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FIFA U-20 월드컵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3년 FIFA U-20 월드컵
원어 명칭2013 FIFA U-20 Dünya Kupası
개최국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개최기간6월 21일 ~ 7월 13일
경기장7개 (7개 도시)
참가국24개국 (6개 대륙)
결과
우승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1번째 우승)
준우승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3위Flag of Ghana.svg 가나
4위Flag of Iraq.svg 이라크
최다 득점가나 에베네제 아시푸아 (6골)
최우수 선수프랑스 폴 포그바
최우수 골키퍼우루과이 기예르모 데 아모레스
페어 플레이상Flag of Spain.svg 스페인
통계
총 경기52경기
총 득점152골 (경기당 2.92골)
총 관중303,251명 (경기당 5,832명)
« 2011
2015 »

2013년 FIFA U-20 월드컵2013년 6월 21일부터 7월 13일까지 튀르키예에서 개최된 19번째 FIFA U-20 월드컵 대회이다.

개최를 희망했던 국가[편집]

FIFA는 2011년 3월 3일에 터키를 해당 대회의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개최 도시 및 경기장[편집]

이스탄불 부르사 안탈리아 트라브존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수용인원: 52,650명 수용인원: 25,213명 수용인원: 7,083명 수용인원: 23,772명
Turktelekomarena tr-aze.jpg Bursa Atatürk Stadium.jpg Yivli Minaret Mosque Antalya.jpg Ktu foto 1.jpg
가지안테프 카이세리 리제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예니 세히르 스타디움
수용인원: 35,000명 수용인원: 32,864명 수용인원: 15,485명
Kadir-has-stadium-kamilsaim.jpg Rize'den bir görünüm.jpg

본선 진출 팀[편집]

남미의 양대 강호인 브라질아르헨티나가 모두 본선 진출이 좌절되는 FIFA U-20 월드컵 사상 초유의 수모를 겪었다. 브라질이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것은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이후 34년 만이다. 다음은 본선 진출 팀들의 목록이다.

연맹 예선 본선 진출 팀
AFC (아시아) 201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Flag of Iraq.svg 이라크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CAF (아프리카) 2013년 아프리카 U-20 축구 선수권 대회 Flag of Egypt.svg 이집트
Flag of Ghana.svg 가나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Flag of Mali.svg 말리
CONCACAF (북중미&카리브) 2013년 CONCACAF U-20 축구 선수권 대회 Flag of Mexico.svg 멕시코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Flag of Cuba.svg 쿠바^
CONMEBOL (남아메리카) 2013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Flag of Chile.svg 칠레
OFC (오세아니아) 2013년 OFC U-20 축구 선수권 대회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UEFA (유럽) 2012년 UEFA U-19 축구 선수권 대회 Flag of Spain.svg 스페인
Flag of Greece.svg 그리스^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개최국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 ^: 처음으로 참가한 팀.
  • 굵은 글씨로 표시된 팀은 각 대륙별 우승 팀이다.

시드 배정[편집]

시드 배정안은 2013년 2월 12일에 발표되었다. 본선 조 추첨식은 2013년 3월 25일이스탄불에서 열렸다.

  1. 각 대륙별 우승팀을 배정한다. 나머지 팀들은 대륙별로 배정한다.
  2. 아시아와 아프리카 팀들을 배정한다.
  3. 미주 대륙(북중미카리브 및 남미) 팀들을 배정한다.
  4. 유럽 팀들을 배정한다. 개최국인 터키를 포함한다.
  5. 같은 대륙 팀들은 같은 조에 배정되지 않는다. 단, 스페인은 4시드의 유럽 1팀과 같은 조에 배정된다.
1시드 (우승팀) 2시드 (아시아, 아프리카) 3시드 (남미, 북중미카리브) 4시드 (유럽)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Flag of Mexico.svg 멕시코
Flag of Spain.svg 스페인 (A조)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Flag of Egypt.svg 이집트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Flag of Iraq.svg 이라크
Flag of Ghana.svg 가나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Flag of Mali.svg 말리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Flag of Chile.svg 칠레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Flag of Cuba.svg 쿠바
Flag of Greece.svg 그리스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개최국, C조)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 본선 조 추첨 당시에는 아프리카 지역 예선이 진행 중이었기 때문에 3개 조가 완성되지 않은 상태로 남았다. 이에 따라 2013년 3월 30일알제리 오랑에서 아프리카 지역 예선 준우승, 3위, 4위를 차지한 팀을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추첨이 진행되었다.

