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또는 (미음기역)은 의 합자이다.

역사[편집]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에 ‘구멍’의 옛말 ‘구ᇚ’과 ‘나무’의 옛말 ‘나ᇚ’을 표기하기 위한 받침으로 쓰였다. 오늘날에는 두 낱말 ‘구ᇚ'과 '나ᇚ' 모두 속담에서만 볼 수 있다.[1]

ᇚ 바침

구ᇚ(穴) 나ᇚ(木)
— 《한글 맞춤법 통일안》(1933) 제3장 제5절 (제11항)

탱자는 탱자나ᇚ에 매달려 잠을 자고,
자두는 자두나ᇚ에 매달려 잠을 자고,
살구는 살구나ᇚ에 매달려 잠을 자고,
아가는 엄마 등에 업혀서 잠을 자고.

— 윤석중, 〈자장가 세 편〉 중 〈탱자는 탱자나ᇚ에 - 모차르트 곡조에 맞춤〉, 《부인경향》 제1권 제2호 (1950년 2월), 23쪽

한편 19세기까지 ‘나무’를 ‘나모~나ᇚ’으로 썼던 기록은 있었지만 글로 쓸 때는 연철을 했기 때문에 20세기까지 ᇚ 받침은 나타나지 않았다.

불휘 기픈 남ᄀᆞᆫ ᄇᆞᄅᆞ매 아니 뮐ᄊᆡ

— 《용비어천가》(1447)

문자 코드[편집]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없음)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ꥯᅠ U+A96F ꥯ
끝소리 ᅟᅠᇚ U+11DA ᇚ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A9 
끝소리  U+F8AB 
반각 (없음)

각주[편집]

  1.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일부 속담에 쓰여)'라는 조건이 붙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