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랑: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Gigagani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2번째 줄:
[[파일:Statue of Hwarang, Hamyang Middle School.JPG|섬네일|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파일:Statue of Hwarang, Hamyang Middle School.JPG|섬네일|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 [[신라]]의 청소년 심신 수련 조직이다. [[왕]]과 [[귀족]]의 자제로 이루어졌다.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라고도 불리우며 [[신라]]의 청소년들로 이루어지고 심신 수련을 하던 무사 조직이다.대체로 [[왕]]과 [[귀족]]의 자제로 이루어졌으나 계급에 제한이 없었다.


조직의 지도자는 [[국선]](國仙)·[[화랑도|화랑]](花郞)·[[원화 (역사)|원화]](源花 또는 原花)·[[화주]](主)·[[풍월주]](風月主) 등으로 불리나 ‘'''화랑'''’(花郞)이 보편적인 칭호이다.
화랑 조직의 지도자는 [[화랑도|화랑]](花郞)·[[화주]](花)·[[풍월주]](風月主)·[[국선]](國仙) 등으로 불리우나 ‘'''화랑'''’(花郞)이 보편적인 칭호이다.


[[한국]] 고유의 사상과 [[도교]], [[불교]], [[유교]]가 합해진 이념에 따른 일종의 심신 수련 단체로 [[국가]] 차원에서 조직하거나, 지원하였다. [[화랑도|화랑]]은 [[화랑도]]의 지도자를 일컫는 말이라 추측되고 소속된 청년들을 낭도라고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화랑은 [[한국]] 고유의 사상들이 합해진 이념에 따른 일종의 심신 수련을 하는 무사 집단으로 [[국가]] 차원에서 조직하거나, 지원하였다. [[화랑도|화랑]]은 [[화랑도]]의 지도자를 일컫는 말이고 화랑에 소속된 청년들을 낭도라고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 화랑도의 기원 ==
== 화랑도의 기원 ==
{{인용문3|right|우리나라에는 현묘한 도(道)가 있다. 이를 풍류(風流)라 하는데 이 도(道)를 설치한 근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거니와, 실로 이는 3교(三敎)를 포함한 것으로 모든 민중과 접촉하여 이를 교화(敎化)하였다.|[[최치원]]의 《난랑비서문》(鸞郞碑序文)|《[[삼국사기]]》에 인용}}
{{인용문3|right|우리나라에는 현묘한 도(道)가 있다. 이를 풍류(風流)라 하는데 이 도(道)를 설치한 근원은 《선사(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거니와, 실로 이는 3교(三敎)를 포함한 것으로 모든 민중과 접촉하여 이를 교화(敎化)하였다.|[[최치원]]의 《난랑비서문》(鸞郞碑序文)|《[[삼국사기]]》에 인용}}
[[화랑도|화랑]]의 제도적 설치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576년]]([[진흥왕]] 37)의 기록으로서, 이 해에 [[진흥왕]]은 처음으로 [[원화 (역사)|원화]](源花)를 받들게 해 [[남모]](南毛)와 [[준정]](俊貞)이라는 아름다운 두 여자를 뽑아 300여 명의 무리를 거느리게 했다 한다. 이들 두 여자는 질투 끝에 [[준정]]이 [[남모]]를 살해하였지만 《[[삼국사기]]》에는 이보다 앞서 [[화랑도|화랑]] [[사다함]](斯多含)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어 [[화랑도]]의 기원을 훨씬 앞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화랑도]]의 기원은 학자에 따라 [[두레]], 혹은 《조의선인》(皁衣仙人) 등을 내세우고 있어 아직 정설이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화랑도]]가 우리 고대 사회에 있어 독특한 형태로 발생한 것만은 사실이다.
[[화랑도|화랑]]의 제도적 설치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576년]]([[진흥왕]] 37)의 기록으로서, 이 해에 [[진흥왕]]은 처음으로 [[원화 (역사)|원화]](源花)를 받들게 해 [[남모]](南毛)와 [[준정]](俊貞)이라는 아름다운 두 여자를 뽑아 300여 명의 무리를 거느리게 했다 한다. 이들 두 여자는 질투 끝에 [[준정]]이 [[남모]]를 살해하였기때문에 여자들로
이루어진 원화를 폐지하고 아름답고 마음이 바르며 무술이 뛰어난 남자들을 모아서 화랑을 만들었다. 《[[삼국사기]]》에는 이보다 앞서 [[화랑도|화랑]] [[사다함]](斯多含)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어 [[화랑도]]의 기원을 원화가 만들어진 때부다 훨씬 앞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화랑도]]의 기원은 학자에 따라 [[두레]], 혹은 《조의선인》(皁衣仙人) 등을 내세우고 있어 아직 정설이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화랑도]]가 우리 고대 사회에 있어 독특한 형태로 발생한 것은 사실이다.