조별 리그[편집]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3)을 따름.

A조[편집]

경기 승점
Flag of Spain.svg 스페인 3 3 0 0 7 2 +5 9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3 1 1 1 5 4 +1 4
Flag of Ghana.svg 가나 3 1 0 2 5 5 0 3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3 0 1 2 3 9 -6 1

2013년 6월 21일
18: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3 – 1 Flag of Ghana.svg 가나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4,133명
심판: 콜롬비아 윌마르 롤단
콩도비아 65분에 득점 65′
사노고 68분에 득점 68′
바헤벡 79분에 득점 79′
리포트 보아키에 85분에 득점 85′

2013년 6월 21일
21:00
미국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1 – 4 Flag of Spain.svg 스페인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4,133명
심판: 감비아 바카리 가사마
77분에 득점 77′ 리포트 헤세 5분, 44분에 득점 5′44′
둘로퓨 42분, 61분에 득점 42′61′

2013년 6월 24일
18: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1 – 1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4,120명
심판: 에콰도르 카를로스 베라
사노고 48분에 득점 48′ (페널티골) 리포트 쿠에바스 85분에 득점 85′

2013년 6월 24일
21:00
스페인 Flag of Spain.svg 1 – 0 Flag of Ghana.svg 가나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4,120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벤 윌리엄스
헤세 13분에 득점 13′ 리포트

2013년 6월 27일
20:00
스페인 Flag of Spain.svg 2 – 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7,511명
심판: 스웨덴 요나스 에릭손
알카케르 23분에 득점 23′
헤세 56분에 득점 56′
리포트 비옹 90+1분에 득점 90+1′

2013년 6월 27일
20:00
가나 Flag of Ghana.svg 4 – 1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4,873명
심판: 바레인 나와프 슈크랄라
아체암퐁 38분에 득점 38′
아시푸아 58분, 78분에 득점 58′78′
아시아 83분에 득점 83′
리포트 오닐 69분에 득점 69′

B조[편집]

경기 승점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3 2 1 0 10 4 +6 7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3 2 0 1 6 3 +3 6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3 1 1 1 4 4 0 4
Flag of Cuba.svg 쿠바 3 0 0 3 1 10 -9 0

2013년 6월 21일
18:00
쿠바 Flag of Cuba.svg 1 – 2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10,428명
심판: 튀르키예 쥐네이트 차크르
레예스 7분에 득점 7′ 리포트 권창훈 51분에 득점 51′ (페널티골)
류승우 83분에 득점 83′

2013년 6월 21일
21:00
나이지리아 Flag of Nigeria.svg 2 – 3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10,428명
심판: 페루 빅토르 카이요
아자군 57분, 67분에 득점 57′67′ 리포트 브루마 30분, 69분에 득점 30′69′
알라제 34분에 득점 34′

2013년 6월 24일
18:00
쿠바 Flag of Cuba.svg 0 – 3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1,058명
심판: 헝가리 빅토르 카사이
리포트 우마르 19분, 23분에 득점 19′23′
아자군 67분에 득점 67′

2013년 6월 24일
21:0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2 – 2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1,058명
심판: 과테말라 왈테르 로페스
알라제 3분에 득점 3′
브루마 60분에 득점 60′
리포트 류승우 45분에 득점 45′
김현 76분에 득점 76′

