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지 구
보이기
비가환 기하학에서 퍼지 구(fuzzy球, 영어: fuzzy sphere)는 일반적인 구를 비가환 공간으로 일반화한 경우다. 3차원 각운동량 연산자로 생성된다.
정의
[편집]스핀이 인 SU(2) 표현 ()를 생각하자. 이들은 에르미트 행렬이며, 다음과 같은 관계를 만족시킨다.
여기서 는 3차원 레비치비타 기호다.
다음과 같은 총 각운동량 연산자를 생각하자.
이제 다음과 같이 좌표 를 정의하자.
그렇다면
이 되므로, 를 반지름이 인 구의 좌표로 생각할 수 있다. 이 비가환 공간을 퍼지 구(영어: fuzzy sphere)라고 한다. 영어: fuzzy 퍼지[*]는 ‘흐릿한, 보풀이 이는’을 뜻하는 형용사로, 좌표의 비가환성을 보풀에 비유한 것이다.
퍼지 구의 좌표들 는 서로 가환하지 않는다.
다만, 각운동량이 매우 큰 고전적 극한 을 취하면, 이 되어 가환구로 수렴하게 된다.
퍼지 구 위의 미적분
[편집]퍼지 구 위의 함수는 에르미트 행렬이다. 이러한 함수 의 미분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이는 를 대입하면 올바른 결과를 얻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사용하여 라플라스 연산자도 유사하게 정의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상수함수 (단위행렬)을 대입해 퍼지 구의 겉넓이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전적 극한 를 취하면 겉넓이가 가환구의 겉넓이 로 수렴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사
[편집]존 마도어(영어: John Madore)가 1991년에 도입하였다.[1]
각주
[편집]- ↑ Madore, John (1992년 1월). “The fuzzy sphere”. 《Classical and Quantum Gravity》 (영어) 9 (1): 69–87. doi:10.1088/0264-9381/9/1/008. ISSN 0264-9381.
- Alekseev, A. Y.; A. Recknagel, V. Schomerus (1999). “Non-commutative worldvolume geometries: D-branes on SU(2) and fuzzy spheres”. 《Journal of High Energy Physics》 (영어) 1999 (9): 23. arXiv:hep-th/9908040. Bibcode:1999JHEP...09..023A. doi:10.1088/1126-6708/1999/09/023. ISSN 1126-6708.
- Douglas, Michael R.; Nikita A. Nekrasov (2001년 11월 29일). “Noncommutative field theory”. 《Reviews of Modern Physics》 (영어) 73 (4): 977–1029. arXiv:hep-th/0106048. Bibcode:2001RvMP...73..977D. doi:10.1103/RevModPhys.73.977. ISSN 0034-6861.
- Jens, Hoppe (2002). “Membranes and matrix models” (영어). arXiv:hep-th/0206192. Bibcode:2002hep.th....6192H.
- D’Andrea, Francesco; Fedele Lizzi, Joseph C. Várilly (2013년 2월). “Metric properties of the fuzzy sphere”. 《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 (영어) 103 (2): 183–205. arXiv:1209.0108. Bibcode:2013LMaPh.103..183D. doi:10.1007/s11005-012-0590-5. ISSN 0377-9017. MR 3010459. Zbl pre06137157.
- Plazas, Jorge (2008). 〈Examples of noncommutative manifolds: complex tori and spherical manifolds〉. 《An invitation to noncommutative geometry. Lectures of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noncommutative geometry, Tehran, Iran, 2005》 (영어). World Scientific. 419–445쪽. arXiv:math/0703849. Bibcode:2007math......3849P. ISBN 978-981-270-616-4. Zbl 1146.58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