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에서 베셀 함수 (Bessel function )는 헬름홀츠 방정식 을 원통좌표계 에서 변수분리 할 때 등장하는 특수 함수 다. 물리학 에서 맥스웰 방정식 이나 열 방정식 , 슈뢰딩거 방정식 등 다양한 문제를 풀 때 쓰인다.
베셀 함수는 다음과 같은 상미분 방정식 을 통해 기술되는 해
y
(
x
)
{\displaystyle y(x)}
에 해당하는 함수 무리를 일컫는 말이다.
x
2
d
2
y
d
x
2
+
x
d
y
d
x
+
(
x
2
−
α
2
)
y
=
0
{\displaystyle x^{2}{\frac {d^{2}y}{dx^{2}}}+x{\frac {dy}{dx}}+(x^{2}-\alpha ^{2})y=0}
여기서
α
{\displaystyle \alpha }
는 임의의 복소수 다. 이 상미분 방정식을
α
{\displaystyle \alpha }
차수의 베셀 방정식 (Bessel equation )이라고 한다.
베셀 방정식은 2차 상미분 방정식이므로, 베셀 방정식은 서로 선형 독립 인 두 가지 해를 가진다.
α
{\displaystyle \alpha }
가 정수일 경우, 두 해 가운데 하나는
x
→
0
{\displaystyle x\to 0}
에서 발산하고, 다른 하나는 발산하지 않는다. 발산하지 않는 경우를 제1종 베셀 함수 (Bessel function of the first kind )
J
α
(
x
)
{\displaystyle J_{\alpha }(x)}
라고 하고, 발산하는 경우를 제2종 베셀 함수 (Bessel function of the second kind )
Y
α
(
x
)
{\displaystyle Y_{\alpha }(x)}
라고 한다. (
α
{\displaystyle \alpha }
가 정수가 아닐 경우에도
J
α
(
x
)
{\displaystyle J_{\alpha }(x)}
와
Y
α
(
x
)
{\displaystyle Y_{\alpha }(x)}
는 베셀 방정식을 통해 기술되는 선형 독립된 두 종류 해를 이룬다.) 즉, 베셀 방정식을 통해 얻어지는 일반해는 다음과 같다.
y
(
x
)
=
c
1
J
α
(
x
)
+
c
2
Y
α
(
x
)
{\displaystyle y(x)=c_{1}J_{\alpha }(x)+c_{2}Y_{\alpha }(x)}
여기서 c1 , c2 는 임의의 상수다.
베셀 방정식은 2차원 헬름홀츠 방정식
(
Δ
+
k
2
)
f
=
0
{\displaystyle (\Delta +k^{2})f=0}
을 극좌표계 에서 변수분리 하면서 등장한다.
먼저 헬름홀츠 방정식은 선형이므로
f
(
r
,
θ
)
{\displaystyle f(r,\theta )}
를 극좌표
r
,
θ
{\displaystyle r,\theta }
에 대해
f
(
r
,
θ
)
=
R
(
k
r
)
Θ
(
θ
)
{\displaystyle f(r,\theta )=R(kr)\Theta (\theta )}
와 같이 변수분리할 수 있는데,
θ
{\displaystyle \theta }
는 극좌표계 상에서 각도를 나타내므로
Θ
{\displaystyle \Theta }
는 360° 회전변환에 불변하는 형태인
Θ
(
θ
)
=
cos
n
θ
{\displaystyle \Theta (\theta )=\cos n\theta }
또는
sin
n
θ
{\displaystyle \sin n\theta }
(
n
∈
Z
{\displaystyle n\in \mathbb {Z} }
)
가 되고, 이를 헬름홀츠 방정식에 대입할 시 라플라스 연산자 가 극좌표계에서
Δ
=
1
r
∂
∂
r
(
r
∂
∂
r
)
+
1
r
2
∂
2
∂
θ
2
{\displaystyle \Delta ={\frac {1}{r}}{\frac {\partial }{\partial r}}\left(r{\frac {\partial }{\partial r}}\right)+{\frac {1}{r^{2}}}{\frac {\partial ^{2}}{\partial \theta ^{2}}}}
로 나타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베셀 방정식을 얻는다.