2013년 6월 27일
17:00
대한민국 Flag of South Korea.svg 0 – 1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7,511명
심판: 뉴질랜드 피터 오리어리
리포트 카요데 9분에 득점 9′

2013년 6월 27일
17:0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5 – 0 Flag of Cuba.svg 쿠바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4,873명
심판: 콜롬비아 윌마르 롤단
히카르두 15분에 득점 15′
알라제 37분에 득점 37′
브루마 43분, 62분에 득점 43′62′
토제 69분에 득점 69′
리포트

C조[편집]

경기 승점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3 2 1 0 5 1 +4 7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3 2 0 1 5 2 +3 6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3 1 0 2 2 7 -5 3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3 0 1 2 3 5 -2 1

2013년 6월 22일
18:00
콜롬비아 Flag of Colombia.svg 1 – 1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트라브존
관중수: 4,662명
심판: 세르비아 밀로라드 마지치
코르도바 78분에 득점 78′ 리포트 데 실바 46분에 득점 46′

2013년 6월 22일
21:00
튀르키예 Flag of Turkey.svg 3 – 0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트라브존
관중수: 4,662명
심판: 브라질 산드루 히시
살리흐 9분에 득점 9′
사힌 46분, 64분에 득점 46′64′
리포트

2013년 6월 25일
18:00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1 – 2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세히르 스타디움, 리제
관중수: 13,015명
심판: 프랑스 스테판 라누아
브릴리언트 9분에 득점 9′ 리포트 코카 17분에 득점 17′
페나 40분에 득점 40′

2013년 6월 25일
21:00
튀르키예 Flag of Turkey.svg 0 – 1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세히르 스타디움, 리제
관중수: 13,015명
심판: 코트디부아르 누망디에즈 두에
리포트 퀸테로 52분에 득점 52′

2013년 6월 28일
21:00
오스트레일리아 Flag of Australia.svg 1 – 2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트라브존
관중수: 11,286명
심판: 멕시코 로베르토 가르시아 오로스코
매클래런 53분에 득점 53′ 리포트 찰하노을루 55분에 득점 55′
요쿠슬루 55분에 득점 55′

2013년 6월 28일
21:00
엘살바도르 Flag of El Salvador.svg 0 – 3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2,000명
심판: 카메룬 시디 알리움
리포트 렌테리아 23분에 득점 23′
코르도바 25분에 득점 25′ (페널티골)
퀸테로 90+2분에 득점 90+2′

D조[편집]

경기 승점
Flag of Greece.svg 그리스 3 1 2 0 3 2 +1 5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3 1 2 0 3 2 +1 5
Flag of Mexico.svg 멕시코 3 1 0 2 5 4 +1 3
Flag of Mali.svg 말리 3 0 2 1 2 5 -3 2
  • 그리스와 파라과이는 승점과 골득실, 다득점과 상대 전적 모두 동률을 이루게 되어 추첨을 통해 순위를 결정하였다.

2013년 6월 22일
18:00
멕시코 Flag of Mexico.svg 1 – 2 Flag of Greece.svg 그리스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3,000명
심판: 뉴질랜드 피터 오리어리
에스페리쿠에타 40분에 득점 40′ 리포트 보찰라키스 16분에 득점 16′
콜로보스 89분에 득점 89′

2013년 6월 22일
21:00
파라과이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1 – 1 Flag of Mali.svg 말리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3,000명
심판: 바레인 나와프 슈크랄라
로야스 7분에 득점 7′ 리포트 니안 3분에 득점 3′

2013년 6월 25일
18:00
멕시코 Flag of Mexico.svg 0 – 1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1,200명
심판: 이탈리아 니콜라 리촐리
리포트 곤잘레스 52분에 득점 52′

2013년 6월 25일
21:00
말리 Flag of Mali.svg 0 – 0 Flag of Greece.svg 그리스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1,200명
심판: 파나마 로베르토 모레노
리포트

