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포플루오로산
![]() Gas-phase structure
| |
![]() | |
이름 | |
---|---|
IUPAC 이름
Hypofluorous acid
| |
별칭
Hydrogen hypofluorite
Hydrogen fluorate(-I) Fluoric(-I) acid Hydrogen monofluoroxygenate(0) hydroxyl fluorid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PubChem CID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HOF | |
몰 질량 | 36.0057 g mol−1 |
겉보기 | pale yellow liquid above −117 °C white solid below −117 °C |
녹는점 | −117 °C (−179 °F; 156 K) |
끓는점 | decomposes at 0 °C 틀:Reference needed |
구조 | |
Cs | |
위험 | |
주요 위험 | strong oxidizer, corrosive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관련 화합물 | |
다른 양이온
|
lithium hypofluorite |
관련 화합물
|
hypochlorous acid nitroxyl hydrogen cyanide formaldehyd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하이포플루오로산(Hypofluorous acid, 줄여서 HOF)은 화학식이 HOF인 화합물이다. 플루오린에 의하여 물이 산화되면서 만들어진 중간 생산물이며 플루오린화 수소와 산소를 만들어낸다. 고체로 분리가 가능한 산이다. 하이포플루오로산은 매우 폭발적이게 산소와 HF로 분해되는 경향이 있다.[1] 얼음을 플루오로화시켜 순수한 형태로 분리시킨다.
고체 상태에서 화합물의 구조는 엑스선결정학을 통해 분석할 수 있으며,[1] 분자의 결합각은 101°이다. O-F 결합과 O-H결합은 각각 144.2, 96.4 피코미터이고, 고체상태에서는 O–H···O형태의 연결을 통해 사슬모양을 유지한다. 가스의 상태에서는 H-O-F 결합각은 97.2°로 고체일때보다 약간 더 작다.
플루오린의 산소산중 하나이다. 영하 40℃에서 얼음에 F2기체를 노출시킴으로써 얻어진 기체상태의 HOF를 농축하여 얻어낸다.
- F2 + H2O → HOF + HF
상온에서는 매우 폭발적으로 플루오린화 수소와 산소 기체로 분리된다.
- 2 HOF → 2 HF + O2
아세토나이트릴속의 하이포플루오로산("젖은" 아세토나이트릴위로 기체상태의 플루오린을 노출시켜 생성할 수 있다.)은 친전자적인 산소 전달 물질이며,[2][3] 이를 페난트롤린과 반응시키면 1,10-phenanthroline dioxide를 내놓게된다.[4][5]
모든 구성 원자가 다르기 때문에 대칭 구조를 찾기 힘들다. 항등원 E와 세 원자를 지나는 거울형 대칭에 의해서만 대칭이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분자 집단을 Cs로 지칭한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각주[편집]
- ↑ 가 나 W. Poll, G. Pawelke, D. Mootz, E. H. Appelman (1988). “The Crystal Structure of Hypofluorous Acid : Chain Formation by O-H · · · O Hydrogen Bonds”. 《Angew. Chem. Int. Ed. Engl.》 27: 392–3. doi:10.1002/anie.198803921.
- ↑ S. Rozen; M. Brand (1986). “Epoxidation of Olefins with Elemental Fluorine in Water/Acetonitrile Mixtures”. 《Angew. Chem. Int. Ed.》 25 (6): 554–5. doi:10.1002/anie.198605541.
- ↑ S. Dayan; Y. Bareket; S. Rozen (1999). “An efficient α-hydroxylation of carbonyls using the HOF·CH3CN complex”. 《Tetrahedron》 55 (12): 3657. doi:10.1016/S0040-4020(98)01173-9.
- ↑ S. Rozen; S. Dayan (1999). “At Last, 1,10-Phenanthroline-N,N′-dioxide, A New Type of Helicene, has been Synthesized using HOF·CH3CN”. 《Angew. Chem. Int. Ed.》 38 (23): 3471–3. doi:10.1002/(SICI)1521-3773(19991203)38:23<3471::AID-ANIE3471>3.0.CO;2-O.
- ↑ F. Linsker; R.L. Evans (1946). “Phenanthroline Di-N-oxides”. 《J. Am. Chem. Soc.》 68 (3): 403. doi:10.1021/ja01207a019.
![]() |
이 글은 화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