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열
보이기
(황열병에서 넘어옴)

![]() | |
---|---|
다른 이름 | yellow fever, yellow jack, yellow plague,[1] bronze john[2] |
![]() | |
황열 바이러스 | |
진료과 | 감염내과 ![]() |
증상 | 발열, 오한, 근육통, 두통, 황달 |
합병증 | 간부전, 출혈 |
통상적 발병 시기 | 노출후 3~6일 |
기간 | 3~4일 |
병인 | 황열 바이러스 |
진단 방식 | 혈액 검사 |
예방 | 황열 백신접종 |
치료 | 대증치료 |
황열(黃熱, yellow fever)은 모기에 의해서 매개되는 플래비비르스과에 속하는 황열 바이러스(yellow fever virus)를 병원체로 하는 감염 증상이다.
역사
[편집]

쿠바의 의사 카를로스 핀레이가 모기에 의한 바이러스의 매개로 감염을 제창하였고, 미군 군의관이었던 월터 리드가 파나마 운하 건설에 즈음해 모기 구제를 중심으로 한 방역 대책을 실시해 효과를 거두어 핀레이의 이론이 옳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한 일본의 세균학자인 노구치 히데요는 황열 연구를 하다가 감염 당해 사망했다. 그 이후 남아프리카 출신의 미국 미생물 학자 막스 타일러(Max Theiler)가 노구치의 설을 비판하고, 황열 백신을 개발했다. 이 공적으로 타일러는 1951년에 노벨 의학 생리학상을 수상했다.
증상
[편집]잠복 기간은 3일 ~ 6일이며, 갑작스런 발열과 두통 이후에 통증, 허탈감, 구토 증상으로 발병한다. 발병 이후 3일 ~ 4일은 증상이 가벼워 그대로 회복될 수 있다. 그러나 중증인 경우 몇 시간 ~ 2일 후에 발열, 신장 손상, 코나 치근 출혈, 흑색 구토, 하혈, 자궁 출혈, 황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
[편집]특효약은 없지만, 1회 접종 백신 ( 17D)을 통해 예방 가능하다. 유행 지역 및 발병 지역에서 입국 시 공공 기관에서 발행하는 국제 예방접종 증명서(옐로 카드)를 요청할 수 있다. 옐로 카드가 유효한 것은 접종 10일 후부터 10년간 지속되며, 그 이후는 다시 재접종을 하거나 면역력이 생겨 접종하지 않고도 평생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Oldstone, Michael (2009). 《Viruses, Plagues, and History: Past, Present and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102–4쪽. ISBN 978-0-19-975849-4. 2017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 ↑ Bazin, Hervé (2011). 《Vaccination: a history from Lady Montagu to genetic engineering》. Montrouge: J. Libbey Eurotext. 407쪽. ISBN 978-2-7420-0775-2. 2017년 2월 2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 (영어) 황열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