2013년 6월 28일
18:00
그리스 Flag of Greece.svg 1 – 1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트라브존
관중수: 11,826명
심판: 감비아 바카리 가사마
디아만타코스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몬테네그로 73분에 득점 73′

2013년 6월 28일
18:00
말리 Flag of Mali.svg 1 – 4 Flag of Mexico.svg 멕시코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2,000명
심판: 튀르키예 쥐네이트 차크르
디알로 62분에 득점 62′ 리포트 부에노 2분에 득점 2′
코로나 13분에 득점 13′
에스코보사 69분에 득점 69′
우발도 루나 86분에 득점 86′

E조[편집]

경기 승점
Flag of Iraq.svg 이라크 3 2 1 0 6 4 +2 7
Flag of Chile.svg 칠레 3 1 1 1 4 4 0 4
Flag of Egypt.svg 이집트 3 1 0 2 4 4 0 3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3 0 2 1 3 5 -2 2

2013년 6월 23일
18:00
칠레 Flag of Chile.svg 2 – 1 Flag of Egypt.svg 이집트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3,148명
심판: 스웨덴 요나스 에릭손
카스티요 25분에 득점 25′
브라보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카흐라바 10분에 득점 10′

2013년 6월 23일
21:00
잉글랜드 Flag of England.svg 2 – 2 Flag of Iraq.svg 이라크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3,148명
심판: 멕시코 로베르토 가르시아 오로스코
코아디 41분에 득점 41′
윌리암스 52분에 득점 52′
리포트 알리 파에즈 75분에 득점 75′ (페널티골)
알리 아드난 90+3분에 득점 90+3′

2013년 6월 26일
18:00
칠레 Flag of Chile.svg 1 – 1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3,246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카스티요 32분에 득점 32′ (페널티골) 리포트 케인 64분에 득점 64′

2013년 6월 26일
21:00
이라크 Flag of Iraq.svg 2 – 1 Flag of Egypt.svg 이집트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3,246명
심판: 슬로베니아 다미르 스코미나
압둘후세인 33분에 득점 33′
압둘라힘 79분에 득점 79′
리포트 아흐메드 27분에 득점 27′

2013년 6월 29일
21:00
이라크 Flag of Iraq.svg 2 – 1 Flag of Chile.svg 칠레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2,785명
심판: 프랑스 스테판 라누아
카밀 15분에 득점 15′
살만 67분에 득점 67′
리포트 모라 28분에 득점 28′

2013년 6월 29일
21:00
이집트 Flag of Egypt.svg 2 – 0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3,445명
심판: 파라과이 안토니오 아리아스 알바렝가
트레제게 79분에 득점 79′
아흐메드 90+3분에 득점 90+3′
리포트

F조[편집]

경기 승점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3 2 1 0 4 2 +2 7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3 2 0 1 6 1 +5 6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3 1 1 1 4 5 -1 4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3 0 0 3 1 7 -6 0

2013년 6월 23일
17:00
뉴질랜드 Flag of New Zealand.svg 0 – 3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3,597명
심판: 파라과이 안토니오 아리아스 알바렝가
리포트 막스타리프 14분에 득점 14′
세르게예프 53분에 득점 53′
투라포프 67분에 득점 67′

2013년 6월 23일
20:00
우루과이 Flag of Uruguay.svg 0 – 1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3,597명
심판: 카메룬 시디 알리움
리포트 레비치 41분에 득점 41′

2013년 6월 26일
18:00
뉴질랜드 Flag of New Zealand.svg 0 – 2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3,393명
심판: 스페인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옝코
리포트 데 아라스카에타 4분에 득점 4′
로페즈 75분에 득점 75′

2013년 6월 26일
21:00
크로아티아 Flag of Croatia.svg 1 – 1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3,393명
심판: 페루 빅토르 카이요
라바하 65분에 득점 65′ 리포트 라흐마노프 24분에 득점 24′

