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mausBot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4월 11일 (목) 19:38 판 (봇: 인터위키 링크 1 개가 위키데이터d:Q10854949 항목으로 옮겨짐)

(여린히읗, 된이응)은 훈민정음의 자모 중 하나로 현대 한국어 표기에는 쓰이지 않는다.

훈민정음에 따르면 ㆆ은 청탁의 구별에서 전청이고 조음 위치로는 목구멍소리로 설명하고 있어서 성문 파열음 [ʔ]으로 그 음가를 추정하고 있다. 주로 중국어 발음을 표기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글자로 세조 때까지만 쓰였다.

ㆆ은 동국정운의 한자 음을 표기하기 위해 마련한 것으로, 과 같이 쓰이는 ㆆ을 낱자 체계에 두었던 것은 중국 운학의 7음 청탁 낱자 체계에 맞추려고 한 데서 비롯한 것이다. 당시 한자 음도 어두에서 ㅇ과 ㆆ을 특별히 나누지 않았던 것 같으나, 동국정운에서는 나누었다. 그리고 종성에서는 로 된 한자 음을 입성으로 만들기 위해 ㆆ을 병서해 으로 나타내었다. 끝소리가 나지 않는 한자 뒤에 토가 붙을 때 사잇소리로 ㆆ이 쓰일 때도 있었다.

조선어 신철자법에서는 불규칙 활용을 나타내기 위한 기호로 ㆆ이 쓰였으며, 이름은 ‘’이었다.

코드 값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86 ㆆ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ᅙᅠ U+1159 ᅙ
끝소리 ᅟᅠᇹ U+11F9 ᇹ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FF 
끝소리  U+F8F7 
반각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