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펩타이드: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틀 부착 (근거 1, 근거 2)
영어판 위키(2022년 5월 8일 버전)를 참고하여 기존의 한국어판 문서의 내용을 보충함.
태그: 동음이의 링크
1번째 줄: 1번째 줄: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위키데이터 속성 추적}}
[[파일:Tetrapeptide structural formulae v.1.png|섬네일|300px|<span style="color:green;">'''녹색'''</span>으로 표시된 [[N 말단|아미노 말단]]([[발린|<span style="color:green;">'''L-발린'''</span>]])과 <span by style="color:blue;">'''파란색'''</span>으로 표시된 [[C 말단|카복실 말단]]([[알라닌|<span style="color:blue;">'''L-알라닌'''</span>]])을 가지고 있는 [[테트라펩타이드]] (예: [[발린|Val]]-[[글리신|Gly]]-[[세린|Ser]]-[[알라닌|Ala]])]]
{{번역 확장 필요|en|Peptide}}
[[파일:Tetrapeptide structural formulae v.1.png|섬네일|300px|펩타이드]]


'''펩타이드'''({{llang|en|peptide}})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들의 짧은 사슬이다.<ref>{{cite book |last1=Hamley |first1=I W |title=introduction to Peptide Science |date=September 2020 |publisher=Wiley |isbn=9781119698173 |url=https://www.wiley.com/en-ai/Introduction+to+Peptide+Science-p-9781119698173}}</ref><ref>Nelson, David L.; Cox, Michael M. (2005). Principles of Biochemistry (4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 0-7167-4339-6.</ref> 펩타이드라는 용어는 "소화되다(digested)"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 "πεπτός (peptós)", "소화하다(to digest)"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 "πέσσειν (péssein)"에서 유래하였다. 아미노산이 20개 미만인 사슬을 [[올리고펩타이드]]라고 하며, 올리고펩타이드는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를 포함한다.
'''펩타이드'''({{llang|en|peptide}})는 [[아미노산]]의 [[중합체]]이다. 보통 소수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형태를 펩타이드라 부르고 많은 아미노산이 연결되면 [[단백질]]로 부른다. 이러한 펩타이드 및 단백질 구조에서 아미노산 간의 연결은 [[아미드]] 결합 또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펩타이드 결합이란 [[카르복실기]](-COOH)와 [[아미노기]](NH2-) 사이에 물이 빠져나가고 -CO-NH- 형태를 이루는 결합이다.


'''폴리펩타이드'''({{llang|en|polypeptide}})는 보다 더 길고, 연속적이며, 가지가 없는 펩타이드 사슬이다.<ref name="Saladin">{{cite book |last1=Saladin |first1=K |title=Anatomy &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date=13 January 2011 |publisher=McGraw-Hill |isbn=9780073378251 |page=67 |edition=6th}}</ref> 따라서 펩타이드는 [[핵산]], [[올리고당류]], [[다당류]] 및 기타 분자들과 함께 [[생체고분자|생물학적 중합체]] 및 [[올리고머]]의 광범위한 화학적 부류에 속한다.
== 개요 ==
어떤 아미노산의 카복실기와 다른 아미노산의 아미노기 사이에서 -CO-NH-라는 결합이 생겨 그 때마다 HO-H, 즉 물 한 분자가 없어지면 아미노산이 사슬처럼 몇 개 연결된 분자가 된다. 이를 총칭하여 펩티드라고 하며, -CO-NH- 결합을 펩티드 결합이라고 한다. 그러나 펩티드라는 것은 원래 단백질을 [[산-염기 반응|산이나 염기]]와 함께 가열하거나 단백질이 [[펩신]] 등의 소화 효소에 의해 소화 분해될 때 생기는 중간 생성물군(群)에 주어진 명칭이었다.


대략 50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를 [[단백질]]이라고 한다.<ref name="Saladin"/><ref>{{GoldBookRef |title=proteins |file=P04898}}</ref><ref>{{cite web |url=https://www.zealandpharma.com/what-are-peptides |title=What are peptides |publisher=Zealand Pharma A/S |url-status=live |archive-url=https://web.archive.org/web/20190429200629/https://www.zealandpharma.com/what-are-peptides |archive-date=2019-04-29}}</ref> 단백질은 생물학적 방식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며, 보통 [[조효소]] 및 [[보조 인자]]와 같은 [[리간드 (생화학)|리간드]], 또는 다른 단백질 또는 [[DNA]]나 [[RNA]]와 같은 다른 [[거대분자]], 또는 복잡한 [[거대분자 집합체]]와 결합한다.<ref>{{cite journal |last1=Ardejani |first1=Maziar S. |last2=Orner |first2=Brendan P. |date=2013-05-03 |title=Obey the Peptide Assembly Rules |journal=Science |volume=340 |issue=6132 |pages=561–562 |doi=10.1126/science.1237708 |issn=0036-8075 |pmid=23641105 |bibcode=2013Sci...340..561A|s2cid=206548864 }}</ref>
펩티드는 그것을 만드는 [[아미노산]] 분자수를 나타내는 [[수사]](그리스어에서 유래됨)를 앞에 붙여 지(2), 트리(3), 테트라(4), … 올리고(10 이하의 소수, 분자량 1,000 이하), 폴리(다수) 펩티드 등으로 부른다. 생물체에는 펩티드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글루타티온(트리펩티드), 하수체(下垂體) 후엽 호르몬(옥타펩티드), 하수체 전엽의 [[부신겉질자극호르몬|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ACTH)이나 [[색소 세포 자극 호르몬]](MSH) 등의 폴리펩티드 등이 있다.


