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블로바 (음식)
다른 이름 | 패브 |
---|---|
종류 | 케이크 |
코스 | 후식 |
원산지 | 뉴질랜드, 오스트레일리아 |
관련 나라별 요리 | 뉴질랜드 요리 오스트레일리아 요리 |
주 재료 | 달걀 흰자, 설탕, 과일 |
파블로바(영어: pavlova 패블로버[*])는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디저트이다.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의 이름을 딴 머랭 기반 양과자로, 겉은 바삭바삭하고 속은 부드러운 케이크 형태를 띤다. 보통 크림과 과일을 토핑한다.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로 여겨진다. 크리스마스 등 명절에 먹는 음식이기도 하다.
이름[편집]
영어 "패블로버(pavlova)"는 러시아인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Анна Павлова)"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이름이다.[1] 패브(영어: pav)로 줄여 부르기도 한다. 영어권에서 "패블로버(/pævˈloʊvə/)"로 발음되는 디저트 이름과 달리 인명은 대문자 "Pavlova"로 적히고, "파블로버(/ˈpɑːvləvə/)"로 발음된다.[2][3][4]
역사[편집]
1920년대에 발레리나 안나 파블로바가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를 여행했을 때, 그에 대한 존경의 의미로 만들어졌다고 알려져 있으며, 양국 간에 파블로바의 기원에 관한 오랜 논쟁이 존재한다.
1906년 오스트레일리아 잡지 《더 퀸즐랜더》에 파블로바와 비슷한 음식이 소개되지만, "파블로바"가 아닌 "크림 케이크(cream cake)"라고 불린다.[5] 1911년 《뉴질랜드 헤럴드》에는 "딸기 파블로바(Strawberries Pavlova)"라는 음식이 소개되지만, 소르베와 비슷한 빙과이다.[6]
오늘날의 파블로바와 거의 같다고 볼 수 있는 첫 레시피는 1922년 에밀리 퍼터의 《오스트레일리아 가정식(Australian home cookery)》이라는 책에 "과일 소를 곁들인 머랭(Meringue with Fruit Filling)"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7] 1929년 뉴질랜드에서 "파블로바 케이크(pavlova cake)"라는 이름의 레시피가 발견되며,[8][9] 같은 이름의 레시피가 1934년 뉴질랜드 《디 이브닝 스타》,[10] 1935년 오스트레일리아 《디 애드보킷》에도 등장한다.[11]
파블로바는 어느 한 곳에서 기원한 것이 아니라 뉴질랜드와 오스트레일리아 양국에서 사회적으로 발명되고 구성되었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12]
세계에서 가장 큰 파블로바[편집]
뉴질랜드 웰링턴의 국립박물관은 1999년 개관 1주년을 기념하여 세계에서 가장 큰 파블로바를 만들고, 파브질라(Pavzilla)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는 당시 총리인 제니 시플리가 잘랐다. 이 기록은 2005년 뉴질랜드 호크스베이 지방의 Eastern Institute of Technology의 학생들에 의해 갱신되었다. 이때 만들어진 파블로바의 이름은 파브콩(Pavkong)으로, 64m에 달하여 기존의 45m 기록을 넘어섰다.[13]
만들기[편집]
달걀 흰자를 거품기(또는 전동 거품기)로 휘저어 머랭처럼 친다. 고운 설탕을 넣어 가며 휘젓다가, 옥수수녹말가루와 식초 또는 레몬 즙을 약간 넣어 섞는다. 향미를 위해 바닐라나 레몬 제스트 등 향신료를 넣기도 한다. 둥근 케이크 모양으로 펴서 오븐에서 천천히 구워 내는데, 다 익었을 때 겉은 바삭바삭하며 안은 마시멜로처럼 부드럽다. 구워진 파블로바에는 휘저은 크림과 딸기, 키위, 패션프루트 등의 과일을 올려 낸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Boylen, Jeremy (reporter) (2004-08-20).Pavlova Archived 2010년 4월 16일 - 웨이백 머신 George Negus Tonight,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 ↑ Macquarie Dictionary, Fourth Edition (2005). Melbourne, The Macquarie Library Pty Ltd. ISBN 1-876429-14-3
- ↑ Orsman, H.W. (ed.) (1979) Heinemann New Zealand dictionary. Auckland: Heinemann Educational Books (NZ)
- ↑ Dictionary.com, "pavlova," in Dictionary.com Unabridged (v 1.1). Source location: Random House, Inc. http://dictionary.reference.com/browse/pavlova. Available: http://dictionary.reference.com. Accessed: 26 April 2009.
- ↑ “Cream Cake”. 《Trove》. The Queenslander. 1906년 2월 10일. 2019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The Home. The Strawberry Season”. The New Zealand Herald via Papers Past. 1911년 11월 11일.
- ↑ Symons, Michael (2010년 4월 15일). “The confection of a nation the social invention and social construction of the Pavlova”. 《Social Semiotics》 20 (2): 202. doi:10.1080/10350330903566004. 2019년 11월 25일에 확인함.
- ↑ Leach, Helen (2008). 《The Pavlova Story: A Slice of New Zealand's Culinary History》. Otago University Press. 11–31쪽. ISBN 978-1-877372-57-5.
- ↑ Park, Nicky (2010년 12월 3일). “Dictionary sides with NZ in pavlova debate”. 《Sydney Morning Herald》. 2019년 11월 26일에 확인함.
- ↑ “The Right Recipe. Some request cake recipes”. The Evening Star via Papers Past. 1934년 11월 10일. 24쪽.
- ↑ “An Elaborate Cake”. The Advocate, republished by Trove, National Library of Australia. 1935년 9월 14일.
- ↑ “The confection of a nation: The social invention and social construction of the Pavlova”. Academia.edu. 2010년 4월 15일. 2019년 10월 8일에 확인함.
- ↑ http://www.nzherald.co.nz/nz/news/article.cfm?c_id=1&objectid=10116427 Students make world's biggest Pavol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