리츠 에리히 폰 레빈스키였으나 어머니 헬레네 폰 슈베린크(1847~1910)의 누이 헤드비히 폰 슈베린크가 게오르그 폰 만슈타인 중장과 결혼했으나 슬하에 자식이 없어 그녀에게 에리히 폰 레빈스키가 태어나면 양자로 달라고 해서 양자로 보내지게 되었다. 그래서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폰 레빈스키-폰 만슈타인이라는 양쪽의 성을 갖게 되었다.

부친이 프로이센의 장군이었으며, 그전에 2명의 조부도 장군이었다. 어머니측의 숙부는 파울 폰 힌덴부르크와 혼인 관계에 있었다. 만슈타인은 이미 태어날때부터 출세가 보장되었던 것이다. 만슈타인은 당시 독일제국령이었던 프랑스슈트라스부르크의 중학교를 1894년에 입학해 1900년 프로엔과 그로스 리히터펠데(베를린)의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해 1906년 3월 3근위보병연대에 사관후보생으로 입대하여 1907년 1월 소위에 임명되었다. 사관학교시절 빌헬름 황태자의 결혼식에 참석하여 러시아 황녀의 시중을 들기도 했다.

여기서 만슈타인은 뛰어난 상관의 참모로 일하게 되었다. 그 상관의 이름은 폰 로스베르크장군이었다. 1917년 새로운 종심방어진형을 제출한 인물이었다. 만슈타인에게는 아주 즐거운 경험이었다고 한다. 만슈타인은 참모를 경험한 후 1913년 10월 베를린의 육군 대학에 입학했다. 동기생으로는 독일 기갑사단을 육성했던 하인츠 구데리안이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과 전간기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자 예비근위연대의 연대부관이 되어 출정하여, 그 후 참모장교로 근무했다. 처음에는 서부전선에 있다가 후에 동부 전선에 종군하게 되었고, 1914년 11월에 폴란드에서 중상을 입었다. 1915년 5월 1군 사령부의 연락장교로 복귀하고, 다시 2군 사령부 참모장교가 되었다. 여름의 폴란드 북부공세, 가을부터 다음해까지 이어진 세르비아 전투에도 참가했었다.

1916년 서부전선의 베르됭 전투솜므 전투에 참가했다. 1917년 봄의 에느 강 전투에 참가후 가을에 4기병사단 사령부의 작전주임참모가 되었고, 다음 해 서부 전선에 돌아와 213보병사단 작전주임참모로 여름 공세에 참가했다가 종전을 맞이했다.

제1차 세계 대전 패전 후 다수의 직업군인이 실직하는 동안 만슈타인은 다행히 군에 남을 수 있었다. 특히 1925년 볼가강에서 이루어진 독-소 연합 훈련에서 주코프나 바실리예프스키 같은 소련군 차세대 주자들과 전술훈련 및 전략 토론등을 하였다. 이후 대폭 축소된 국방군 속에서 직업군인으로서 약간 늦은 승진을 거듭한 만슈타인은 아돌프 히틀러의 나치당이 대두하여 독일의 재군비를 진행한 1935년 7월 육군참모본부 제1과장에 임명되어 작전부분의 책임자가 되었다. 이때 히틀러를 필두로 국방군 내에서 유태인계 숙군 작업이 시작되었다. 폰 프리치나 폰 볼롬베르크 모두 이에 동조하는 형편이었다. 이에 만슈타인은 이 두 원수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전우애와 군사기술 함양보다 유태인 숙청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최근 국방군 작태를 비판하였다. 폰 만슈타인은 육군참모본부에서 능력을 발휘해 서서히 두각을 나타냈다. 1936년 보병소장으로 승진해 육군참모본부 제1참모차장이 되었다. 이후 오스트리아 병합작전, 수테텐 병합작전, 체코슬로바이카 병합작전 등 각종 작전을 거의 혼자 수립하여 실행시켜 성공을 보임으로써 작전 분야의 제 1 전문가로 부상한다. 하지만 상관인 베르너 폰 프리치 상급대장의 스캔들 사건의 여파로 슐레스비히에 있던 제18보병사단장으로 좌천되었다. 그의 딸은 '아버지는 스캔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그를 존경했으나 괴로움에 베를린의 저택을 처분했다.'고 회상했다.

프랑스 침공

1939년 9월 제2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마자 남부집단군 사령관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상급대장의 곁에서 집단군 참모장으로서 폴란드 침공작전에서 활약하기 시작했다. 폴란드 전역이 독일의 승리로 종결된 후 만슈타인은 룬트슈테트 휘하에 있다가 서부전선으로 옮겼다. 독일 참모본부는 1940년 프랑스 침공을 위해 제1차 세계 대전의 슐리펜 계획을 답습한 작전안을 작성하자, 만슈타인은 이 작전의 문제점을 간파하고 대신 기갑전력에 의한 돌파를 기본으로 한 작전안을 제출했다.