펩타이드에 포함된 아미노산을 [[잔기]]라고 한다. 각각의 [[아마이드]] 결합이 형성될 때 물 분자가 방출된다.<ref name="IUPAC1">{{GoldBookRef|file=A00279|title=amino-acid residue in a polypeptide}}</ref> [[고리형 펩타이드]]를 제외한 모든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양쪽 말단에 각각 [[N 말단|N-말단]](아미노기)과 [[C 말단|C-말단]](카복실기) 잔기를 갖는다.
펩톤은 [[단백질분해과정]]에 의해 소화되는 동물의 젖이나 고기로부터 파생된다.<ref>{{웹 인용|url=http://www.usvpeptides.com|title=UsvPeptides- USVPeptides is a leading pharmaceutical company in India|website=USVPeptides}}</ref>


== 화학 합성 ==
== 종류 ==
많은 종류의 펩타이드들이 알려져 있다. 펩타이드들은 공급원과 기능에 따라 분류되거나 범주화되었다. 《생물학적 활성 펩타이드의 핸드북》(The Handbook of Biologically Active Peptides)에 따르면 펩타이드의 일부 부류에는 식물 펩타이드, 세균/[[항균 펩타이드]], 균류 펩타이드, 무척추동물 펩타이드, 양서류/피부 펩타이드, 독 펩타이드, 암/항암 펩타이드, 백신 펩타이드, 면역/염증 펩타이드, 뇌 펩타이드, [[펩타이드 호르몬|내분비 펩타이드]], 섭취 펩타이드, 위장 펩타이드, 심혈관 펩타이드, 신장 펩타이드, 호흡 펩타이드, 아편 펩타이드, [[신경영양인자|신경영양]] 펩타이드 및 혈액-뇌 펩타이드 등이 있다.<ref>{{cite book|title=Handbook of Biologically Active Peptides|editor=Abba J. Kastin|edition= 2nd|year=2013|isbn=978-0-12-385095-9}}</ref>
{{본문|펩타이드 결합}}
[[파일:Peptide Synthesis.svg|섬네일|centre|upright=3.0|alt=Table of amino acids|펩타이드 결합의 간략한 모식도]]


일부 리보솜 펩타이드는 [[단백질 분해]]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으로 고등 생물에서 [[호르몬]] 및 신호 분자로 기능하게 한다. 일부 미생물은 [[마이크로신]] 및 [[박테리오신]]과 같은 [[항생제]]로 펩타이드를 생성한다.<ref>{{cite journal |vauthors=Duquesne S, Destoumieux-Garzón D, Peduzzi J, Rebuffat S |title=Microcins, gene-encoded antibacterial peptides from enterobacteria |journal=Natural Product Reports |volume=24 |issue=4 |pages=708–34 |date=August 2007 |pmid=17653356 |doi=10.1039/b516237h}}</ref>
== 예시 ==
이 문단의 펩타이드 계열은 일반적으로 [[호르몬]] 활성이 있는 [[리보솜]] 펩타이드이다. 이러한 모든 펩티드는 [[세포]]에 의해 더 긴 "프로펩티드(propeptides)" 또는 "전단백(proproteins)"으로 합성되고 세포를 빠져나가기 전에 잘리고 신호 기능을 수행하는 [[혈류 역학|혈류]]로 방출된다.


펩타이드는 종종 [[인산화]], [[하이드록실화]], [[설폰화]], [[팔미토일화]], [[글리코실화]] 및 [[이황화물]] 형성과 같은 [[번역 후 변형]]을 겪는다. 일반적으로 펩타이드는 선형이지만 올가미 구조도 관찰되었다.<ref>{{cite journal |vauthors=Pons M, Feliz M, Antònia Molins M, Giralt E |title=Conformational analysis of bacitracin A, a naturally occurring lariat |journal=Biopolymers |volume=31 |issue=6 |pages=605–12 |date=May 1991 |pmid=1932561 |doi=10.1002/bip.360310604|s2cid=10924338 }}</ref> [[오리너구리 독]]에서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라세미화하는 것과 같은 보다 더 특이한 변형도 일어난다.<ref>{{cite journal |vauthors=Torres AM, Menz I, Alewood PF, etal |title=D-Amino acid residue in the C-type natriuretic peptide from the venom of the mammal, Ornithorhynchus anatinus, the Australian platypus |journal=FEBS Letters |volume=524 |issue=1–3 |pages=172–6 |date=July 2002 |pmid=12135762 |doi=10.1016/S0014-5793(02)03050-8 |s2cid=3015474 |doi-access=free }}</ref>
문단 속 단어는 번역 과정의 오류를 피하기 위해 소제목을 제외하고는 다 영문 명칭을 그대로 차용하였다.<!-- 출처와 함께 번역 수정 바람 -->


[[비리보솜 펩타이드]]는 [[리보솜]]이 아니라 [[효소]]에 의해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비리보솜 펩타이드는 대부분의 [[호기성 생물]]에서 [[항산화물질|항산화]] 방어 성분인 [[글루타티온]]이다.<ref name=MeisterB>{{cite journal |author=Meister A, Anderson ME |title=Glutathione |journal=Annual Review of Biochemistry |volume=52 |issue= 1|pages=711–60 |year=1983 |pmid=6137189 |doi=10.1146/annurev.bi.52.070183.003431|last2=Anderson }}</ref> 다른 비리보솜 펩타이드는 [[단세포 생물]], [[식물]], [[균류]]에서 가장 일반적이며, 비리보솜 펩타이드 합성효소라고 하는 [[모듈성 (생물학)|모듈식]] 효소 복합체에 의해 합성된다.<ref>{{cite journal |author=Hahn M, Stachelhaus T |title=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s is facilitated by short communication-mediating domains |journal=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volume=101 |issue=44 |pages=15585–90 |date=November 2004 |pmid=15498872 |pmc=524835 |doi=10.1073/pnas.0404932101|bibcode = 2004PNAS..10115585H |last2=Stachelhaus |doi-access=free }}</ref>
=== 항균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s) ===


이러한 복합체는 보통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생성물]]에 대해 다양한 화학적 변형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ref>{{cite journal |author=Finking R, Marahiel MA |title=Biosynthesis of nonribosomal peptides1 |journal=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volume=58 |issue= 1|pages=453–88 |year=2004 |pmid=15487945 |doi=10.1146/annurev.micro.58.030603.123615|last2=Marahiel }}</ref> 선형의 비리보솜 펩타이드도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펩타이드는 보통 [[고리형 화합물|고리형]]이고 고도로 복잡한 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방산]]과 [[폴리케타이드]]를 만드는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혼성체 화합물이 종종 발견된다. [[옥사졸]] 또는 [[싸이아졸]]의 존재는 보통 화합물이 이러한 방식으로 합성되었음을 나타낸다.<ref>{{cite journal |author=Du L, Shen B |title=Biosynthesis of hybrid peptide-polyketide natural products |journal=Current Opinion in Drug Discovery & Development |volume=4 |issue=2 |pages=215–28 |date=March 2001 |pmid=11378961|last2=Shen }}</ref>
* Magainin family
* Cecropin family
* Cathelicidin family
* Defensin family