(
k
r
)
2
R
″
+
(
k
r
)
R
′
+
(
(
k
r
)
2
−
n
2
)
R
=
0
{\displaystyle (kr)^{2}R''+(kr)R'+\left((kr)^{2}-n^{2}\right)R=0}
α=0(빨강), 1(녹색), 2(파랑) 일 때 Jα (x)의 그래프
α가 임의의 복소수 일 때, 베셀 방정식을 통해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해를 제1종 베셀 함수 Jα (x)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J
α
(
x
)
=
∑
m
=
0
∞
(
−
1
)
m
m
!
(
m
+
α
)
!
(
x
2
)
2
m
+
α
{\displaystyle J_{\alpha }(x)=\sum _{m=0}^{\infty }{\frac {(-1)^{m}}{m!(m+\alpha )!}}{\left({\frac {x}{2}}\right)}^{2m+\alpha }}
여기서 임의의 복소수에 대한 계승
z
!
=
Γ
(
z
+
1
)
{\displaystyle z!=\Gamma (z+1)}
를 의미한다. (
Γ
(
z
)
{\displaystyle \Gamma (z)}
는 감마 함수 이다.)
이 때 만약 α가 정수 가 아니라면, Jα (x)와 J-α (x)는 선형 독립이면서 베셀 방정식의 해가 된다. 따라서
y
(
x
)
=
c
1
J
α
(
x
)
+
c
2
J
−
α
(
x
)
{\displaystyle y(x)=c_{1}J_{\alpha }(x)+c_{2}J_{-\alpha }(x)}
(여기서 c1 ,c2 는 상수)는 α가 정수가 아닐 때의 베셀 방정식의 일반해가 된다.
J
−
α
(
x
)
=
(
−
1
)
α
J
α
(
x
)
{\displaystyle J_{-\alpha }(x)=(-1)^{\alpha }J_{\alpha }(x)}
(α가 정수일때만 정의 된다)
J
−
1
/
2
(
x
)
=
2
π
x
cos
x
{\displaystyle J_{-1/2}(x)={\sqrt {2 \over \pi x}}\cos x}
J
1
/
2
(
x
)
=
2
π
x
sin
x
{\displaystyle J_{1/2}(x)={\sqrt {2 \over \pi x}}\sin x}
d
d
x
(
x
α
J
α
(
x
)
)
=
x
α
J
α
−
1
{\displaystyle {d \over dx}\left(x^{\alpha }J_{\alpha }(x)\right)=x^{\alpha }J_{\alpha -1}}
∫
0
x
x
′
J
0
(
x
′
)
d
x
′
=
x
J
1
(
x
)
{\displaystyle \int _{0}^{x}x'J_{0}(x')dx'=xJ_{1}(x)}
∑
k
=
−
∞
∞
J
k
(
x
)
=
1
{\displaystyle \sum _{k=-\infty }^{\infty }J_{k}(x)=1}
n이 정수인 베셀 함수에 대해선 다음과 같이 적분 표현을 사용해서 베셀 함수의 표현이 가능하다.
J
n
(
x
)
=
1
π
∫
0
π
cos
(
n
τ
−
x
sin
τ
)
d
τ
.
{\displaystyle J_{n}(x)={\frac {1}{\pi }}\int _{0}^{\pi }\cos(n\tau -x\sin \tau )d\tau .}
이 형태는 프리드리히 베셀 이 사용했던 접근법이다. 그리고 여기서 다른 몇몇 성질들을 유도해냈다.
또 다른 적분 형태의 정의로는 다음이 있다.
J
n
(
x
)
=
1
2
π
∫
−
π
π
e
−
i
(
n
τ
−
x
sin
τ
)
d
τ
{\displaystyle J_{n}(x)={\frac {1}{2\pi }}\int _{-\pi }^{\pi }e^{-i(n\tau -x\sin \tau )}d\tau }
경로적분법 을 사용하여 베셀 함수를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J
n
(
z
)
=
1
2
π
i
∮
e
(
z
/
2
)
(
t
−
1
/
t
)
t
−
n
−
1
d
t
{\displaystyle J_{n}(z)={1 \over 2\pi i}\oint e^{(z/2)(t-1/t)}t^{-n-1}dt}
여기서 적분 경로는 원점을 주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임의의 고리이다.