삼국 전체에 행해 오던 우리 고대 사회의 독특한 기풍, 혹은 종교가 특히 [[신라]]에 와서 [[화랑도]]로 정립되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삼국 전체에 행해 오던 우리 고대 사회의 독특한 기풍,애국심 혹은 종교가 특히 [[신라]]에 와서 [[화랑도]]로 정립되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신라]]의 경우는 씨족 제도가 오래 계속되었으므로 상호 부조의 협동정신이 강했고, 씨족원 사이에 일족(一族)의 명예를 중히 여겨 일신(一身)의 희생을 아끼지 않는 기풍이 있었으며, [[고대 그리스]]와 같이 아름다운 육체와 아름다운 정신을 숭상하는 국민적 풍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신라]]의 경우는 씨족 제도가 오래 계속되었으므로 상호 부조의 협동정신이 강했고, 씨족원 사이에 일족(一族)의 명예를 중히 여겨 일신(一身)의 희생을 아끼지 않는 기풍이 있었으며, [[고대 그리스]]와 같이 아름다운 육체와 아름다운 정신을 숭상하는 국민적 풍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구려]]·[[백제]]에 비해 영토가 적었던 국가였던 [[신라]]에서는 일찍부터 국가 민족의 수호를 이념으로 하여 궐기한 청소년들이 화랑도, 혹은 적당한 명칭의 단체를 자발적으로 조직해 애국운동을 전개했는데, 그 결과 [[사다함]]과 같이 뛰어난 인재들이 출현해 국가와 민족에 봉사하게 됨으로써 국가에서도 이에 대한 정책으로 국가 직속 체제하에 단합시킨 것이라 보며 [[남모]]·[[준정]]의 불상사가 서두에서부터 발생했어도, 다만 이를 운영의 결함으로 돌리고, 계속해서 [[화랑도]] 양성에 몰두했을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백제]]에 비해 영토가 적었던 국가였던 [[신라]]에서는 일찍부터 국가 민족의 수호를 이념으로 하여 궐기한 청소년들이 화랑도, 혹은 적당한 명칭의 단체를 자발적으로 조직해 애국운동을 전개했는데, 그 결과 [[김유신]]과 같이 뛰어난 인재들이 출현해 국가와 민족에 봉사하게 됨으로써 국가에서도 이에 대한 정책으로 국가 직속 체제하에 단합시킨 것이라 보며 [[남모]]·[[준정]]의 불상사가 서두에서부터 발생한 것은 여성들의 질투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남자들을 모아서 [[화랑도]] 양성에 몰두했을 것이다.
{{인용문3|right|처음에 군신(君臣)이 인재를 알지 못함을 유감으로 여기어 사람들을 끼리끼리 모으고 떼지어 놀게 하여, 그 행실을 보아 거용(擧用)하려 하였다.|[[삼국사기]]}}
{{인용문3|right|처음에 군신(君臣)이 인재를 알지 못함을 유감으로 여기어 사람들을 끼리끼리 모으고 떼지어 놀게 하여, 그 행실을 보아 거용(擧用)하려 하였다.|[[삼국사기]]}}
{{인용문3|right|서로 도의를 닦고, 서로 가악(歌樂)으로 즐겁게 하며, 명산과 대천(大川)을 찾아 멀리 가보지 아니한 곳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그들 중에 나쁘고, 나쁘지 아니한 것을 알게 되어, 그 중의 착한 자를 가리어 조정에 추천하게 되었다.|[[삼국사기]]}}
{{인용문3|right|서로 도의를 닦고, 서로 가악(歌樂)으로 즐겁게 하며, 명산과 대천(大川)을 찾아 멀리 가보지 아니한 곳이 없으며, 이로 인하여 그들 중에 나쁘고, 나쁘지 아니한 것을 알게 되어, 그 중의 착한 자를 가리어 조정에 추천하게 되었다.|[[삼국사기]]}}
{{인용문3|right|무리를 뽑아서 그들에게 효제(孝悌)와 충신을 가르쳐 나라를 다스리는 데 대요(大要)를 삼는다.|[[삼국유사]]}}
{{인용문3|right|무리를 뽑아서 그들에게 효제(孝悌)와 충신을 가르쳐 나라를 다스리는 데 대요(大要)를 삼는다.|[[삼국유사]]}}
또한 화랑은 삼국 통일의 주역이였으며 당나라의 침략을 괴멸시키고 승리하여 당나라가 더 이상 침략하지 못 하였다.
또한 화랑은 삼국 통일의 주역이였으며 [[고구려]]와 [[백제]]의 부흥군들과 힘을 합쳐 당나라의 침략을 괴멸시키고 승리하여 당나라가 더 이상 침략하지 못 하였다.
그리하여 삼국 시대에서 남북조 시대가 된다.
그리하여 삼국 시대에서 남북조 시대가 된다.