'''펩톤'''({{llang|en|peptone}})은 동물성 우유 또는 [[단백질 분해]]에 의해 소화된 고기에서 유래한다.<ref>{{cite web|url=http://www.usvpeptides.com|title=UsvPeptides- USVPeptides is a leading pharmaceutical company in India|website=USVPeptides}}</ref> 작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 외에도 결과로 생성되는 물질에는 [[지방]], [[금속]], [[염]], [[비타민]] 및 기타 많은 생물학적 화합물이 포함된다. 펩톤은 생장하는 세균과 곰팡이를 위한 영양 배지에 사용된다.<ref>{{cite book|last1=Payne|first1=J. W.|first2=Anthony H.|last2=Rose|first3=D. W.|url=https://www.google.co.in/books/edition/_/QgQuTYSW8A4C?hl=en&gbpv=1&dq=peptides&pg=PA147|last3=Tempest|title=Advances in Microbial Physiology, Volume 13|chapter=Peptides and micro-organisms |volume=13 |pages=55–160|date=27 September 1974|pmid=775944|doi=10.1016/S0065-2911(08)60038-7|publisher=Elsevier Science|location=Oxford, England|series=Advances in Microbial Physiology|isbn=9780080579719|oclc=1049559483}}</ref>
=== 타키키닌 펩타이드(Tachykinin peptides) ===


펩타이드 단편은 공급원 단백질을 식별하거나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단백질 단편을 나타낸다.<ref>{{cite journal |vauthors=Hummel J, Niemann M, Wienkoop S, Schulze W, Steinhauser D, Selbig J, Walther D, Weckwerth W |title=ProMEX: a mass spectral reference database for proteins and protein phosphorylation sites |journal=BMC Bioinformatics |volume=8|pages=216 |year=2007 |pmid=17587460 |pmc=1920535 |doi=10.1186/1471-2105-8-216|issue=1}}</ref> 종종 이들은 통제된 샘플에 대해 실험실에서 수행된 효소 분해의 산물이지만 자연적인 영향에 의해 분해된 법의학 또는 고생물학 샘플일 수도 있다.<ref>{{cite book |author=Webster J, Oxley D |title=Peptide mass fingerprinting: protein identification us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volume=310 |pages=227–40 |year=2005 |pmid=16350956 |doi=10.1007/978-1-59259-948-6_16 |series=Methods in Molecular Biology |isbn=978-1-58829-399-2 |last2=Oxley |url-access=registration |url=https://archive.org/details/chemicalgenomics00zand_0/page/227 }}</ref><ref>{{cite journal |author=Marquet P, Lachâtre G |title=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otential in forensic and clinical toxicology |journal=Journal of Chromatography B |volume=733 |issue=1–2 |pages=93–118 |date=October 1999 |pmid=10572976 |doi=10.1016/S0378-4347(99)00147-4|last2=Lachâtre }}</ref>
* Substance P
* Kassinin
* Neurokinin A
* Eledoisin
* Neurokinin B


== 화학 합성 ==
=== 혈관작동성장펩타이드(血管作動性腸,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s)<ref>{{웹 인용|url=https://en.dict.naver.com/#/entry/enko/e09ba6eec6b54758a063995b17772e45|제목=번역 명칭 유래|웹사이트=네이버 어학사전|확인날짜=2021/11/17}}</ref> ===
{{본문|펩타이드 합성}}
{|
|[[파일:Peptide Synthesis.svg|섬네일|왼쪽|900px|[[플루오레닐메틸옥시카보닐 보호기|Fmoc]]-α-[[아민]]-보호 [[아미노산]]을 이용한 링크(rink) 아마이드 [[수지]]에서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
|}


== 패밀리의 예시 ==
* VIP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PHM27)
이 부류의 펩타이드 패밀리는 일반적으로 호르몬 활성이 있는 리보솜 펩타이드이다. 이러한 모든 펩타이드는 세포에 의해 더 긴 "프로펩타이드(propeptide)" 또는 "전구단백질(proprotein)"로 합성되고 세포를 빠져 나가기 전에 절단된다. 이들은 신호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혈류로 방출된다.
* PACAP '''''P'''ituitary '''A'''denylate '''C'''yclase '''A'''ctivating '''P'''eptide''
* Peptide PHI 27 ('''''P'''eptide '''H'''istidine '''I'''soleucine 27'')
* GHRH 1-24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1-24)''
* Glucagon
* Secretin


=== 췌장 폴리펩타이드 관련 펩타이드(Pancreatic polypeptide-related peptides) ===
=== 항균 펩타이드 ===
* [[마가이닌]] 패밀리
* [[세크로핀]] 패밀리
* [[카텔리시딘]] 패밀리
* [[디펜신]] 패밀리


=== 타키키닌 펩타이드 ===
* NPY ''('''N'''euro'''P'''eptide '''Y''')''
{{main |타키키닌 펩타이드}}
* PYY ''('''P'''eptide '''YY''')''
* [[P 물질]]
* APP ''('''A'''vian '''P'''ancreatic '''P'''olypeptide)''
* [[카시닌]]
* PPY '''''P'''ancreatic '''P'''ol'''Y'''peptide''
* [[뉴로키닌 A]]
* [[엘레도이신]]
* [[뉴로키닌 B]]


=== 혈관작동성 장 펩타이드 ===
=== 오피오이드 펩타이드(Opioid peptides) ===
{{main |세크레틴 패밀리}}
* Proopiomelanocortin (POMC) peptides
* [[혈관작동성 장 펩타이드]] (VIP, Vasoactive Intestinal Peptide, PHM27)
* Enkephalin pentapeptides
* [[뇌하수체 아데닐산 고리화효소 활성화 펩타이드]] (PACAP, Pituitary Adenylate Cyclase Activating Peptide)
* Prodynorphin peptides
* [[펩타이드 PHI]] 27 (Peptide PHI 27, Peptide Histidine Isoleucine 27)
* [[성장호르몬 방출호르몬]] 1-24 (GHRH 1-24, Growth Hormone Releasing Hormone 1-24)
* [[글루카곤]]
* [[세크레틴]]


