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 켈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팀 겔러
출생1950년 9월 23일(1950-09-23)
사망2023년 5월 19일(2023-05-19)(72세)
교파Reformed - New Calvinism
직업Minister (Christianity)
배우자Kathy
자녀David
Michael
Jonathan
웹사이트
www.timothykeller.com

팀 켈러(Timothy J. Keller, 1950년 9월 23일~2023년 5월 19일)는 미국의 목사, 신학자 및 기독교 변증가이자 뉴욕시 리디머 장로 교회(Redeemer Presbyterian Church)의 설립자이다. 뉴욕타임지 베스트셀링 북 <마르지 않는 사랑>(The Prodigal God: Recovering the Heart of the Christian Faith , 2008)의 저자이다. [1] 그는 1989년 아내 케시 사모와 3명의 아이들과 함께 리디머 장로교회를 개척하여 20년 동안 다양한 젋은 직장인들을 지도하며 대형교회로 성장시켰다. 여러 도시에 교회들을 개척하고, 도시문화 속에서 신앙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는 책이나 자료들을 출판하는 ‘리디머시티투시티’(Redeemer City to City)의 이사장도 맡았다.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48개 도시에서 250개 교회를 개척했다.[2] 복음연합을 2005년에 D. A. 카슨과 세워 목회자들을 훈련시켰다. 존 파이퍼와 더불어 가장 영향력있는 목회자로 인정받는다. 실천적 변증론의 관점에서 목회 철학을 세웠다.

생애[편집]

팀 켈러는 1950년에 펜실베이니아주 앨런타운에서 TV 광고 매니저의 아들로 태어났다.[3][4][5][6] 1972년에 버크넬 대학교에서 학사학위를 받고, 1975년에는 고든 콘웰 신학교에서 목회학 석사학위(M.Div.)를 받았다. 이 때 캐시 크리스티와 만나 결혼하였다.[7]

1981년에는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목회학 박사학위(D.Min.)를 받았다.[8][9] 지도교수는 한국에서도 선교사와 교수를 했던 하비 콘(Harvie M. Conn)이었다.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는 루터교회를 다녔으나,[10] 미국기독학생회의 영향으로 장로교인이 되었다. 미국 장로교회로부터 목사안수를 받았다. 버지니아주 호프웰의 장로교회에서 9년간 사역을 하였고,[11] 후에 뉴욕시 리디머 장로 교회(Redeemer Presbyterian Church)를 설립하였다. 박사학위를 받은 웨스트민스터 신학교에서 교수직을 하였다. 가족으로 캐시와의 사이에서 3명의 자식을 두었다. 팀 켈러는 2002년에 갑상선암에 걸렸는데,[12] 18년 뒤인 2020년 6월에 췌장암 판정을 받아[13][14][15] 투병하던 도중 2023년 5월 19일 72세의 나이로 호스피스에서 사망했다.[16][17]

한국교회[편집]

2018년 3월 한국을 방문하여 다음과 같이 충고하였다."교회가 커지고 권력이 강해지면 교회 지도자들이 권력과 부에 무릎을 꿇고 부패하게 됩니다. 이는 서양교회에서도 이미 경험한 문제죠. 유혹과 권력의 문제에 직면할 만큼 힘을 갖게 된 한국교회가 이 문제를 감추지 말고 어떻게 회개하고 권력남용을 다뤄야 할지를 고민해야 합니다."[18]

신학[편집]

켈러는 '복음주의'라는 칭호를 피하라고 주장한다. 그 이유는 그 단어가 주는 정치적이고 근본주의적인 상징성 때문이다. 그 이유로, 그는 자기 자신을 정통파라고 부르라고 권하는 데, 그것은 그가 개인의 회심또는 중생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그는 개혁주의 신학자로 보이지만, 그의 개혁주의 교리해석이 현대적으로 치우쳤다는 비판을 받았다. 그래서 그는 '교리에 충실한 이머징 목사' 또는 '신 칼뱅주의자'라고 불린다.

복음과 종교의 관계[편집]

켈러 사역의 핵심에는 전적인 부패, 오직 은혜, 대속적 속죄에 있다. 그는 이것을 '복음 중심의 접근방식'으로 부른다.

변증학[편집]

그는 그의 저서 < 하나님을 위한 이성>에서 수천명의 회의적인 뉴욕인들과 대화를 나누며 얻은 경험을 말한다. 그는 미국에서 과거 서양의 기독교 문화가 실종되었다고 말한다. 그로 인해, 기독교인들이 현재의 세속화되고, 반종교적인 문화환경을 문맥화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창조론에 관하여 그는 문자주의를 옹호하지 않고, 바이오로고스 단체의 주장인 진화론적 창조론을 따른다.

우상에 관하여[편집]

그는 우상에 관한 글을 썼는 데, 주로 마르틴 루터장 칼뱅의 입장을 따르며 십계명에 기초하여 설명하였다. 그는 현대인들이 가진 돈, 섹스, 권력에 대한 중독이 하나님보다 더 인생에 만족을 주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한다.

