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민정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에서 넘어옴)

야민정음한글 자모를 모양이 비슷한 것으로 바꾸어 단어를 다르게 표기하는 인터넷 밈이다. 대표적인 예로는 '댕댕이(멍멍이)', '띵작(명작)' '괄도 네넴띤(팔도 비빔면)' 등이있다.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에서 발전하여 지금과 같은 형태가 되었다. 이름은 디시인사이드 국내야구 갤러리의 별명인 '야갤'과 훈민정음에서 따와서 야민정음이 되었다. 영미권의 리트과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용법[편집]

야민정음은 비슷하게 바꾸는 것에서부터, 회전하는 것, 압축하는 것, 한자를 이용하는 것, 로마자까지 사용하는 것도 있는 등 그 용법이 다양하다. 일부 밈은 야민정음이라는 개념이 창안되기 이전에도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야민정음으로 취급된다.[1] 대표적으로 알려진 용법은 다음과 같다.

한글[편집]

방법 예시 바뀐 예시 참고
<-> 근 ㄹㄹ웹(루리웹) 근근웹 [2]
<-> 받침 뉴비 늒네
비<->네 비밀, 비빔면 네밀, 네넴댼(네넴띤)
대 <-> 멍 대리운전, 멍멍이 머근ㅣ운견, 댕댕이 [3]
명 <-> 띵 명곡 띵곡
귀 <-> 커 귀여움 커여움 [4]
받침 <-> 받침 세종대왕 세종머앟
180˚ 회전 폭풍눈물 롬곡옾눞 [5]
90˚ 회전 비버, 바바리맨, 비빔밥 뜨또(또뜨), 뚜뚜리맨, ㄸ뚜ㅁ뜨뜨 [6][7][8]
압축 돌돔, 고기, 부부 뚊, 꾀, 쀼 [1]
로마자 사용 야민정음 OF괸경음 [9]
고 <-> ㅍ 대구광역시 머구팡역시

한자[편집]

한자 한글
大(클 대)
長(길 장)
金(쇠 금, 성 김)
笑(웃을 소)
人(사람 인)
奀(파리할 망) 좃, 좆
音(소리 음)

유행[편집]

처음에는 국내 야구 갤러리에서만 사용되다 점차 인터넷 커뮤니티로 확산했고 젊은 층의 속어처럼 유행을 탔다.[10] 또한 농심, 해태htb, 팔도에서 자사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하였다.[11]

비판[편집]

한글 파괴[편집]

야민정음이 한글 파괴에 일조하고 언어폭력의 수단으로 활용된다는 비판이 있지만,[12] 오히려 한국어 발전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의견도 있다.[13]

'한국어' 파괴가 아닌 '한글' 파괴가 맞는 말이다.[14] 한국어는 말, 한글글자로 엄연히 다르다.


같이 보기[편집]

주해[편집]

  1. 야민정음이란 말이 생긴 게 2015~2016년인데 이 글은 2012년에 쓰였다.

각주[편집]

  1. “[익명잡담] 쬲이 무슨 뜻이야????”.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주 1]
  2. “[이재현의 유행어 사전] 박ㄹ혜”.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3. 반대의 경우도 가능함
  4. “[고현준의 뉴스딱] "'롬곡'·'커엽다' 무슨 뜻?"…커지는 한글파괴 우려”. 《SBS NEWS》. 2018년 10월 9일.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5. '롬곡옾눞' '띵작'…청소년·노인 모두 '신조어로 세대차이”. 《뉴스1》. 2018년 10월 9일.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6. “| 저스틴 비버의 왼팔에는 한글이 있다.."'뜨또'가 뭐야?"텐아시아”. 《텐아시아》. 2015년 12월 7일. 2018년 12월 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7. “또뜨 - Google 검색”.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8. 비버는 "뜨"와 "또"를 따로 따로 회전 하는 것이 아니라면 "뜨또" 아닌 "또뜨"를 ↺로 90°회전 한 것이어야 할 수도 있다.
  9. dcinside, 디시인사이드,. “야민정음 - 디시위키”. 2018년 12월 2일에 확인함. 
  10. “[신조어 사전] 야민정음”. 서울경제. 2021년 1월 14일. 2021년 3월 6일에 확인함. 
  11. 이경민 (2020년 2월 25일). “‘야민정음’ 제품 인기도 판매도 ‘UP’”. 식품외식경제. 2021년 3월 7일에 확인함. 
  12. 윤형준; 신민섭 (2016년 7월 18일). “세종머앟?… 세종대왕이 울고갈 '야민정음'. 조선일보. 2018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3. 박진호 (2017년 9월 4일). “야민정음, 발랄한 문자 놀이”. 서울대저널. 2021년 3월 7일에 확인함. 
  14. 김선미 (2017년 11월 20일). “세종대왕과 한글파괴?”. 《한글문화연대 누리집》. 2022년 8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9일에 확인함.  |웹사이트=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