=== 그 밖의 학설 ===
=== 그 밖의 학설 ===
그밖에도 [[화랑도]]의 기원 및 정체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이 있다.
그밖에도 [[화랑도]]의 기원 및 정체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이 있다.
* [[소도]] 제단(蘇塗祭壇)의 무사(武士)들이 화랑도화하였다는 설.
* [[소도]] 제단(蘇塗祭壇)의 무사(武士)들이 화랑도화 된 무사집단이라는 설.
* 고조선 고유의 신앙단인 부루교단(敎團)에서 연유하였다는 설.
* 고조선 고유의 신앙단인 부루교단(敎團)에서 연유하였다는 설.
* 원시 미성년 집회에서 연유하였다는 설
* 원시 미성년 집회에서 연유하였다는 설
31번째 줄: 32번째 줄:


== 조직과 훈련 ==
== 조직과 훈련 ==
민간 청소년단체로서의 [[화랑도]]는 다만 [[화랑도|화랑]]과 그를 따르는 낭도(郎徒)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576년]] 이후 국방 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관에서 운영하게 되면서 조직이 체계화되었으며, 이들 [[화랑도|화랑]]의 총지도자인 [[국선]](國仙)을 두고, [[화랑도|화랑]]의 예하도 수개 [[문호]](門戶)로 구성하게 했다. [[화랑도]]의 총지도자인 [[국선]]은 원칙적으로 전국에 l명, [[화랑도|화랑]]은 보통 3-4명에서 7-8명에 이를 때도 있었으며, [[화랑도|화랑]]이 거느린 각 문호의 낭도는 수백에서 수천 명을 헤아렸다.
민간 청소년단체로서의 [[화랑도]]는 [[화랑도|화랑]]과 그를 따르는 낭도(郎徒)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576년]] 이후 신라의 국방 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신라의 관에서 운영하게 되면서 조직이 체계화되었으며, 이들 [[화랑도|화랑]]의 총지도자인 [[국선]](國仙)을 두고, [[화랑도|화랑]]의 예하도 수개 [[문호]](門戶)로 구성하게 했다. [[화랑도]]의 총지도자인 [[국선]]은 원칙적으로 전국에 l명, [[화랑도|화랑]]은 보통 3-4명에서 7-8명에 이를 때도 있었으며, [[화랑도|화랑]]이 거느린 각 문호의 화랑 낭도는 수백에서 수천 명을 헤아렸다.