2013년 6월 29일
18:00
우즈베키스탄 Flag of Uzbekistan.svg 0 – 4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2,785명
심판: 헝가리 빅토르 카사이
리포트 아케베도 38분에 득점 38′
로페즈 47분에 득점 47′
데 아라스카에타 64분에 득점 64′
벤탄코르트 77분에 득점 77′

2013년 6월 29일
18:00
크로아티아 Flag of Croatia.svg 2 – 1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3,445명
심판: 브라질 산드루 히시
페리카 11분에 득점 11′
레비치 75분에 득점 75′
리포트 펜톤 84분에 득점 84′ (페널티골)

각 조 3위 팀끼리의 순위 결정[편집]

경기 승점 결과
B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3 1 1 1 4 4 0 4 16강전 진출
F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3 1 1 1 4 5 -1 4
D Flag of Mexico.svg 멕시코 3 1 0 2 5 4 +1 3
A Flag of Ghana.svg 가나 3 1 0 2 5 5 0 3
E Flag of Egypt.svg 이집트 3 1 0 2 4 4 0 3 조별 리그 탈락
C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3 1 0 2 2 7 -5 3

결선 토너먼트[편집]

 
16강8강준결승결승
 
              
 
7월 2일 - 가지안테프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4
 
7월 6일 - 리제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4
 
7월 2일 - 가지안테프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0
 
Flag of Greece.svg 그리스1
 
7월 10일 - 부르사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3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2
 
7월 3일 - 카이세리
 
Flag of Ghana.svg 가나1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2
 
7월 7일 - 이스탄불
 
Flag of Ghana.svg 가나3
 
Flag of Ghana.svg 가나 (AET)4
 
7월 3일 - 부르사
 
칠레 칠레3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0
 
7월 13일 - 이스탄불
 
칠레 칠레2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PSO)0 (4)
 
7월 3일 - 안탈리아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0 (1)
 
Flag of Iraq.svg 이라크 (AET)1
 
7월 7일 - 카이세리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0
 
Flag of Iraq.svg 이라크 (PSO)3 (5)
 
7월 3일 - 트라브존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3 (4)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1 (7)
 
7월 10일 - 트라브존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PSO)1 (8)
 
Flag of Iraq.svg 이라크1 (6)
 
7월 2일 - 이스탄불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PSO)1 (7) 3위 결정전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1
 
7월 6일 - 부르사7월 13일 - 이스탄불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2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AET)1Flag of Ghana.svg 가나3
 
7월 2일 - 이스탄불
 
Flag of Spain.svg 스페인0 Flag of Iraq.svg 이라크0
 
Flag of Spain.svg 스페인2
 
 
Flag of Mexico.svg 멕시코1
 

16강전[편집]

2013년 7월 2일
18:00
스페인 Flag of Spain.svg 2 – 1 Flag of Mexico.svg 멕시코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7,211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데릭 74분에 득점 74′
헤세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곤잘레스 2분에 득점 2′

2013년 7월 2일
18:00
그리스 Flag of Greece.svg 1 – 3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14,800명
심판: 코트디부아르 누망디에즈 두에
스타필리디스 33분에 득점 33′ (페널티골) 리포트 막스탈리에프 27분에 득점 27′
세르게예프 62분에 득점 62′ (페널티골)
라흐마노프 83분에 득점 83′ (페널티골)

2013년 7월 2일
21:00
나이지리아 Flag of Nigeria.svg 1 – 2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7,211명
심판: 세르비아 밀로라드 마지치
카요데 69분에 득점 69′ 리포트 로페즈 65분, 84분에 득점 65′84′ (페널티골)

2013년 7월 2일
21: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4 – 1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카밀 오자크 스타디움, 가지안테프
관중수: 14,800명
심판: 스페인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옝코
콩도비아 18분에 득점 18′
바헤벡 34분에 득점 34′
사노고 68분에 득점 68′
베레토트 74분에 득점 74′
리포트 바식스 77분에 득점 77′