α=0(빨강), 1(녹색), 2(파랑)일 때 Yα (x)의 그래프
만약 베셀 방정식의 계수
α
{\displaystyle \alpha }
가 정수이면
J
−
α
(
x
)
=
(
−
1
)
α
J
α
(
x
)
{\displaystyle J_{-\alpha }(x)=(-1)^{\alpha }J_{\alpha }(x)}
이므로 두 함수는 독립이 아니게 된다. 이 경우 나머지 한 해를 제2종 베셀 함수 Yα (x)라고 하고, 다음과 같다.
Y
α
(
x
)
=
lim
m
→
α
J
m
(
x
)
cos
m
π
−
J
−
m
(
x
)
sin
m
π
{\displaystyle Y_{\alpha }(x)=\lim _{m\rightarrow \alpha }{\frac {J_{m}(x)\cos m\pi -J_{-m}(x)}{\sin m\pi }}}
.
α
{\displaystyle \alpha }
가 정수가 아닐 경우에는 위 공식은 극한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지만,
α
{\displaystyle \alpha }
가 정수일 경우에는 극한을 취하여야만 한다.
다음과 같은 2차 상미분 방정식 을 변형 베셀 방정식 (modified Bessel equation )이라고 한다.
x
2
d
2
y
d
x
2
+
x
d
y
d
x
−
(
x
2
+
α
2
)
y
=
0
{\displaystyle x^{2}{\frac {d^{2}y}{dx^{2}}}+x{\frac {dy}{dx}}-(x^{2}+\alpha ^{2})y=0}
변형 베셀 방정식의 해는 제1종 변형 베셀 함수
I
α
(
x
)
{\displaystyle I_{\alpha }(x)}
와 제2종 변형 베셀 함수
K
α
(
x
)
{\displaystyle K_{\alpha }(x)}
이다. 즉, 변형 베셀 방정식의 일반해는 다음과 같다.
y
(
x
)
=
c
1
I
α
(
x
)
+
c
2
K
α
(
x
)
{\displaystyle y(x)=c_{1}I_{\alpha }(x)+c_{2}K_{\alpha }(x)}
방정식의 특징 때문에 변형 베셀 함수는 쌍곡 베셀 함수 라고도 불린다.
α=0(빨강), 1(녹색), 2(파랑), 3(검정)일 때 Iα (x)의 그래프
변형 베셀 방정식의 기본적인 해를 제1종 변형 베셀 함수 Iα (x)라 하고, 자세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I
α
(
x
)
=
i
−
α
J
α
(
i
x
)
{\displaystyle I_{\alpha }(x)=i^{-\alpha }J_{\alpha }(ix)\;}
제1종 변형 베셀 함수도 다음과 같은 급수 형태를 갖는다.
I
α
(
z
)
=
(
1
2
z
)
α
∑
k
=
0
∞
(
1
4
z
2
)
k
k
!
Γ
(
α
+
k
+
1
)
{\displaystyle I_{\alpha }(z)=\left({\frac {1}{2}}z\right)^{\alpha }\sum _{k=0}^{\infty }{\left({1 \over 4}z^{2}\right)^{k} \over k!\Gamma (\alpha +k+1)}}
선적분을 통한 제1종 변형베셀함수의 표현은 다음과 같다.
I
n
(
z
)
=
1
2
π
i
∮
e
(
z
/
2
)
(
t
+
1
/
t
)
t
−
n
−
1
d
t
{\displaystyle I_{n}(z)={1 \over 2\pi i}\oint e^{(z/2)(t+1/t)}t^{-n-1}dt}
여기서 적분경로는 원점을 주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도는 임의의 고리이다.
조금 복잡하지만 다음과 같은 적분 표현법도 있다.
