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조코아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조코아과
Eospalax baileyi
Eospalax baileyi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영장상목
목: 쥐목
아목: 쥐아목
상과: 쥐상과
과: 소경쥐과
아과: 조코아과
(Myospalacinae)
Lilljeborg, 1866
  • 본문 참조

조코아과(Myospalacinae)는 소경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아과 분류군이다. 아시아의 굴을 파는 설치류로 2개 속에 6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부분 중국카자흐스탄 그리고 시베리아에서 발견된다.[1][2][3][4] 전통적으로 조코류가 햄스터류(비단털쥐아과) 또는 들쥐류(물밭쥐아과)와 근연 관계를 갖는 것으로 간주해 왔지만, 최근의 분자생물학 계통 분석 연구에 의해 소경쥐과에 속하는 소경두더지쥐류(소경두더지쥐아과)와 대나무쥐류(대나무쥐아과)에 더 가까운 것으로 밝혀졌다. 쥐상과 설치류에서 첫 번째 중요한 진화적인 분리의 하나는 굴을 파는 형태의 종들과 굴을 파지 않는 종들 사이로 보인다. 다른 소경쥐과 종들이 주로 앞니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조코류는 강력한 앞발톱으로 땅을 판다. 작은 눈과 바깥쪽으로 드러나지 않는 귀를 갖고 있다. 조코류는 덩이줄기와 같은 식물을 먹는다. 조코류의 뼈는 중국 한약재에서 호랑이 뼈에 대한 환경친화적인 대안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하위 종

[편집]

계통 분류

[편집]

다음은 2004년 얀사(Jansa)와 웩슬러(Weksler), 2012년 파브르(Fabre) 등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5][6]

쥐상과

가시겨울잠쥐과

소경쥐과
소경두더지쥐아과

소경두더지쥐속

조코아과

대나무쥐아과

칼로미스쿠스과

비단털쥐과

붉은숲쥐과

쥐과

각주

[편집]
  1. Nowak, R. M. 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Vol. 2.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London.
  2. Jansa, S. A. and M. Weksler. 2004. Phylogeny of muroid rodents: relationships within and among major lineages as determined by IRBP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1:256-276.
  3. Norris, R. W., K. Y. Zhou, C. Q. Zhou, G. Yang, C. W. Kilpatrick, and R. L. Honeycutt. 2004. The phylogenetic position of the zokors (Myospalacinae) and comments on the families of muroids (Rodentia).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1:972-978.
  4. Musser, G. G. and M. D. Carleton. 2005. Superfamily Muroidea. pp. 894–1531 in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D. E. Wilson and D. M. Reeder ed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Baltimore
  5. Jansa, S.A.; Weksler, M. (2004). “Phylogeny of muroid rodents: relationships within and among major lineages as determined by IRBP gene sequence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31 (1): 256–276. doi:10.1016/j.ympev.2003.07.002. PMID 15019624. 
  6. Fabre; 외. (2012). “A glimpse on the pattern of rodent diversification: a phylogenetic approach. 《BMC Evolutionary Biology》 12: 88. doi:10.1186/1471-2148-12-88. PMC 3532383. PMID 22697210. 2015년 12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