팥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속: | 동부속 |
종: | 팥 |
학명 | |
'Vigna angularis' |
팥은 한해살이풀로 높이 30-50cm이다. 그 열매는 소두(小豆), 적두(赤豆), 적소두(赤小豆), 팥콩이라고도 불린다. 원산지는 인도와 아시아 극동 지역으로서 중국에서는 2000년 전부터 재배가 되었으며, 주로 한국·중국·일본 등에서 재배되는 작물이다.
생태[편집]
덩굴성이거나 곧추서며 옆으로 퍼진 긴 털이 있다. 잎은 2장의 떡잎, 2장의 본잎이다. 그 외에도 어긋나고 3장의 작은잎으로 이루어지는 겹잎이며 긴 잎자루가 있다. 여름에서 가을에 각 잎겨드랑이에서 꽃줄기가 나오고 10개 정도의 꽃이 달린다. 꽃은 8월에 피고 분홍색, 붉은색, 보라색, 또는 흰색이다. 씨앗의 빛깔은 적갈색 외에 흰색·검은색·황록색 등 품종에 따라 색이 다양하다. 팥은 줄기가 곧게 서는 보통팥과 덩굴성인 덩굴팥으로 나뉘며, 생태적 특성에 따라 여름팥·가을팥, 씨껍질의 빛깔에 따라 붉은팥·검정팥·푸른팥·얼룩팥 등으로 구별된다.
서식지[편집]
팥은 다른 콩과 식물처럼 뿌리에 공생하는 뿌리혹박테리아가 질소를 고정해 유기 질소화합물을 만들기 때문에 척박한 땅에서 잘 자란다. 콩과 비슷한 기후에 알맞지만 콩보다 따뜻하고 습한 기후가 적당하며, 냉해와 서리의 피해를 받기 쉽다. 대개 5월 무렵 보리 이랑에 심는 이 식물은 보리를 수확하면 햇빛을 충분히 받아 잘 자란다.
쓰임새[편집]
100 g당 영양가 | |
---|---|
에너지 | 536 kJ (128 kcal) |
24.8 g | |
식이 섬유 | 7.3 g |
0.1 g | |
7.5 g | |
비타민 | 함량 %DV† |
티아민 (B1) | 10% 0.12 mg |
리보플라빈 (B2) | 5% 0.06 mg |
나이아신 (B3) | 5% 0.72 mg |
판토테산 (B5) | 9% 0.43 mg |
비타민 B6 | 8% 0.1 mg |
엽산 (B9) | 30% 121 μg |
비타민 C | 0% 0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3% 28 mg |
구리 | 15% 0.3 mg |
철분 | 15% 2 mg |
마그네슘 | 15% 52 mg |
망간 | 27% 0.57 mg |
인 | 24% 168 mg |
칼륨 | 11% 532 mg |
셀레늄 | 2% 1.2 μg |
나트륨 | 1% 8 mg |
아연 | 19% 1.8 mg |
기타 성분 | 함량 |
수분 | 66 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팥은 팥죽을 쑤어 먹거나 밥에 잡곡으로 넣어 먹으며, 떡이나 빵의 고물과 속으로 쓴다. 씨는 각기병 치료나 이뇨제로 쓴다.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와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