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프로베니우스 대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추상대수학에서 프로베니우스 대수(영어: Frobenius algebra)는 호환되는 내적이 주어진 유한 차원 단위 결합 대수이다.

정의

[편집]

위의 유한 차원 결합 대수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이는 스스로 위의 쌍가군 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그 쌍대 가군

역시 스스로 위의 쌍가군 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이다.

그렇다면, 다음 조건들이 서로 동치이다.

  • -왼쪽 가군의 동형 이 존재한다.
  • -오른쪽 가군의 동형 이 존재한다.

증명:

왼쪽 가군의 동형

이 주어졌다고 하자. 즉,

에 대하여,

라고 하자. 그렇다면,

를 정의하면,

이므로, 오른쪽 가군의 동형이다.

반대 방향의 함의도 마찬가지다.

또한, 이러한 동형이 존재할 필요 조건은 물론 가 유한 차원 -벡터 공간인 것이다.

이러한 동형이 갖추어진 -결합 대수프로베니우스 대수라고 한다.

프로베니우스 대수 가 주어졌다면, 다음과 같은 구조들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우선,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 성립한다. 가 벡터 공간의 동형이므로, 비퇴화 쌍선형 형식이다. 이를 프로베니우스 형식이라고 한다.

또한, 대각합

을 정의할 수 있다.

만약 라면, 대칭 프로베니우스 대수(영어: symmetric Frobenius algebra)이라고 한다.

가환환인 프로베니우스 대수를 가환 프로베니우스 대수(영어: commutative Frobenius algebra)라고 한다.

프로베니우스 대상

[편집]

보다 일반적으로 모노이드 범주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반대 범주 역시 같은 텐서곱으로 모노이드 범주를 이룬다.

속의 프로베니우스 대상(영어: Frobenius object)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모노이드 대상
  • 쌍대 모노이드 대상 (즉, 모노이드 대상)

이 두 구조는 다음과 같은 호환 관계를 만족시켜야 한다.

(편의상, 모노이드 범주의 결합자 등을 생략하였다.)

위상 양자장론과의 관계

[편집]
바지 곡면(영어: pair of pants). 이 곡면에서의 분배 함수는 가환 프로베니우스 대수의 곱셈을 정의한다.

2차원 위상 양자장론은 가환 프로베니우스 대수로 나타내어진다.[1][2]:24–27 정확히 말하면, (복소) 가환 프로베니우스 대수의 범주는 2차원 위상 양자장론의 범주와 동치이다. 프로베니우스 대수와 위상 양자장론은 다음과 같이 대응된다.

기호 가환 프로베니우스 대수 2차원 위상 양자장론
프로베니우스 대수 의 힐베르트 공간
프로베니우스 형식 힐베르트 공간의 내적
곱셈 바지 곡면(en:pair of pants (mathematics))의 분배 함수
곱셈의 단위원 원판분배 함수

[편집]

위의 행렬환 위의 임의의 부분환 이 주어졌을 때, 프로베니우스 형식

을 주면, 이는 위의 프로베니우스 대수를 이룬다. 이면 이는 가환 대수가 아니다.

모든 유한 차원 호프 대수는 프로베니우스 대수이다.

군환

[편집]

임의의 유한군 에 대하여, 군환 위에 프로베니우스 형식

을 부여하면, 프로베니우스 대수를 이룬다. 여기서 는 군의 항등원으로 생성되는 1차원 부분 공간으로의 사영이다. 즉,

이다. 이 경우, 대각합은

이다.

표현환

[편집]

유한군 가 주어졌다고 하자. 의 유리수 계수 유니터리 표현환

위에 프로베니우스 형식

를 부여하자. 여기서

은 자명한 표현으로의 사영 사상이다. 이 경우

기약 표현 분해에 포함된 자명한 표현의 차원이 된다.

역사 및 어원

[편집]

리하르트 브라우어와 세실 네스빗(영어: Cecil J. Nesbitt)이 1937년 도입하였고,[3] 페르디난트 게오르크 프로베니우스의 이름을 땄다.

같이 보기

[편집]

참고 문헌

[편집]
  1. Dubrovin, Boris (1994). “Geometry of 2d topological field theories” (영어). arXiv:hep-th/9407018. Bibcode:1994hep.th....7018D. 
  2. Dijkgraaf, Robbert. “Les Houches lectures on fields, strings and duality” (영어). arXiv:hep-th/9703136. Bibcode:1997hep.th....3136D. 
  3. Brauer, Richard; Nesbitt, Cecil J. (1937). “On the regular representations of algebra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3 (4): 236–240. doi:10.1073/pnas.23.4.236. PMC 1076908. PMID 16588158. 

외부 링크

[편집]
  • “Frobenius algebra”. 《nLab》 (영어). 
  • Baez, John (2008년 8월 6일). “Week 268”. 《This Week’s Find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2013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2일에 확인함. 
  • Baez, John (2010년 6월 12일). “Week 299”. 《This Week’s Find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2013년 9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9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