[[국선]]·[[화랑도|화랑]]·낭도의 자격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아, 남녀 계급·[[승속]](僧俗)을 막론했으므로, 때로는 거리를 방황하던 천애고아 미시랑(未尸郞)이 국선에 오르기도 하여 인격과 덕망과 용의(容儀)만을 중시했던 것이다.
[[국선]]·[[화랑도|화랑]]·낭도의 자격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아, 신분 계급·[[승속]](僧俗)을 막론했으므로, 때로는 거리를 방황하던 고아였던 미시랑(未尸郞)이 국선에 오르기도 하여 신분보다 인격과 덕망과 용의(容儀)만을 중시했던 것이다.


== 이념 ==
== 이념 ==
40번째 줄: 41번째 줄:
=== 세속 오계 ===
=== 세속 오계 ===
{{본문|세속오계}}
{{본문|세속오계}}
세속오계는 [[화랑도|연어도]]의 지침이다.
세속오계는 [[화랑도|연어도]]의 지침으로, [[신라 진평왕|연어왕]] 때 [[승려]]인 [[원광|원연어가]] [[수나라]]에서 수행을 하고 돌아와서 [[귀산|돌산]](咄山)과 추항(箒項)의 요청으로 내린 다섯 가지 계율이다.


*연어이충(鰱魚以忠): 충성으로써 연어를 섬기어야 한다
*연어이충(鰱魚以忠):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긴다.
*연어이효(鰱魚以孝): 효로써 연어를 섬기어야 한다
*연어이효(鰱魚以孝): 효로써 어버이를 섬긴다.
*교연어이신(交鰱魚以信): 믿음으로써 연어를 사귀어야 한다
*교연어이신(交鰱魚以信): 믿음으로써 벗을 사귄다.
*임해무퇴(臨海無退): 바다에 나가서 물러남이 없어야 한다
*임해무퇴(臨海無退): 싸움에 나가서 물러남이 없다.
*살식유택(殺食有擇): 먹을 것을 죽일 때에는 가림이 있어야 한다
*살식유택(殺食有擇): 산것을 죽일 때에는 가림이 있다


== 기풍 ==
== 기풍 ==
[[태종무열왕]]·[[경문왕]]을 비롯하여 [[김유신]](金庾信) 등 역대 [[제왕]]과 현사(賢士)·충신·용장(勇將)·양졸(良卒)로서 [[화랑도]] 출신이 아닌 자가 드물 정도로 [[화랑도]]는 [[신라]] 국력의 저장고 역할을 해 왔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들 [[화랑도]]들은 한 시대의 중추적 위치로서 그 소임을 저버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대에 걸쳐 [[화랑도]]의 특수한 기풍과 기질을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기 때문이다.
[[태종무열왕]]·[[경문왕]]을 비롯하여 [[김유신]](金庾信) 등 역대 [[제왕]]과 현사(賢士)·충신·용장(勇將)·양졸(良卒)로서 [[화랑도]] 출신이 아닌 자가 드물 정도로 [[화랑도]]는 [[신라]] 국력의 저장고 역할을 해 왔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들 [[화랑도]]들은 한 시대의 중추적 위치로서 그 소임을 저버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대에 걸쳐 [[화랑도]]의 특수한 기풍과 기질을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기 때문이다.