=== 췌장 폴리펩타이드 관련 펩타이드 ===
=== 칼시토닌 펩타이드(Calcitonin peptides) ===
* [[신경펩타이드 Y]] (NPY, NeuroPeptide Y)
* [[펩타이드 YY]] (PYY, Peptide YY)
* 조류 췌장 폴리펩타이드 (APP, Avian Pancreatic Polypeptide)
* [[췌장 폴리펩타이드]] (PPY, Pancreatic PolYpeptide)


=== 오피오이드 펩타이드 ===
* Calcitonin
{{main|오피오이드 펩타이드}}
* Amylin
* [[프로오피오멜라노코르틴]] (POMC) 펩타이드
* AGG01
* [[엔케팔린]] 펜타펩타이드
* [[프로디노르핀]] 펩타이드


=== 자가 조립 펩타이드(Self-Assembling peptides) ===
=== 칼시토닌 펩타이드 ===
* [[칼시토닌]]
* [[아밀린]]
* [[AGG01]]


=== 자가 조립 펩타이드 ===
* Aromatic short peptides
* 방향족 짧은 펩타이드<ref>{{cite journal|last1=Tao|first1=Kai|last2=Makam|first2=Pandeeswar|last3=Aizen|first3=Ruth|last4=Gazit|first4=Ehud|title=Self-assembling peptide semiconductors |journal=Science |volume=358 |issue=6365 |pages=eaam9756 |date=17 Nov 2017 |doi=10.1126/science.aam9756|pmid=29146781|pmc=5712217}}</ref><ref>{{cite journal|last1=Tao|first1=Kai|last2=Levin|first2=Aviad|last3=Adler-Abramovich|first3=Lihi|last4=Gazit|first4=Ehud|title=Fmoc-modified amino acids and short peptides: simple bio-inspired building blocks for the fabric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journal=Chem. Soc. Rev. |volume=45 |issue=14 |pages=3935–3953 |date=26 Apr 2016 |doi=10.1039/C5CS00889A|pmid=27115033}}</ref>
* Biomimetic peptides
* 생체모방 펩타이드<ref>{{cite journal|last1=Tao|first1=Kai|last2=Wang|first2=Jiqian|last3=Zhou|first3=Peng|last4=Wang|first4=Chengdong|last5=Xu|first5=Hai|last6=Zhao|first6=Xiubo|last7=Lu|first7=Jian R.|title=Self-Assembly of Short Aβ(16−22) Peptides: Effect of Terminal Capping and the Role of Electrostatic Interaction |journal=Langmuir |volume=27 |issue=6 |pages=2723–2730 |date=February 10, 2011 |doi=10.1021/la1034273|pmid=21309606}}</ref>
* Peptide amphiphiles
* [[양친매성 펩타이드]]<ref>{{cite journal|authors=Ian Hamley |title=Self-Assembly of Amphiphilic Peptides |journal=Soft Matter |volume=7 |pages=4122–4138 |date=2011 |issue=9 |doi=10.1039/C0SM01218A|bibcode=2011SMat....7.4122H |url=http://centaur.reading.ac.uk/19780/1/AmphPeptReviewRevised.pdf }}</ref><ref>{{cite journal|authors=Kai Tao, Guy Jacoby, Luba Burlaka, Roy Beck, Ehud Gazit|title=Design of Controllable Bio-Inspired Chiroptic Self-Assemblies |journal=Biomacromolecules |volume=17 |issue=9 |pages=2937–2945 |date=July 26, 2016 |doi=10.1021/acs.biomac.6b00752|pmid=27461453}}</ref><ref>{{cite journal|authors=Kai Tao, Aviad Levin, Guy Jacoby, Roy Beck, Ehud Gazit|title=Entropic Phase Transitions with Stable Twisted Intermediates of Bio‐Inspired Self‐Assembly |journal=Chem. Eur. J. |volume=22 |issue=43 |pages=15237–15241 |date=23 August 2016 |doi=10.1002/chem.201603882|pmid=27550381}}</ref><ref>{{cite journal|authors=Donghui Jia, Kai Tao, Jiqian Wang, Chengdong Wang, Xiubo Zhao, Mohammed Yaseen, Hai Xu, Guohe Que, John R. P. Webster, Jian R. Lu|title=Dynamic Adsorption and Structure of Interfacial Bilayers Adsorbed from Lipopeptide Surfactants at the Hydrophilic Silicon/Water Interface: Effect of the Headgroup Length |journal=Langmuir |volume=27 |issue=14 |pages=8798–8809 |date=June 16, 2011 |doi=10.1021/la105129m|pmid=21675796}}</ref>
* Peptide dendrimers
*펩타이드 덴드리머<ref>{{Cite journal|last1=Heitz|first1=Marc|last2=Javor|first2=Sacha|last3=Darbre|first3=Tamis|last4=Reymond|first4=Jean-Louis|date=2019-08-21|title=Stereoselective pH Responsive Peptide Dendrimers for siRNA Transfection|journal=Bioconjugate Chemistry|language=en|volume=30|issue=8|pages=2165–2182|doi=10.1021/acs.bioconjchem.9b00403|pmid=31398014|s2cid=199519310|issn=1043-1802}}</ref>


=== 그 외 펩타이드 ===
=== 기타 펩타이드 ===
* [[뇌 나트륨이뇨 펩타이드]] (BNP, brain natriuretic peptide) – 심근에서 생산되며 의학적 진단에 유용하다.

