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그미하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icto infobox reptile.png
피그미하마
피그미하마,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동물원
피그미하마, 스코틀랜드 에든버러 동물원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우제목/경우제목
과: 하마과
속: 피그미하마속
(Choeropsis)
종: 피그미하마
(C. liberiensis)
학명
Choeropsis liberiensis
Morton, 1849

학명이명

Hexaprotodon liberiensis

아종
  • C. l. liberiensis
  • C. l. heslopi
피그미하마의 분포
Pygmy Hippopotamus range.jpg
보전상태

Status iucn3.1 EN (ko).svg
위기(EN): 절멸가능성 매우 높음
평가기관: IUCN logo.svg IUCN 3.1[1]

피그미하마 또는 애기하마(학명Choeropsis liberiensis)는 하마과 애기하마속에 속하는 서아프리카 토착 반수생 포유동물이다. 라이베리아가 주된 거처이고 시에라리온·기니·코트디부아르에도 소수가 남아 있으며 나이지리아에서는 절멸했다.[1]

하마과에 현대까지 잔존하는 2종 가운데 한 종으로, 같은 과에 속한 가장 가까운 친척은 하마(학명Hippopotamus amphibius)이며 하마에 비해 훨씬 덩치가 작고 가볍다. 단독 생활을 하는 야행성 동물으로, 육상 생활에 알맞게 적응하였지만, 그와 더불어 피부를 습하게 유지하고 체온을 식히는 데 충분한 물을 요구하고, 교미출산 등 여러 생명활동을 육상뿐 아니라 수중에서 하기도 하는 반수생 동물이다. 숲에서 자라는 고비·쌍떡잎식물··과일을 즐겨 먹는 초식동물이다.

남은 개체가 드문 야행성 동물로서, 야생의 피그미하마를 연구하는 것은 몹시 어려운 일이다. 19세기 까지는 서아프리카 바깥에서는 이 짐승의 존재를 아는 이가 없었다. 20세기 초에 처음 동물원에 들어왔으며, 사육 환경에서도 번식이 용이하여 연구 자료 가운데 태반은 사육 개체를 연구해서 나온 것이다.[2] 야생에서보다 사육되는 개체의 생존률이 더 높은 편이며, 2015년 국제 자연 보전 연맹 조사에 따르면 야생에는 현재 2,500마리가 남아 있다.[1]

생존을 위협하는 최대 요소는 서식지 파괴로, 서식하고 있던 삼림 지대가 농장 개간을 목적으로 부서지고 벌목되어 터전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밀렵부시미트를 얻기 위한 사냥, 천적과 내전에 의한 희생 역시 위협적이다. 라이베리아에서 피그미하마는 고기를 얻으려는 목적으로 남획당하기도 한다.

분류와 기원[편집]

Body
입을 벌리는 피그미하마, 포르투갈 라고스 동물원
Skull
머리뼈

피그미하마는 하마와 같은 하마과(Hippopotamidae)에 속하나, 하마속에 속하지 않고 피그미하마속(Choeropsis)이라는 별도의 범주에 속한다. 피그미하마속의 학명인 코에롭시스는 '돼지를 닮은'이라는 뜻을 지녔다. 또한 일부 분류학자들은 하마과안트라코테리움과를 같이 하마상과(Hippopotamoidea) 밑으로 두기도 한다.

하마속에 속한 하마들 가운데 피그미하마와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것은 근세에 자취를 감춘 난쟁이하마 3종 가운데 하나인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학명Hippopotamus madagascariensis)이다. 마다가스카르난쟁이하마는 피그미하마처럼 보금자리로 개활된 강가보다 고지대에 우거진 삼림지를 선호하는, 육상생활에 가까운 생활양식을 보였었다. 이 종은 500년 전을 전후로 하여 절멸한 것으로 보인다.[3][4][5]

피그미하마는 해당 동물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면서 분류가 한 번 바뀌었다.[1][6][7][8] 본래 피그미하마를 처음으로 학계에 기재한 새뮤얼 조지 모턴은 피그미하마를 하마속으로 분류하고 히포포타무스 미노르(Hippopotamus minor)라는 학명을 붙였지만, 훗날 하마속과 충분히 차이점이 뚜렷하다고 판단하여 별도의 속인 코에롭시스로 재명명되었다. 1977년, 영국의 고생물학자 셜리 코린든은 피그미하마가 같은 하마과에 속해 있던, 아시아에 살던 하마과 종류인 헥사프로토돈속과 매우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고 발표했다.[9]

외형[편집]

몸길이 1.5~1.8m, 꼬리길이 약 15 cm, 어깨높이 75~100 cm, 몸무게 180~250kg이다. 발가락은 네 개 있는데 하마와 달라서 물갈퀴가 없다. 위턱의 앞니는 두 쌍으로 하마와 같으나 아래턱은 하마가 두 쌍인 데 비하여 1쌍밖에 없다. 몸의 털은 거의 없고 체색은 하마의 다갈색에 대하여 회흑색이다. 애기하마는 산림의 습지대에서 단독으로 생활하면서 풀이나 과실 등을 먹는다. 임신기간은 201-210일, 한배에 3-5kg의 새끼를 한 마리 낳는다. 애기하마는 무색 투명한 점액을 분비한다. 수명은 20-40년이다.