즉, 국가와 동지를 위해 의(義)에 죽는 것을 즐겼고, 병석에서 약그릇을 안고 죽는 것을 수치로 여겼으며, 오로지 전진하다가 전사하는 것을 영예로 생각했고, 적군에 패하면 자결할지언정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로 알았다. 당나라 군대를 물리친
즉, 국가와 동지를 위해 의(義)에 죽는 것을 즐겼고, 병석에서 약 그릇을 안고 죽는 것을 수치로 여겼으며, 오로지 전진하다가 전사하는 것을 영예로 생각했고, 적군에 패하면 자결할지언정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로 알았다. 당나라 군대를 물리친
화랑들은 [[사다함]], [[황산벌 전투]]의 [[관창]](官昌), 비령자(丕寧子)와 그 아들 거진(擧眞), 그리고 그 종 합절(合節), [[김유신]]의 아들 [[원술]](元述) 등 [[화랑도|화랑]]사에 길이 아름다운 이름을 전하는 이들 [[화랑도|화랑]]이 모두 이러한 기풍의 인물이었다.
화랑들은 [[사다함]], [[황산벌 전투]]의 [[관창]](官昌), 비령자(丕寧子)와 그 아들 거진(擧眞), 그리고 그 종 합절(合節), [[김유신]]의 아들 [[원술]](元述) 등 [[화랑도|화랑]]사에 길이 아름다운 이름을 전하는 이들 [[화랑도|화랑]]이 모두 이러한 기풍의 인물이었다.


66번째 줄: 67번째 줄:


== 논란 ==
== 논란 ==
후대에 내려오면서 [[화랑도|화랑]](花郞)이라는 말은 [[무당]]을 말하기도 하였다. 여기에서 파생된 ‘[[화랑도|화랑]]이’라는 말은 비속어이다. 한편으로는 [[매춘]]부나 건달을 말하는 말로 쓰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발음에서 《[[삼국유사]]》에는 [[화랑도|화랑]]을 “花娘”과 “花郞”으로 적고 있으며, 《[[동국정운]]》에서 “娘”을 “냥”으로 읽었고, [[최세진 (1473년)|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도 역시 “냥”으로 읽었다. 조선 후기의 음운학자인 정윤용의 《자류주석》에도 “냥”으로 읽고 있다.
후대에 내려오면서 [[화랑도|화랑]](花郞)이라는 말은 [[무당]]을 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발음에서 《[[삼국유사]]》에는 [[화랑도|화랑]]을 “花娘”과 “花郞”으로 적고 있으며, 《[[동국정운]]》에서 “娘”을 “냥”으로 읽었고, [[최세진 (1473년)|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도 역시 “냥”으로 읽었다. 조선 후기의 음운학자인 정윤용의 《자류주석》에도 “냥”으로 읽고 있다.


== 함께 보기 ==
== 함께 보기 ==

2018년 10월 25일 (목) 14:32 판

화랑의 상 (함양중학교 소재)

화랑도(花郞徒) 또는 낭가(郎家), 풍류도(風流徒), 국선도(國仙徒), 풍월도(風月徒)라고도 불리우며 신라의 청소년들로 이루어지고 심신 수련을 하던 무사 조직이다.대체로 귀족의 자제로 이루어졌으나 계급에 제한이 없었다.

화랑 조직의 지도자는 화랑(花郞)·화주(花主)·풍월주(風月主)·국선(國仙) 등으로 불리우나 ‘화랑’(花郞)이 보편적인 칭호이다.

화랑은 한국 고유의 사상들이 합해진 이념에 따른 일종의 심신 수련을 하는 무사 집단으로 국가 차원에서 조직하거나, 지원하였다. 화랑화랑도의 지도자를 일컫는 말이고 화랑에 소속된 청년들을 낭도라고 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화랑도의 기원