* [[락토트라이펩타이드]] – 락토트라이펩타이드는 [[혈압]]을 감소시킬 수 있지만<ref>{{cite journal |author=Boelsma E, Kloek J |title=Lactotripeptides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a critical review |journal=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volume=101 |issue=6 |pages=776–86 |date=March 2009 |pmid=19061526 |doi=10.1017/S0007114508137722|last2=Kloek |doi-access=free }}</ref><ref>{{cite journal |vauthors=Xu JY, Qin LQ, Wang PY, Li W, Chang C |title=Effect of milk tripeptides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Nutrition |volume=24 |issue=10 |pages=933–40 |date=October 2008 |pmid=18562172 |doi=10.1016/j.nut.2008.04.004}}</ref><ref>{{cite journal |author=Pripp AH |title=Effect of peptides derived from food proteins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journal=Food & Nutrition Research |volume=52 |pages= 10.3402/fnr.v52i0.1641|year=2008 |pmid=19109662 |pmc=2596738 |doi=10.3402/fnr.v52i0.1641}}</ref> 증거는 혼재되어 있다.<ref>{{cite journal |vauthors=Engberink MF, Schouten EG, Kok FJ, van Mierlo LA, Brouwer IA, Geleijnse JM |title=Lactotripeptides show no effect on human blood pressure: results from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ournal=Hypertension |volume=51 |issue=2 |pages=399–405 |date=February 2008 |pmid=18086944 |doi=10.1161/HYPERTENSIONAHA.107.098988|doi-access=free }}</ref>
* B-type Natriuretic Peptide (BNP) - produced in the myocardium and useful in medical diagnosis
* 중국 전통 의학에서 조혈을 위한 아교(阿膠, Colla Corii Asini)의 펩타이드 성분<ref>{{cite journal|last1=Wu|first1=Hongzhong|last2=Ren|first2=Chunyan|last3=Yang|first3=Fang|last4=Qin|first4=Yufeng|last5=Zhang|first5=Yuanxing|last6=Liu|first6=Jianwen|title=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collagen-derived peptides with hematopoietic activity from Colla Corii Asini|journal=Journal of Ethnopharmacology|date=April 2016|volume=182|pages=129–136|doi=10.1016/j.jep.2016.02.019|pmid=26911525}}</ref>
* Lactotripeptides - Lactotripeptides might reduce blood pressure, although the evidence is mixed.
* Peptidic components from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Colla Corii Asini in hematopoiesis.


== 용어 ==
== 용어 ==
=== 길이에 따른 용어 ===
펩타이드와 관련된 여러 용어는 길이에 대한 엄격한 정의가 없으며, 그 사용에서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 폴리펩타이드는 많은 아미노산들(임의의 길이)이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단일 선형 사슬이다.
=== 길이 ===
*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폴리펩타이드(약 50개 이상의 아미노산들로 구성)로 구성된다.
펩타이드와 관련된 여러 용어에는 엄격한 길이 정의가 없으며 사용이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폴리펩타이드는 [[펩타이드 결합|아미드 결합]]에 의해 함께 고정된 많은 아미노산(임의의 길이)의 단일 선형 사슬이다.
* [[올리고펩타이드]]는 단지 몇 개의 아미노산(2개에서 20개 사이)들로 구성된다.


[[파일:Tripeptide Val-Gly-Ala Formula V1.svg|섬네일|300px|<span style="color:green;">'''녹색'''</span>으로 표시된 [[N 말단|아미노 말단]]([[발린|<span style="color:green;">'''L-발린'''</span>]])과 <span style="color:blue;">'''파란색'''</span>으로 표시된 [[C 말단|카복실 말단]]([[알라닌|<span style="color:blue;">'''L-알라닌'''</span>]])을 가지고 있는 [[트라이펩타이드]] (예: [[발린|Val]]-[[글리신|Gly]]-[[알라닌|Ala]])]]
*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폴리펩티드(약 50개 이상의 아미노산 길이)로 구성된다.
* 올리고펩티드는 단지 몇 개의 아미노산(2개에서 20개 사이)으로 구성된다.


=== 아미노산의 ===
=== 아미노산의 수에 따른 용어 ===
정의된 길이의 [[펩티드 결합|펩티드]]는 [[국제 순수·응용 화학 연합|IUPAC]] 수치 승수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명된다.
정의된 길이의 펩타이드는 [[IUPAC 숫자 접두사]] 사용하여 명명한다.


* 모노펩타이드는 1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모노펩타이드에는 하나의 아미노산이 있다.
* [[다이펩타이드]]는 2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디펩티드에는 두 개의 아미노산이 있다.
# 트리펩타이드에는 3개의 아미노산이 있다.
* [[트라이펩타이드]]는 3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테트라펩타이드에는 4개의 아미노산이 있다.
* [[테트라펩타이드]]는 4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펜타펩타이드에는 5개의 아미노산이 있다.
* 펜타펩타이드는 5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헥사펩타이드에는 6개의 아미노산이 있다.
* 헥사펩타이드는 6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헵타펩티드에는 7개의 아미노산이 있다.
* 헵타펩타이드는 7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옥타펩티드에는 8개의 아미노산(예: [[앤지오텐신|안지오텐신 II]])이 있다.
* 옥타펩타이드는 8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예: [[안지오텐신 II]]).
# 노나펩티드에는 9개의 아미노산(예: [[옥시토신]])이 있다.
* 노나펩타이드는 9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예: [[옥시토신]]).
# 데카펩티드에는 10개의 아미노산(예: 성선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및 [[앤지오텐신|안지오텐신 I]])이 있다.
* 데카펩타이드는 10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예: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 및 [[안지오텐신 I]]).


=== 기능 ===
=== 기능에 따른 용어 ===
* [[신경펩타이드]]는 [[신경 조직]]과 결합하여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이다.
* [[지질펩타이드]]는 [[지질 (생물학)|지질]]이 결합된 펩타이드이고, [[펩두신]]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와 상호작용을 하는 지질펩타이드이다.
* [[펩타이드 호르몬]]은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펩타이드이다.
* [[프로테오스]]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되는 펩타이드의 혼합물이다. 이 용어는 다소 구식 용어이다.
* 펩타이드작동성 작용제(또는 약물)은 신체 또는 뇌의 펩타이드 시스템을 직접적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화학 물질이다. 예로는 [[신경펩타이드작동성 작용제]]인 [[오피오이드작동성 작용제]]가 있다.
* 세포 투과 펩타이드는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는 펩타이드이다.


