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3-아이오도티로나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3-아이오도티로나민
Skeletal formula of the 3-iodothyronamine
Ball-and-stick model of the 3-iodothyronamine molecule
이름
우선명 (PIN)
4-[4-(2-Aminoethyl)-2-iodophenoxy]phenol
별칭
T1AM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211.501
  • InChI=1S/C14H14INO2/c15-13-9-10(7-8-16)1-6-14(13)18-12-4-2-11(17)3-5-12/h1-6,9,17H,7-8,16H2 예
    Key: XIINYOJWNGOUPF-UHFFFAOYSA-N 예
  • InChI=1/C14H14INO2/c15-13-9-10(7-8-16)1-6-14(13)18-12-4-2-11(17)3-5-12/h1-6,9,17H,7-8,16H2
    Key: XIINYOJWNGOUPF-UHFFFAOYAJ
  • OC1=CC=C(OC2=C(I)C=C(CCN)C=C2)C=C1
  • Ic2cc(ccc2Oc1ccc(O)cc1)CCN
성질
C14H14INO2
몰 질량 355.17 g/mol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아니오아니오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3-아이오도티로나민(영어: 3-iodothyronamine, T1AM)은 내인성 티로나민이다. 3-아이오도티로나민은 최근에 발견된 G 단백질 연결 수용체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미량 아민 관련 수용체 1(TAAR1)에 대한 고친화성 리간드이다.[1][2] 3-아이오도티로나민은 지금까지 발견된 가장 강력한 내인성 TAAR1의 작용제이다.[3] 3-아이오도티로나민에 의한 TAAR1의 활성화는 다량의 cAMP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체온심박출량과 관련이 있다.[4] 우(Wu) 등은 이러한 관계가 내분비계의 전형이 아니라는 것을 지적하고, TAAR1의 활성이 일부 조직의 G 단백질과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고, 3-아이오도티로나민이 다른 수용체의 하위 유형들과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3]

3-아이오도티로나민은 음성 근수축 효과를 유도하고, 심박출량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심장 기능을 조절하기 위한 신호전달 경로의 일부일 수 있다.[5]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Scanlan T, Suchland K, Hart M, Chiellini G, Huang Y, Kruzich P, Frascarelli S, Crossley D, Bunzow J, Ronca-Testoni S, Lin E, Hatton D, Zucchi R, Grandy D (2004). “3-Iodothyronamine is an endogenous and rapid-acting derivative of thyroid hormone”. 《Nat. Med.》 10 (6): 638–42. doi:10.1038/nm1051. PMID 15146179. 
  2. Hart M, Suchland K, Miyakawa M, Bunzow J, Grandy D, Scanlan T (2006). “Trace amine-associated receptor agonists: synthesis and evaluation of thyronamines and related analogues”. 《J. Med. Chem.》 49 (3): 1101–12. doi:10.1021/jm0505718. PMID 16451074. 
  3. Wu SY, Green WL, Huang WS, Hays MT, Chopra IJ (2005). “Alternate Pathways of Thyroid Hormone Metabolism”. 《Thyroid》 15 (8): 943–958. doi:10.1089/thy.2005.15.943. PMID 16131336. 
  4. “New compound may act to keep thyroid activity in check”. 2008년 5월 30일에 확인함. 
  5. Chiellini G, Frascarelli S, Ghelardoni S, Carnicelli V, Tobias SC, Debarber A, Brogioni S, Ronca-Testoni S, Cerbai E, Grandy DK, Scanlan TS, Zucchi R (2007). “Cardiac effects of 3-iodothyronamine: a new aminergic system modulating cardiac function”. 《The FASEB Journal》 21 (7): 1597–608. doi:10.1096/fj.06-7474com. PMID 17284482.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