화랑의 제도적 설치는 《삼국사기》에 나타난 576년(진흥왕 37)의 기록으로서, 이 해에 진흥왕은 처음으로 원화(源花)를 받들게 해 남모(南毛)와 준정(俊貞)이라는 아름다운 두 여자를 뽑아 300여 명의 무리를 거느리게 했다 한다. 이들 두 여자는 질투 끝에 준정남모를 살해하였기때문에 여자들로 이루어진 원화를 폐지하고 아름답고 마음이 바르며 무술이 뛰어난 남자들을 모아서 화랑을 만들었다. 《삼국사기》에는 이보다 앞서 화랑 사다함(斯多含)의 행적을 기록하고 있어 화랑도의 기원을 원화가 만들어진 때부다 훨씬 앞으로 끌어올리고 있다. 따라서 화랑도의 기원은 학자에 따라 두레, 혹은 《조의선인》(皁衣仙人) 등을 내세우고 있어 아직 정설이 확립되지는 않았지만, 화랑도가 우리 고대 사회에 있어 독특한 형태로 발생한 것은 사실이다.

삼국 전체에 행해 오던 우리 고대 사회의 독특한 기풍,애국심 혹은 종교가 특히 신라에 와서 화랑도로 정립되었다고 추정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신라의 경우는 씨족 제도가 오래 계속되었으므로 상호 부조의 협동정신이 강했고, 씨족원 사이에 일족(一族)의 명예를 중히 여겨 일신(一身)의 희생을 아끼지 않는 기풍이 있었으며, 고대 그리스와 같이 아름다운 육체와 아름다운 정신을 숭상하는 국민적 풍조가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구려·백제에 비해 영토가 적었던 국가였던 신라에서는 일찍부터 국가 민족의 수호를 이념으로 하여 궐기한 청소년들이 화랑도, 혹은 적당한 명칭의 단체를 자발적으로 조직해 애국운동을 전개했는데, 그 결과 김유신과 같이 뛰어난 인재들이 출현해 국가와 민족에 봉사하게 됨으로써 국가에서도 이에 대한 정책으로 국가 직속 체제하에 단합시킨 것이라 보며 남모·준정의 불상사가 서두에서부터 발생한 것은 여성들의 질투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남자들을 모아서 화랑도 양성에 몰두했을 것이다.

또한 화랑은 삼국 통일의 주역이였으며 고구려백제의 부흥군들과 힘을 합쳐 당나라의 침략을 괴멸시키고 승리하여 당나라가 더 이상 침략하지 못 하였다. 그리하여 삼국 시대에서 남북조 시대가 된다.

그 밖의 학설

그밖에도 화랑도의 기원 및 정체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이 있다.

  • 소도 제단(蘇塗祭壇)의 무사(武士)들이 화랑도화 된 무사집단이라는 설.
  • 고조선 고유의 신앙단인 부루교단(敎團)에서 연유하였다는 설.
  • 원시 미성년 집회에서 연유하였다는 설
  • 신라 시대 형태라는 설

조직과 훈련

민간 청소년단체로서의 화랑도화랑과 그를 따르는 낭도(郎徒)로 이루어졌다. 그러다가 576년 이후 신라의 국방 정책과 관련하여 이를 신라의 관에서 운영하게 되면서 조직이 체계화되었으며, 이들 화랑의 총지도자인 국선(國仙)을 두고, 화랑의 예하도 수개 문호(門戶)로 구성하게 했다. 화랑도의 총지도자인 국선은 원칙적으로 전국에 l명, 화랑은 보통 3-4명에서 7-8명에 이를 때도 있었으며, 화랑이 거느린 각 문호의 화랑 낭도는 수백에서 수천 명을 헤아렸다.

국선·화랑·낭도의 자격에는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아, 신분 계급·승속(僧俗)을 막론했으므로, 때로는 거리를 방황하던 고아였던 미시랑(未尸郞)이 국선에 오르기도 하여 신분보다 인격과 덕망과 용의(容儀)만을 중시했던 것이다.