== 같이 보기 ==
* 신경펩티드는 신경조직과 결합하여 활성을 갖는 펩티드이다.
{{wikiquote}}
* 리포펩티드는 [[지질 (생물학)|지질]]이 연결된 펩티드이고, 펩두신은 [[G 단백질 연결 수용체|GPCR]]과 상호작용하는 리포펩티드이다.
{{Div col|colwidth=20em}}
* 펩타이드 호르몬은 [[호르몬]]으로 작용하는 펩타이드이다.
* [[아세틸 헥사펩타이드-3]]
* 프로테오스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된 펩타이드의 혼합물이다.
* [[쇠고기 펩타이드]]
* 펩티드 작용제(또는 약물)는 신체 또는 뇌의 펩티드 시스템을 직접 조절하는 기능을 하는 화학 물질이다. 예시로는 신경 펩티드 작용제인 오피오이드 작용제가 있다.
* [[콜라겐 혼성화 펩타이드]] – 조직의 변성 콜라겐과 결합할 수 있는 짧은 펩타이드
* [[세포]] 투과 펩타이드는 [[세포막]]을 투과할 수 있는 펩타이드이다.
* [[스피롤리고머|비스-펩타이드]]
* [[CLE 펩타이드]]
* [[상피 성장인자]]
* [[펩타이드 과학 저널]]
* [[락토트라이펩타이드]]
* [[마이크로펩타이드]]
* [[다기능성 펩타이드]]
* [[신경펩타이드]]
* [[팔미토일 펜타펩타이드-4]]
* [[랑게르한스섬]]
* [[펩타이드 스펙트럼 라이브러리]]
* [[펩타이드 합성]]
* [[펩티도미메틱]] ([[펩토이드 peptoid]] 및 [[베타-펩타이드|β-펩타이드]])은 펩타이드에 대해 다른 특성을 갖는다.
* [[단백질 태그]] – 단백질의 분리 또는 검출을 가능하게 하는 펩타이드 서열의 첨가를 설명함
* [[레플리킨스]]
* [[리보솜]]
* [[번역 (생물학)]]
{{Div col end}}


== 각주 ==
== 각주 ==
{{위키공용분류}}
{{위키공용분류}}
{{각주}}
{{각주}}

{{글로벌|제목=펩티드|주소=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3%9D%EB%AC%BCII%C2%B7%EC%8B%9D%EB%AC%BC%C2%B7%EA%B4%80%EC%B0%B0/%EC%83%9D%EB%AA%85%EA%B3%BC_%EB%AC%BC%EC%A7%88/%EC%83%9D%EB%AC%BC%EC%B2%B4%EB%A5%BC_%EB%A7%8C%EB%93%9C%EB%8A%94_%EB%AC%BC%EC%A7%88/%EC%83%9D%EB%AC%BC%EC%B2%B4%EB%A5%BC_%EB%A7%8C%EB%93%9C%EB%8A%94_%EC%9C%A0%EA%B8%B0%EB%AC%BC#%ED%8E%A9%ED%8B%B0%EB%93%9C}}


{{아미노산}}
{{아미노산}}

{{전거 통제}}
{{전거 통제}}



2022년 5월 11일 (수) 12:13 판

녹색으로 표시된 아미노 말단(L-발린)과 파란색으로 표시된 카복실 말단(L-알라닌)을 가지고 있는 테트라펩타이드 (예: Val-Gly-Ser-Ala)

펩타이드(영어: peptide)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아미노산들의 짧은 사슬이다.[1][2] 펩타이드라는 용어는 "소화되다(digested)"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 "πεπτός (peptós)", "소화하다(to digest)"라는 의미의 고대 그리스어 "πέσσειν (péssein)"에서 유래하였다. 아미노산이 20개 미만인 사슬을 올리고펩타이드라고 하며, 올리고펩타이드는 다이펩타이드, 트라이펩타이드, 테트라펩타이드를 포함한다.

폴리펩타이드(영어: polypeptide)는 보다 더 길고, 연속적이며, 가지가 없는 펩타이드 사슬이다.[3] 따라서 펩타이드는 핵산, 올리고당류, 다당류 및 기타 분자들과 함께 생물학적 중합체올리고머의 광범위한 화학적 부류에 속한다.

대략 50개 이상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폴리펩타이드를 단백질이라고 한다.[3][4][5] 단백질은 생물학적 방식으로 배열된 하나 이상의 폴리펩타이드로 구성되며, 보통 조효소보조 인자와 같은 리간드, 또는 다른 단백질 또는 DNARNA와 같은 다른 거대분자, 또는 복잡한 거대분자 집합체와 결합한다.[6]

펩타이드에 포함된 아미노산을 잔기라고 한다. 각각의 아마이드 결합이 형성될 때 물 분자가 방출된다.[7] 고리형 펩타이드를 제외한 모든 펩타이드는 펩타이드 양쪽 말단에 각각 N-말단(아미노기)과 C-말단(카복실기) 잔기를 갖는다.

종류

많은 종류의 펩타이드들이 알려져 있다. 펩타이드들은 공급원과 기능에 따라 분류되거나 범주화되었다. 《생물학적 활성 펩타이드의 핸드북》(The Handbook of Biologically Active Peptides)에 따르면 펩타이드의 일부 부류에는 식물 펩타이드, 세균/항균 펩타이드, 균류 펩타이드, 무척추동물 펩타이드, 양서류/피부 펩타이드, 독 펩타이드, 암/항암 펩타이드, 백신 펩타이드, 면역/염증 펩타이드, 뇌 펩타이드, 내분비 펩타이드, 섭취 펩타이드, 위장 펩타이드, 심혈관 펩타이드, 신장 펩타이드, 호흡 펩타이드, 아편 펩타이드, 신경영양 펩타이드 및 혈액-뇌 펩타이드 등이 있다.[8]

일부 리보솜 펩타이드는 단백질 분해의 대상이 된다. 이러한 기능은 일반적으로 고등 생물에서 호르몬 및 신호 분자로 기능하게 한다. 일부 미생물은 마이크로신박테리오신과 같은 항생제로 펩타이드를 생성한다.[9]

펩타이드는 종종 인산화, 하이드록실화, 설폰화, 팔미토일화, 글리코실화이황화물 형성과 같은 번역 후 변형을 겪는다. 일반적으로 펩타이드는 선형이지만 올가미 구조도 관찰되었다.[10] 오리너구리 독에서 L-아미노산을 D-아미노산으로 라세미화하는 것과 같은 보다 더 특이한 변형도 일어난다.[11]

비리보솜 펩타이드리보솜이 아니라 효소에 의해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비리보솜 펩타이드는 대부분의 호기성 생물에서 항산화 방어 성분인 글루타티온이다.[12] 다른 비리보솜 펩타이드는 단세포 생물, 식물, 균류에서 가장 일반적이며, 비리보솜 펩타이드 합성효소라고 하는 모듈식 효소 복합체에 의해 합성된다.[13]