2013년 7월 3일
18:00
포르투갈 Flag of Portugal.svg 2 – 3 Flag of Ghana.svg 가나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4,977명
심판: 에콰도르 카를로스 베라
페레이라 71분에 득점 71′
에드가 이에 73분에 득점 73′
리포트 아시아 19분에 득점 19′
아나바 79분에 득점 79′
보아키에 85분에 득점 85′

2013년 7월 3일
18:00
크로아티아 Flag of Croatia.svg 0 – 2 칠레 칠레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2,329명
심판: 과테말라 왈테르 로페스
리포트 카스티요 81분에 득점 81′
시무노비치 85분에 득점 85′ (자책골)

2013년 7월 3일
21:00
콜롬비아 Flag of Colombia.svg 1 – 1 (연장전)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트라브존
관중수: 2,362명
심판: 슬로베니아 다미르 스코미나
퀸테로 90+4분에 득점 90+4′ 리포트 송주훈 16분에 득점 16′
    승부차기  
퀸테로 성공
보닐라 성공
아귈라르 실패
보르하 성공
페레즈 성공
페라아 성공
메나 성공
베르가라 성공
발란타 실패
7 – 8 성공 우주성
실패 송주훈
성공 김선우
성공 심상민
성공 연제민
성공 강상우
성공 한성규
성공 조석재
성공 이광훈

2013년 7월 3일
21:00
이라크 Flag of Iraq.svg 1 – 0 (연장전)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아크데니즈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안탈리아
관중수: 2,983명
심판: 파나마 로베르토 모레노
파르한 94분에 득점 94′ 리포트

8강전[편집]


2013년 7월 6일
18: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4 – 0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세히르 스타디움, 리제
관중수: 2,057명
심판: 브라질 산드루 히시
사노고 31분에 득점 31′
포그바 35분에 득점 35′ (페널티골)
토뱅 43분에 득점 43′ (페널티골)
주마 64분에 득점 64′
리포트

2013년 7월 6일
21:00
우루과이 Flag of Uruguay.svg 1 – 0 (연장전) Flag of Spain.svg 스페인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7,035
심판: 멕시코 로베르토 가르시아 오로스코
아베나티 103분에 득점 103′ 리포트

2013년 7월 7일
18:00
이라크 Flag of Iraq.svg 3 – 3 (연장전)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카디르 하스 스타디움, 카이세리
관중수: 5,810명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벤 윌리엄스
알리 파에즈 21분에 득점 21′ (페널티골)
파르한 42분, 118분에 득점 42′118′
리포트 권창훈 25분에 득점 25′
이광훈 50분에 득점 50′
정현철 120+2분에 득점 120+2′
    승부차기  
알리 파에즈 성공
D. 이스마엘 성공
아레바스 실패
슈칸 성공
아드난 성공
파르한 성공
5 – 4 성공 김선우
실패 연제민
성공 한성규
성공 심상민
성공 우주성
실패 이광훈

2013년 7월 7일
21:00
가나 Flag of Ghana.svg 4 – 3 (연장전) 칠레 칠레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6,632명
심판: 이탈리아 니콜라 리촐리
오제르 11분에 득점 11′
아시푸아 71분, 120+1분에 득점 71′120+1′
살리푸 113분에 득점 113′
리포트 카스티요 23분에 득점 23′
엔리케스 27분, 98분에 득점 27′98′

4강전[편집]


2013년 7월 10일
18: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2 – 1 Flag of Ghana.svg 가나 아타튀르크 스타디움, 부르사
관중수: 6,314명
심판: 바레인 나와프 슈크랄라
토뱅 43분, 74분에 득점 43′74′ 리포트 아시푸아 47분에 득점 47′