생태[편집]

애기하마는 하마에 비해 지상의 생활에 적응했음을 보여주지만 여전히 피부를 적시거나 체온을 낮추는데는 물에 의존한다. 짝짓기나 출산은 땅과 물에서 일어날수 있다. 애기하마는 초식성으로, 숲에 있는 고사리, 넓은잎, 풀, 과일등을 먹는다. 수가 많지 않고 야행성이기 때문에 애기하마는 야생에서 연구하기가 어려운 종이다.

멸종위기[편집]

애기하마를 죽이는 것은 법으로 금지되어 있지만 아프리카인들은 식량을 위해 이들을 죽이고 있다. 그 결과 멸종 위기에 놓이게 되었다. 예전에는 아프리카 전역에 걸쳐 강가에 많은 하마들이 서식했다. 그러나 사람들이 수많은 하마를 죽이고 그들의 서식지를 감소시켰다. 사냥꾼은 하마를 죽이고 농부는 하마의 서식지를 개간해 경작지로 만들었다. 하마의 엄니는 값비싼 상아를 제공하는데, 하마의 상아는 누렇게 변색되지 않기 때문에 예부터 의치(義齒)로 사용되어 왔다.


애기하마는 서부아프리카 외부에서 19세기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20세기 초반에 동물원에 도입되었으며 사육하에서도 잘 번식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연구는 동물원에 있는 개체로부터 이루어진 것이다. 하지만 야생에서는 멸종위기를 맞고 있는데, 국제자연보호연맹은 야생 애기하마는 3000마리 미만이라고 하였다.[1] 애기하마는 숲이 파괴되며 생기는 서식지 상실, 밀렵, 포식자, 전쟁과 같은 복합적인 요소로 인해 언제나 위협을 받고있다. 대한민국서울대공원에도 애기하마가 보존되어 있다.

사진[편집]

각주[편집]

  1. Ransom, C.; Robinson, P.T.; Collen, B. (2015). Choeropsis liberiens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5: e.T10032A18567171. doi:10.2305/IUCN.UK.2015-2.RLTS.T10032A18567171.en. 2021년 8월 27일에 확인함. 
  2. Stroman, H. R.; Slaughter, L. M. (January 1972). “The care and breeding of the Pygmy hippopotamus (Choeropsis liberiensis) in captivity”. 《International Zoo Yearbook》 12 (1): 126–131. doi:10.1111/j.1748-1090.1972.tb02296.x. 
  3. Harris, J.M. (1991). “Family Hippopotamidae”. 《Koobi Fora Research Project. Vol. 3. The Fossil Ungulates: Geology, Fossil Artiodactyls and Paleoenvironments》 (Clarendon Press, Oxford): 31–85. 
  4. Oliver, W.L.R. (1995). “Taxonomy and Conservation Status of the Suiformes — an Overview” (PDF). 《IBEX Journal of Mountain Ecology》. 2007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5. Boisserie, J.-R. (2016). Hippopotamus madagascariensis. 《IUCN 적색 목록》 (IUCN) 2016: e.T40783A90128828. doi:10.2305/IUCN.UK.2016-1.RLTS.T40783A90128828.en. 2021년 11월 11일에 확인함. 
  6. Boisserie, Jean-Renaud (2005). “The phylogeny and taxonomy of Hippopotamidae (Mammalia: Artiodactyla): a review based on morphology and cladistic analysis”. 《Zoolog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143: 1–26. doi:10.1111/j.1096-3642.2004.00138.x. 
  7. Eltringham, S. Keith (1999). 《The Hippos》. London: Academic Press. ISBN 978-0-85661-131-5. 
  8. Robinson, Phillip T. River Horses and Water Cows 보관됨 2009-03-26 - 웨이백 머신. Hippo Specialist Group of the World Conservation Union 보관됨 2007-07-17 - 웨이백 머신. Retrieved on 2007-07-30.
  9. Coryndon, Shirley C. (1977). “The taxonomy and nomenclature of the Hippopotamidae (Mammalia, Artiodactyla) and a description of two new fossil species”. 《Proceedings of the Koninklijke Nederlandse Akademie van Wetenschappen》 80 (2): 61–88. 

외부 링크[편집]

Heckert GNU white.svgCc.logo.circle.svg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타[편집]

하마와 달리 몸집이 작기 때문에 사자, 표범, 나일악어한테 안된다. 그렇지만 사자와 서식지가 달라서 겹치는일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