이러한 복합체는 보통 유사한 방식으로 배치되며, 생성물에 대해 다양한 화학적 변형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14] 선형의 비리보솜 펩타이드도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펩타이드는 보통 고리형이고 고도로 복잡한 고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지방산폴리케타이드를 만드는 체계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혼성체 화합물이 종종 발견된다. 옥사졸 또는 싸이아졸의 존재는 보통 화합물이 이러한 방식으로 합성되었음을 나타낸다.[15]

펩톤(영어: peptone)은 동물성 우유 또는 단백질 분해에 의해 소화된 고기에서 유래한다.[16] 작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것 외에도 결과로 생성되는 물질에는 지방, 금속, , 비타민 및 기타 많은 생물학적 화합물이 포함된다. 펩톤은 생장하는 세균과 곰팡이를 위한 영양 배지에 사용된다.[17]

펩타이드 단편은 공급원 단백질을 식별하거나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는 단백질 단편을 나타낸다.[18] 종종 이들은 통제된 샘플에 대해 실험실에서 수행된 효소 분해의 산물이지만 자연적인 영향에 의해 분해된 법의학 또는 고생물학 샘플일 수도 있다.[19][20]

화학 합성

Fmoc-α-아민-보호 아미노산을 이용한 링크(rink) 아마이드 수지에서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

패밀리의 예시

이 부류의 펩타이드 패밀리는 일반적으로 호르몬 활성이 있는 리보솜 펩타이드이다. 이러한 모든 펩타이드는 세포에 의해 더 긴 "프로펩타이드(propeptide)" 또는 "전구단백질(proprotein)"로 합성되고 세포를 빠져 나가기 전에 절단된다. 이들은 신호전달 기능을 수행하는 혈류로 방출된다.

항균 펩타이드

타키키닌 펩타이드

혈관작동성 장 펩타이드

췌장 폴리펩타이드 관련 펩타이드

오피오이드 펩타이드

칼시토닌 펩타이드

자가 조립 펩타이드

기타 펩타이드

용어

길이에 따른 용어

펩타이드와 관련된 여러 용어는 길이에 대한 엄격한 정의가 없으며, 그 사용에서 중복되는 경우가 많다.

  • 폴리펩타이드는 많은 아미노산들(임의의 길이)이 아마이드 결합에 의해 결합된 단일 선형 사슬이다.
  • 단백질은 하나 이상의 폴리펩타이드(약 50개 이상의 아미노산들로 구성)로 구성된다.
  • 올리고펩타이드는 단지 몇 개의 아미노산(2개에서 20개 사이)들로 구성된다.
녹색으로 표시된 아미노 말단(L-발린)과 파란색으로 표시된 카복실 말단(L-알라닌)을 가지고 있는 트라이펩타이드 (예: Val-Gly-Ala)

아미노산의 수에 따른 용어

정의된 길이의 펩타이드는 IUPAC 숫자 접두사를 사용하여 명명한다.

  • 모노펩타이드는 1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다이펩타이드는 2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트라이펩타이드는 3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테트라펩타이드는 4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펜타펩타이드는 5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헥사펩타이드는 6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헵타펩타이드는 7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 옥타펩타이드는 8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예: 안지오텐신 II).
  • 노나펩타이드는 9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예: 옥시토신).
  • 데카펩타이드는 10개의 아미노산을 가지고 있다 (예: 생식샘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안지오텐신 I).