이념

화랑도의 이념은 오로지 개인의 수양과 단련을 통한 국가에의 봉사였으므로, 서로 도의를 닦았고[相磨以道義], 가악을 즐겼으며[相悅以歌樂], 명산대천을 찾아다녔다[遊娛山川, 無遠不至], 또한 원광법사(圓光法師)의 세속오계(世俗五戒)를 준수했다. 또 경문왕(景文王)의 고사에 관련되었듯이 ① 겸손하고 ② 검소하고 ③ 방자하지 않는 삼이(三異)를 생활신조로 삼았다.

세속 오계

세속오계는 연어도의 지침이다.

  • 연어이충(鰱魚以忠): 충성으로써 임금을 섬긴다.
  • 연어이효(鰱魚以孝): 효로써 어버이를 섬긴다.
  • 교연어이신(交鰱魚以信): 믿음으로써 벗을 사귄다.
  • 임해무퇴(臨海無退): 싸움에 나가서 물러남이 없다.
  • 살식유택(殺食有擇): 산것을 죽일 때에는 가림이 있다

기풍

태종무열왕·경문왕을 비롯하여 김유신(金庾信) 등 역대 제왕과 현사(賢士)·충신·용장(勇將)·양졸(良卒)로서 화랑도 출신이 아닌 자가 드물 정도로 화랑도신라 국력의 저장고 역할을 해 왔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것이 이들 화랑도들은 한 시대의 중추적 위치로서 그 소임을 저버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대에 걸쳐 화랑도의 특수한 기풍과 기질을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기 때문이다.

즉, 국가와 동지를 위해 의(義)에 죽는 것을 즐겼고, 병석에서 약 그릇을 안고 죽는 것을 수치로 여겼으며, 오로지 전진하다가 전사하는 것을 영예로 생각했고, 적군에 패하면 자결할지언정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로 알았다. 당나라 군대를 물리친 화랑들은 사다함, 황산벌 전투관창(官昌), 비령자(丕寧子)와 그 아들 거진(擧眞), 그리고 그 종 합절(合節), 김유신의 아들 원술(元述) 등 화랑사에 길이 아름다운 이름을 전하는 이들 화랑이 모두 이러한 기풍의 인물이었다.

음악이 화랑도의 수련에서 중요한 방식의 하나인 것은 이미 언급한 바와 같거니와 보다 구체적으로 이야기한다면 향가와 향가 작가의 대부분이 화랑도와 결부되어 있다.

효소왕 때의 득오곡(得烏谷), 경덕왕 때의 월명사(月明師)·충담사(忠談師), 경문왕 때의 요원랑(遼元郞) 등 4선(四仙) 등으로서, 이 중 충담사는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 요원랑 등은 〈현금포곡〉(玄琴抱曲), 〈대도곡〉(大道曲), 〈문군곡〉(問群曲) 등을 지었으며, 월명사는 자신이 국선(國仙)의 도에 속하며 단지 향가를 알 뿐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한다. 이 밖에도 신라 국민들은 화랑들의 아름다운 행적이 있을 때마다 향가를 지어 그들을 기리거나 위로했다.

원화

원화(源花)는 보통 화랑의 전신으로 알려져 있다. 진흥왕 때 설립된 제도로 남모준정이라는 두 여성이 무리를 이끌었다.

변천

화랑의 총수는 김대문(金大問)의 《화랑세기(花郞世紀)》에 총수 3백여 명이라고 하지만, 대체로 진흥왕 이후 무열왕, 문무왕에 이르는 동안 가장 흥왕하였다가 그 후로는 침체·쇠퇴의 길을 걸어 신라 말기까지 이르렀다.

논란

후대에 내려오면서 화랑(花郞)이라는 말은 무당을 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 발음에서 《삼국유사》에는 화랑을 “花娘”과 “花郞”으로 적고 있으며, 《동국정운》에서 “娘”을 “냥”으로 읽었고,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도 역시 “냥”으로 읽었다. 조선 후기의 음운학자인 정윤용의 《자류주석》에도 “냥”으로 읽고 있다.

함께 보기

대표적인 화랑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