만슈타인의 작전안은 대다수 독일 장군 뿐만 아니라 참모본부 상층부에서 거부하여, 결국 만슈타인은 동부전선으로 좌천되게 되었다.

이 때 우연찮게 만슈타인이 이 작전안을 알게 된 히틀러는 만슈타인의 작전안에 제시된 지역인 스당에 집중하게 되었다. 스당은 1870년 보불전쟁 때 거의 완벽한 3면포위가 이루어진 곳이고, 1차 대전때도 히틀러 그 자신이 병으로 돌파했던 지역이었다. 그는 작전의 핵심을 알기보다는 자신의 취향에 맞아보이는 이 작전안을 한번 들어보자는 심정에, 곧 자신에게 신고하고 동부전선으로 만슈타인 전출되어갈 때, 만슈타인으로부터 이 작전에 대해 물어나 보기로 한다. 이때 만슈타인은 훗날 지헬슈니트라 불리는 이 작전을 히틀러 마음에 심었고, 감명받은 히틀러는 이 작전을 정식 채용한다. 무엇보다 만슈타인은 작전 개시 이전에 서부 전선의 부대에서 구데리안과 지속적인 접촉을 하고 있어서, 자신이 작성한 작전계획이 실행으로 옮겨질 수 있는 가장 든든한 동지와 히틀러를 설득시키고, 일정 수준 참모본부 중 일부 장군들의 이해를 구할 수 있었다.

자신의 작전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단, 12군에 의한 제2차 지헬슈니트를 위한 남부 프랑스 타격에는 한계) 서부전역에서 만슈타인은 스당에서 결정적인 돌파가 이루어진 다음 전선에 복귀하여, 38보병군단장으로서 1940년 5월에 시작한 서쪽으로 진격에서도 급진격했던 에르빈 롬멜7 기갑사단에 근접해서 보병을 전진시키는 훌륭한 전투를 지휘해 보였다. 실전지휘관으로서 만슈타인의 뛰어난 능력을 히틀러가 인정한 것은 당연한 것이었다.

독소전쟁

바르바로사 작전

1941년 6월 바르바로사 작전 개시와 더불어 만슈타인은 북부집단군56기갑군단장으로서 공격의 선두에 섰다. 이리메니 강변의 전투에서 전차에 의한 기습으로 전공을 세워 전장에서도 그 진가를 발휘했다. 이 전쟁은 장기화되면 독일에게 불리하다는것을 확신한 만슈타인은 휘하의 기갑군단을 한순간도 쉬게 하지 않고 전진시켰다.

KV-1 중전차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소련 전차부대가 전선에 나타나 독일군에게 반격을 가했다.만슈타인은 Flak18 88mm 대공포의 수평사격과 기동력이 우세한 아군 전차 집단에 의한 포위사격을 명령했다. 이에 더해서 보병의 육탄공격과 합쳐 싸운 결과 만슈타인의 부대는 29대의 KV-1을 합해 전차 200대를 격파하고 소련군의 방위선을 돌파했다. 정신부대가 퇴각하는 소련군을 쫓아넘어간 도비나강에 있던 교량을 확보한 후에 계속해서 만슈타인의 본대가 도하하여 맞은편 교두보를 확보하는것에 성공한다.


이후 진격이 더 놀라운데, 56기갑군단은 4일간 320km를 전진하여, 순식간에 발트 3국 지역을 통과해 전략적으로 레닌그라드와 스몰렌스크를 압박할 수 있는 지점까지 기동을 한 것이다. 물론 이 과정에서 낙오된 KV 전차 1대가 56기갑군단 소속 제 6 기갑사단의 진격을 22시간 동안이나 막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4일동안 기갑군단이 320km를 전진해 주변 소련군 부대를 거의 와해 시켜버렸다.

1942년 5월 5일 기준 진격 지도

세바스토폴 포위전

만슈타인은 이미 포위한 레닌그라드에 돌입하려고 했으나, 히틀러는 전선정리를 해야한다는 이유로 정지를 명령했다. 만슈타인의 부대는 6일간 다리에 묶여있게 되었다. 1941년 9월 만슈타인은 남부집단군 11군 사령관으로 전출하여 크리미아 반도세바스토폴 공방전을 지휘했다. 이 전장에서 소련군이 독일군 배후에 역으로 상륙하여 일시적으로 고전을 면치못했으나 만슈타인은 전선을 일단 축소하여 전력을 집중시킨뒤 반격으로 전환해 이것을 일거에 격멸시키는것에 성공해 뛰어난 전술능력을 보여주었다. 견고한 요새를 공격하기 위해 각 방면군에서 80cm 열차포 구스타프를 포함한 1,300문의 화포를 모두 모아 집중사격을 퍼부어 요새의 방어망을 분쇄해서 소련 해군흑해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던 기지를 점령했다. 1942년 7월, 이 전공으로 만슈타인은 원수로 승진하고 히틀러의 신임을 얻었다.