기능에 따른 용어

같이 보기

각주

  1. Hamley, I W (September 2020). 《introduction to Peptide Science》. Wiley. ISBN 9781119698173. 
  2. Nelson, David L.; Cox, Michael M. (2005). Principles of Biochemistry (4th ed.). New York: W. H. Freeman. ISBN 0-7167-4339-6.
  3. Saladin, K (2011년 1월 13일). 《Anatomy & physiology: the unity of form and function》 6판. McGraw-Hill. 67쪽. ISBN 9780073378251. 
  4.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1997). 온라인 수정 버전: (2006–) "proteins". doi 10.1351/goldbook.P04898
  5. “What are peptides”. Zealand Pharma A/S. 2019년 4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6. Ardejani, Maziar S.; Orner, Brendan P. (2013년 5월 3일). “Obey the Peptide Assembly Rules”. 《Science》 340 (6132): 561–562. Bibcode:2013Sci...340..561A. doi:10.1126/science.1237708. ISSN 0036-8075. PMID 23641105. S2CID 206548864. 
  7.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the "Gold Book") (1997). 온라인 수정 버전: (2006–) "amino-acid residue in a polypeptide". doi 10.1351/goldbook.A00279
  8. Abba J. Kastin, 편집. (2013). 《Handbook of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2판. ISBN 978-0-12-385095-9. 
  9. Duquesne S, Destoumieux-Garzón D, Peduzzi J, Rebuffat S (August 2007). “Microcins, gene-encoded antibacterial peptides from enterobacteria”. 《Natural Product Reports》 24 (4): 708–34. doi:10.1039/b516237h. PMID 17653356. 
  10. Pons M, Feliz M, Antònia Molins M, Giralt E (May 1991). “Conformational analysis of bacitracin A, a naturally occurring lariat”. 《Biopolymers》 31 (6): 605–12. doi:10.1002/bip.360310604. PMID 1932561. S2CID 10924338. 
  11. Torres AM, Menz I, Alewood PF, 외. (July 2002). “D-Amino acid residue in the C-type natriuretic peptide from the venom of the mammal, Ornithorhynchus anatinus, the Australian platypus”. 《FEBS Letters》 524 (1–3): 172–6. doi:10.1016/S0014-5793(02)03050-8. PMID 12135762. S2CID 3015474. 
  12. Meister A, Anderson ME; Anderson (1983). “Glutathione”. 《Annual Review of Biochemistry》 52 (1): 711–60. doi:10.1146/annurev.bi.52.070183.003431. PMID 6137189. 
  13. Hahn M, Stachelhaus T; Stachelhaus (November 2004). “Selective interaction between nonribosomal peptide synthetases is facilitated by short communication-mediating domain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 (44): 15585–90. Bibcode:2004PNAS..10115585H. doi:10.1073/pnas.0404932101. PMC 524835. PMID 15498872. 
  14. Finking R, Marahiel MA; Marahiel (2004). “Biosynthesis of nonribosomal peptides1”. 《Annual Review of Microbiology》 58 (1): 453–88. doi:10.1146/annurev.micro.58.030603.123615. PMID 15487945. 
  15. Du L, Shen B; Shen (March 2001). “Biosynthesis of hybrid peptide-polyketide natural products”. 《Current Opinion in Drug Discovery & Development》 4 (2): 215–28. PMID 11378961. 
  16. “UsvPeptides- USVPeptides is a leading pharmaceutical company in India”. 《USVPeptides》. 
  17. Payne, J. W.; Rose, Anthony H.; Tempest, D. W. (1974년 9월 27일). 〈Peptides and micro-organisms〉. 《Advances in Microbial Physiology, Volume 13》. Advances in Microbial Physiology 13. Oxford, England: Elsevier Science. 55–160쪽. doi:10.1016/S0065-2911(08)60038-7. ISBN 9780080579719. OCLC 1049559483. PMID 775944. 
  18. Hummel J, Niemann M, Wienkoop S, Schulze W, Steinhauser D, Selbig J, Walther D, Weckwerth W (2007). “ProMEX: a mass spectral reference database for proteins and protein phosphorylation sites”. 《BMC Bioinformatics》 8 (1): 216. doi:10.1186/1471-2105-8-216. PMC 1920535. PMID 17587460. 
  19. Webster J, Oxley D; Oxley (2005). 《Peptide mass fingerprinting: protein identification using MALDI-TOF mass spectrometry》. Methods in Molecular Biology 310. 227–40쪽. doi:10.1007/978-1-59259-948-6_16. ISBN 978-1-58829-399-2. PMID 16350956. 
  20. Marquet P, Lachâtre G; Lachâtre (October 1999).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potential in forensic and clinical toxicology”. 《Journal of Chromatography B》 733 (1–2): 93–118. doi:10.1016/S0378-4347(99)00147-4. PMID 10572976. 
  21. Tao, Kai; Makam, Pandeeswar; Aizen, Ruth; Gazit, Ehud (2017년 11월 17일). “Self-assembling peptide semiconductors”. 《Science》 358 (6365): eaam9756. doi:10.1126/science.aam9756. PMC 5712217. PMID 29146781. 
  22. Tao, Kai; Levin, Aviad; Adler-Abramovich, Lihi; Gazit, Ehud (2016년 4월 26일). “Fmoc-modified amino acids and short peptides: simple bio-inspired building blocks for the fabrication of functional materials”. 《Chem. Soc. Rev.》 45 (14): 3935–3953. doi:10.1039/C5CS00889A. PMID 27115033. 
  23. Tao, Kai; Wang, Jiqian; Zhou, Peng; Wang, Chengdong; Xu, Hai; Zhao, Xiubo; Lu, Jian R. (2011년 2월 10일). “Self-Assembly of Short Aβ(16−22) Peptides: Effect of Terminal Capping and the Role of Electrostatic Interaction”. 《Langmuir》 27 (6): 2723–2730. doi:10.1021/la1034273. PMID 21309606. 
  24. Ian Hamley (2011). “Self-Assembly of Amphiphilic Peptides” (PDF). 《Soft Matter》 7 (9): 4122–4138. Bibcode:2011SMat....7.4122H. doi:10.1039/C0SM01218A. 
  25. Kai Tao, Guy Jacoby, Luba Burlaka, Roy Beck, Ehud Gazit (2016년 7월 26일). “Design of Controllable Bio-Inspired Chiroptic Self-Assemblies”. 《Biomacromolecules》 17 (9): 2937–2945. doi:10.1021/acs.biomac.6b00752. PMID 27461453. 
  26. Kai Tao, Aviad Levin, Guy Jacoby, Roy Beck, Ehud Gazit (2016년 8월 23일). “Entropic Phase Transitions with Stable Twisted Intermediates of Bio‐Inspired Self‐Assembly”. 《Chem. Eur. J.》 22 (43): 15237–15241. doi:10.1002/chem.201603882. PMID 27550381. 
  27. Donghui Jia, Kai Tao, Jiqian Wang, Chengdong Wang, Xiubo Zhao, Mohammed Yaseen, Hai Xu, Guohe Que, John R. P. Webster, Jian R. Lu (2011년 6월 16일). “Dynamic Adsorption and Structure of Interfacial Bilayers Adsorbed from Lipopeptide Surfactants at the Hydrophilic Silicon/Water Interface: Effect of the Headgroup Length”. 《Langmuir》 27 (14): 8798–8809. doi:10.1021/la105129m. PMID 21675796. 
  28. Heitz, Marc; Javor, Sacha; Darbre, Tamis; Reymond, Jean-Louis (2019년 8월 21일). “Stereoselective pH Responsive Peptide Dendrimers for siRNA Transfection”. 《Bioconjugate Chemistry》 (영어) 30 (8): 2165–2182. doi:10.1021/acs.bioconjchem.9b00403. ISSN 1043-1802. PMID 31398014. S2CID 199519310. 
  29. Boelsma E, Kloek J; Kloek (March 2009). “Lactotripeptides and antihypertensive effects: a critical review”. 《The British Journal of Nutrition》 101 (6): 776–86. doi:10.1017/S0007114508137722. PMID 19061526. 
  30. Xu JY, Qin LQ, Wang PY, Li W, Chang C (October 2008). “Effect of milk tripeptides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Nutrition》 24 (10): 933–40. doi:10.1016/j.nut.2008.04.004. PMID 18562172. 
  31. Pripp AH (2008). “Effect of peptides derived from food proteins on blood pressure: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Food & Nutrition Research》 52: 10.3402/fnr.v52i0.1641. doi:10.3402/fnr.v52i0.1641. PMC 2596738. PMID 19109662. 
  32. Engberink MF, Schouten EG, Kok FJ, van Mierlo LA, Brouwer IA, Geleijnse JM (February 2008). “Lactotripeptides show no effect on human blood pressure: results from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ypertension》 51 (2): 399–405. doi:10.1161/HYPERTENSIONAHA.107.098988. PMID 18086944. 
  33. Wu, Hongzhong; Ren, Chunyan; Yang, Fang; Qin, Yufeng; Zhang, Yuanxing; Liu, Jianwen (April 2016). “Extraction and identification of collagen-derived peptides with hematopoietic activity from Colla Corii Asini”.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82: 129–136. doi:10.1016/j.jep.2016.02.019. PMID 2691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