I
α
(
z
)
=
1
π
∫
0
π
e
z
cos
θ
cos
(
α
θ
)
d
θ
−
sin
(
α
π
)
π
∫
0
∞
e
−
z
cosh
t
−
α
t
d
t
{\displaystyle I_{\alpha }(z)={1 \over \pi }\int _{0}^{\pi }e^{z\cos \theta }\cos(\alpha \theta )d\theta -{\sin(\alpha \pi ) \over \pi }\int _{0}^{\infty }e^{-z\cosh t-\alpha t}dt}
만약, α가 정수이면 위 식은 다음과 같이 간단해진다.
I
n
(
z
)
=
1
π
∫
0
π
e
z
cos
θ
cos
(
n
θ
)
d
θ
{\displaystyle I_{n}(z)={1 \over \pi }\int _{0}^{\pi }e^{z\cos \theta }\cos(n\theta )d\theta }
n = 0 에서의 제1종 변형 베셀 함수를 미분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는다.
I
n
(
x
)
=
T
n
d
d
x
I
0
(
x
)
{\displaystyle I_{n}(x)=T_{n}{d \over dx}I_{0}(x)}
여기서 Tn 은 제1종 체비세프 다항식 이다.
α=0(빨강), 1(녹색), 2(파랑), 3(검정)일 때 Kα (x)의 그래프
마찬가지로, 변형 베셀 방정식에 대한 제2종 변형 베셀 함수 Kα (x)를 정의 할 수 있는데 그 자세한 형태는 다음과 같다.
K
α
(
x
)
=
π
2
I
−
α
(
x
)
−
I
α
(
x
)
sin
α
π
{\displaystyle K_{\alpha }(x)={\pi \over 2}{I_{-\alpha }(x)-I_{\alpha }(x) \over \sin \alpha \pi }}
변형 베셀 함수와 마찬가지로 α가 정수일 때 잘 정의가 되지 않으므로, 좀 더 엄밀히 정의하면,
K
α
(
x
)
=
lim
m
→
α
π
2
I
−
m
(
x
)
−
I
m
(
x
)
sin
α
π
{\displaystyle K_{\alpha }(x)=\lim _{m\rightarrow \alpha }{\pi \over 2}{I_{-m}(x)-I_{m}(x) \over \sin \alpha \pi }}
또한 제2종 변형 베셀 함수는 다음과 같은 함수로 불리기도 했다.
베셀 함수는 다음과 같이 생성 함수 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공식을 야코비-앙거 전개 (Jacobi–Anger expansion )라고 한다.
exp
(
i
r
cos
θ
)
=
∑
n
i
n
J
n
(
r
)
exp
(
i
n
θ
)
=
J
0
(
r
)
+
∑
n
2
i
n
J
n
(
r
)
cos
n
θ
{\displaystyle \exp(ir\cos \theta )=\sum _{n}i^{n}J_{n}(r)\exp(in\theta )=J_{0}(r)+\sum _{n}2i^{n}J_{n}(r)\cos n\theta }
.
이는 카를 구스타프 야코프 야코비 와 카를 테오도어 앙거(Carl Theodor Anger )의 이름을 딴 것이다.
마찬가지로, 구면 베셀 함수도 다음과 같이 생성 함수 로 표현할 수 있다. 이 공식을 레일리 전개 (Rayleigh expansion )라고 한다.
exp
(
i
r
cos
θ
)
=
∑
n
i
n
(
2
n
+
1
)
j
n
(
r
)
P
n
(
cos
θ
)
{\displaystyle \exp(ir\cos \theta )=\sum _{n}i^{n}(2n+1)j_{n}(r)P_{n}(\cos \theta )}
.
여기서
P
n
{\displaystyle P_{n}}
은 르장드르 다항식 이다.
다니엘 베르누이 가 최초로 정의하였다. 프리드리히 베셀 이 연구하고, 일반화하였다.[ 1]
↑ Bessel, Friedrich (1824). “Untersuchung des Theils der planetarischen Störungen ”. 《Berlin Abhandlungen》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