겨울천둥작전과 제3차 하르코프 전투

1942년 8월 레닌그라드 공방전을 지휘한 만슈타인은 공략에는 실패했으나 소련의 1개 야전군을 괴멸시키는 데 성공했다. 북부에서 전투가 지속되는 도중에 만슈타인은 급히 편성된 돈집단군 사령관으로 전출되었다. 이번 임무는 스탈린그라드에서 소련군에 포위된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상급대장(후에 원수)의 6군 구출작전이었다. 호트의 제 4기갑군을 선두로하는 이 구출작전은 시기를 잃어 버린데다가 투입된 병력도 부족했기 때문에 짧은 기회가 있었지만 성공하지 못했다. 독일 6군은 괴멸되고 파울루스는 소련군에게 항복해 포로가 되었다. 당시 포위망내의 독일군의 유류비축분은 전차에 한해서 고작 수십킬로미터를 기동할 정도의 유류조차 확보하지 못했고 도보행군으로는 악화된 독일군의 영양상태로 볼 때 탈출이 불가능했을 것이다. 괴링이 보장한 1일 500톤의 보급은 독일공군의 항공자산의 상당부분을 쏟아부었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보급량은 일일 300톤이 한계였다. 그나마, 보급을 위해 공항에서 보급용 유류를 다수 소모했고, 보급물자의 우선순위는 탄약과 유류였다.

스탈린그라드를 탈환한 소련군은 압도적인 대병력으로 반격에 나섰으나 이때 만슈타인은 적극적인 기동 방어로 전환해 1943년 3월, 한 차례 빼앗겼던 하리코프를 소련군의 손에서 탈환하는 위업을 달성했다. 마치 그림을 그린듯한 공세 방어의 표본을 보여주었다.

쿠르스크 전투

돈 집단군이 스탈린그라드와 코카서스에서 패주한 부대를 포함해 남부 집단군으로 개편되어 만슈타인 자신도 집단군 사령관으로 승진했다. 하리코프를 탈환한 독일군의 전선에 1곳 소련군의 전선이 돌출된 부분이 있었다. 히틀러는 이 돌출부에 포진한 소련군을 남북에서 협공하여 격멸시킨다는 "성채작전"(독일어:Unternehmen Zitadelle)을 계획한다.


작전계획의 존재는 이미 소련측 첩보기관에 의해 이미 알려졌으나, 독일은 이 사실을 알지 못했다. 만슈타인은 이 작전에 대해 군사적측면에서 보더라도 별 이익이 없다고 판단했다. 쿠르스크 공격에서 좌우 협공부분을 맡고 있던 만슈타인과 클루게 장군은 "독일군의 현 상황에서는 소련군의 공격을 방어할 수 있어도 우리쪽에서 대규모 공세에 나설 전력적 여유는 없다"라는 점에서 의견일치를 보여 이 상황을 토대로 만슈타인은 2가지의 작전안을 히틀러에게 제시했다.

하지만 히틀러는 만슈타인의 작전안을 무시하고, 1943년 5월초에 공격에 나서 쿠르스크 돌출부를 협공한다는 안건을 채택했으나, 여기서 또 히틀러가 작전에 간섭해 만슈타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전력을 갖춘다는 이유로 작전개시를 7월까지 연기했다. 그 결과 독일군의 전력은 상당한 정도로 증강했으나 소련측의 병력은 그것을 상회할 정도로 증가하였고, 더해서 독일군 작전의도를 모두 알아차린 소련군은 대규모의 종심진지를 강화하는 시간적인 여유까지 얻게 되었다.

4일 개시한 쿠르스크 전투는 완벽한 방어선을 구축한 소련군에 의해 공격은 실패하고 말았고, 7월 13일 히틀러는 만슈타인과 귄터 폰 클루게를 불러 작전중지 명령을 내렸다. 쿠르스크 전투의 패전이후, 독일군은 동부전선에서 후퇴를 거듭했다. 만슈타인이 이끄는 독일군은 폴란드 국경까지 한걸음, 한걸음 교묘한 후퇴작전을 개시했다.