2013년 7월 10일
21:00
이라크 Flag of Iraq.svg 1 – 1 (연장전)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후세인 아스니아케르 스타디움, 트라브존
관중수: 3,188명
심판: 스웨덴 요나스 에릭손
알리 아드난 34분에 득점 34′ 리포트 부에노 87분에 득점 87′
    승부차기  
알리 파에즈 실패
아레바스 성공
카드힘 성공
타레크 성공
알리 아드난 성공
모하나드 성공
카밀 성공
파르한 실패
6 – 7 실패 G. 로드리게스
성공 파이스
성공 아베나티
성공 부에노
성공 로페즈
성공 로란
성공 기메네즈
성공 실바

3·4위전[편집]

2013년 7월 13일
18:00
가나 Flag of Ghana.svg 3 – 0 Flag of Iraq.svg 이라크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20,601명
심판: 브라질 산드루 히시
아타마 35분에 득점 35′
아시푸아 45+1분에 득점 45+1′
아체암퐁 78분에 득점 78′
리포트

결승전[편집]

2013년 7월 13일
21:00
프랑스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0 – 0 (연장전)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튀르크 텔레콤 아레나, 이스탄불
관중수: 20,601명
심판: 멕시코 로베르토 가르시아 오로스코
리포트
    승부차기  
포그바 성공
베레투 성공
응간도 성공
풀키에 성공
4 – 1 실패 벨라스케스
실패 아라스카에타
성공 올라사

우승[편집]

FIFA U-20 월드컵 우승

프랑스
프랑스
2013년 FIFA U-20 월드컵
제19대 세계 U-20 챔피언 (1회 우승)
2013년

수상[편집]

골든 볼 실버 볼 브론즈 볼
골든 부트 실버 부트 브론즈 부트
6골 (0 어시스트) 5골 (2 어시스트) 5골 (1 어시스트)
아디다스 골든 글러브
우루과이 기예르모 데 아모레스
FIFA 페어 플레이 상
Flag of Spain.svg 스페인

최종 순위[편집]

순위 경기 승점
1 Flag of France (1794–1815, 1830–1974, 2020–present).svg 프랑스 7 4 2 1 15 6 +9 14
2 Flag of Uruguay.svg 우루과이 7 4 2 1 10 3 +7 14
3 Flag of Ghana.svg 가나 7 4 0 3 16 12 +4 12
4 Flag of Iraq.svg 이라크 7 3 3 1 11 11 0 12
5 Flag of Spain.svg 스페인 5 4 0 1 9 4 +5 12
6 칠레 칠레 5 2 1 2 9 8 +1 7
7 Flag of Uzbekistan.svg 우즈베키스탄 5 2 1 2 7 10 -3 7
8 Flag of South Korea.svg 대한민국 5 1 3 1 8 8 0 6
9 Flag of Colombia.svg 콜롬비아 4 2 2 0 6 2 +4 8
10 Flag of Portugal.svg 포르투갈 4 2 1 1 12 7 +5 7
11 Flag of Croatia.svg 크로아티아 4 2 1 1 4 4 0 7
12 Flag of Nigeria.svg 나이지리아 4 2 0 2 7 5 +2 6
13 Flag of Turkey.svg 튀르키예 4 2 0 2 6 6 0 6
14 Flag of Paraguay (1990–2013).svg 파라과이 4 1 2 1 3 3 0 5
15 Flag of Greece.svg 그리스 4 1 2 1 4 5 -1 5
16 Flag of Mexico.svg 멕시코 4 1 0 3 6 6 0 3
17 Flag of Egypt.svg 이집트 3 1 0 2 4 4 0 3
18 Flag of El Salvador.svg 엘살바도르 3 1 0 2 2 7 -5 3
19 Flag of England.svg 잉글랜드 3 0 2 1 3 5 -2 2
20 Flag of Mali.svg 말리 3 0 2 1 2 5 -3 2
21 Flag of Australia.svg 오스트레일리아 3 0 1 2 3 5 -2 1
22 Flag of the United States.svg 미국 3 0 1 2 3 9 -6 1
23 Flag of New Zealand.svg 뉴질랜드 3 0 0 3 1 7 -6 0
24 Flag of Cuba.svg 쿠바 3 0 0 3 1 10 -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