쿠르스크 전투 이후 드니에프르 방어전과 지연전

쿠르스크 전투 이후 남부집단군에 강타 당해 전력이 부족한 남서전선군을 후속한 스텝전선군이 남부집단군을 압박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7월부터 8월에 이른 소련군 역공세에 남부집단군에 일대 위기가 닥쳤는데 제 1 기갑군이 포위를 당했다. 이때 제 1 기갑군 사령관인 한스 후베 기갑 대장은 만슈타인 원수에게 보낸 전문에서 체르카시-카메네스크 남방으로 후퇴하여 전선으로 합류하겠다고 전언했으나, 그대로 남쪽으로 갈 경우 카르파디아 산맥에 의해 퇴로가 한정될 것을 우려한 만슈타인은 한스 후베에게 무조건 서쪽으로 후퇴하라고 명령하였다.

이후 만슈타인은 상대방 무전 감청을 적극 활용하고 한스 후베의 지휘력을 신뢰하여 드네프르 강을 도하토록하여, 소련군 근위 기갑군단이 포위하였던 체르카시-카메네스크를 서쪽으로 돌파토록하여 적 기갑군단 1개를 전열에서 탈락시키고, 후속하는 적군보다 먼저 도강한 제 1 기갑군이 드네프르 강을 중심으로 방어선을 형성토록하여 기동포위진을 벗어나 전선을 안정시켰다. 이후 전선은 1944년 6월 22일 바그라치온 작전까지 소강상태를 보인다. 이후 만슈타인은 남부집단군은 카르파디아 산맥 중심으로 교착방어를 펼치고, 중요 기갑전력을 중부집단군에 배속하여 중부집단군 강화를 건의하였다. 그리고 중부집단군을 일시 후퇴시켜 전선을 축소할 것을 건의하였다.

만슈타인은 히틀러에게 서서히 후퇴하기보다는 일단 크게 후퇴하여 소련군의 추격을 뿌리치고, 전선을 정리, 축소한 뒤 병력을 재편성하는것이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나 사고가 경직된 히틀러는 이 제안을 거부하였고 거듭된 의견 충돌 끝에 그를 사령관직에서 해임시켰다. 후임 지휘관으로 발터 모델 원수가 임명되어 헝가리군과 연계하여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의 퇴각을 지휘하였다.

퇴역과 전후생활

1944년 3월을 끝으로 만슈타인은 일선에서 물러났다. 히틀러 정권의 전복 계획에 참가할것을 타진받았으나 참여하지는 않았다. 그때 만슈타인은 "프로이센 원수는 반역하지 않는다"란 유명한 말을 했다. -헤닝 폰 트레스코프 소장의 친척이었던 트레스코프 소령의 우회적인 반역권유를 듣고 이렇게 말했다.- 1945년 5월 히틀러 자살이후 총통으로 지명된 카를 되니츠 제독은 그를 재기용하려 했으나 연락이 되지 않아 성사되지 못했다. 종전 후 영국군에게 체포되었다. 소련은 신병을 인도 받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했으나 실패하고 그는 결국 뉘른베르크 재판에 서게 된다.

1941년 11월 20일, 만슈타인은 남부집단군 예하 11군의 지휘권을 인계 받으면서 "유대인-볼셰비키 체제는 완전히 근절되어야 한다."며 "유대인에 대한 가혹한 조치의 필요성"을 정당화하는 명령을 하달하였고, 이에 유죄가 인정되어 영국 군사법정은 1949년에 금고형 18년형을 선고했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4년후 석방되었다. 그 후 만슈타인은 새로 탄생한 독일 연방군의 창설에 주력하여 당시 서독 정부의 국가방어위원회의 고문역을 맡았다. 만년에 전쟁터에서 사망한 아들 게로의 기억에 애착이 많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자녀로는 뢰데게르 폰 만슈타인, 기셀라 린겐탈이 있다. 1973년 회고록 《잃어버린 승리》(원제:독일어: Verlorene Siege)를 남기고 6월 10일 향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정치성향

부관과 아들의 증언을 참고하면 비정치적임을 표방했으며 의회의 당파싸움에 회의적이었던것으로 알려져 있다. 프로이센 군인의 명예로 여겨진 국가와 지도자에 대한 충성으로 일관했다. 그러나 처형부대의 잔혹한 인종 범죄 행위에는 철저히 외면하며 보고 받기를 거부하였고, 현대 독일 전사학계에서는 만슈타인에 대하여 동부전선에서의 나치 인종 범죄에 동조한 장성임을 분명히 인정하고 비판적인 시각을 취하고 있다.

같이 보기

참고 및 참조문헌

  • 역사군상시리즈 《구주전사시리즈 WW2》 vol. 7 〈쿠르스크기갑전〉 학연사 ISBN 4-05-601989-4
  • 전격전의 전설(Blitz Krieg Legende) 칼 하인츠 프리츠 지음, 진중근 옮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