사회정의와 정치[편집]

그는 미국에 대다수 교회( 감리교, 침례교, 오순절파등)이 죄와 대속교리를 약화시키며 진보적 정치에 함몰하였다고 비판하면서도, 또한 복음주의가 공화당과 연합체인 것을 또한 비판한다. 또한, 기독교가 더 세계적인 운동으로 선한 사마리아인처럼 가난한 자들의 편에 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기독교인이 가난한 자들에게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는 것에 대하여 사회운동을 펼치는 것을 옹호하며, 사회적 불평등에 대하여 진보적인 입장을 취한다.

문화적인 참여[편집]

그는 미국 맨하탄 북부에서 비즈니스, 예술, 사업등의 문화활동에 참여하며 그들과 소통하려고 노력을 하였다.

성과 젠더[편집]

그는 젠더에 대하여 상호보완론 (신학)을 주장하면서도, 각 젠더의 역할은 성경에 정확하게 기술되어 있지 않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는 동성애가 성경에 맞지 않다고 말하며, 맨하탄 선언에 서명을 하였다.

팀 켈러 “포스트모던 시대, 복음 전하는 7가지 방법[편집]

팀 켈러 목사는 포스트모던 시대에 복음을 효과적으로 전할 수 있는 7가지 방법을 제시했고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19]

  • 비기독교인들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언어를 쓰라.
  • 비기독교인들도 존경하는 인물의 말을 인용하라.
  • 비기독교인들이 갖고 있는 의문을 이해하라.
  • 비기독교인들이 믿고 있는 것을 최대한 활용하라.
  • 신앙은 절대 강요로 인해 생기는 게 아니다.
  • 겉으로 드러난 행동이 아닌 그 동기에 주목하라.
  • 율법이 아닌 복음을 전하라.

그에게 영향을 준 인물들과 작품[편집]

저서[편집]

  • Resources for Deacons: Love Expressed through Mercy Ministries (Christian Education and Publications, 1985) ISBN 0-9703541-6-9
  • Ministries of Mercy: The Call of the Jericho Road (P&R Publishing, 1997) ISBN 0-87552-217-3
  • Church Planter Manual (Redeemer Presbyterian Church, 2002)
  • The Reason for God: Belief in an Age of Skepticism (Dutton Adult, February 2008) ISBN 0-525-95049-4
  • The Prodigal God: Recovering the Heart of the Christian Faith (Dutton Adult, November 2008) ISBN 0-525-95079-6
  • Counterfeit Gods: The Empty Promises of Money, Sex, and Power, and the Only Hope that Matters (Dutton Adult, October 2009) ISBN 0-525-95136-9
  • Generous Justice: How God's Grace Makes Us Just (Dutton Adult, November 2010) ISBN 0-525-95190-3
  • King's Cross: The Story of the World in the Life of Jesus (Dutton Adult, February 2011) ISBN 0-525-95210-1
  • The Meaning of Marriage: Facing the Complexities of Commitment with the Wisdom of God (Dutton Adult, November 2011) ISBN 0-525-95247-0
  • The Freedom of Self Forgetfulness: The Path to True Christian Joy (10Publishing, March 2012) ISBN 978-1906173418
  • Center Church: Doing Balanced, Gospel-Centered Ministry in Your City (Zondervan, September 2012) ISBN 0-310-494184
  • Every Good Endeavor: Connecting Your Work to God's Work (Dutton, November 2012) ISBN 978-0-525-95270-1
  • Galatians For You (The Good Book Company, February 2013) ISBN 978-1908762573
  • Judges For You (The Good Book Company, August 2013) ISBN 978-1908762900
  • Walking with God through Pain and Suffering (Dutton, October 2013) ISBN 978-0-525-95245-9
  • Encounters with Jesus: Unexpected Answers to Life's Biggest Questions (Dutton, 2013) ISBN 978-0-525-95435-4
  • Romans 1-7 For You (The Good Book Company, February 2014) ISBN 978-1908762917
  • Prayer: Experiencing Awe and Intimacy with God (Dutton, 2014) ISBN 978-0-525-95414-9
  • Center Church Europe (Wijnen, Uitgeverij Van, 2014) Contributors are José de Segovia, Leonardo De Chirico, Michael Herbst, Frank Hinkelmann, Martin de Jong, Jens Bruun Kofoed, Daniel Liechti, András Lovas, David Novak, Stefan Paas and Martin Reppenhagen. ISBN 978-9-051-94480-8
  • Romans 8-16 For You (The Good Book Company, February 2015) ISBN 978-1910307298
  • Preaching: Communicating Faith in an Age of Skepticism (Viking, June 2015) ISBN 978-0-525-95303-6
  • The Songs of Jesus: A Year of Daily Devotionals in the Psalms (Viking, November 2015) ISBN 978-0-525-95514-6
  • Making Sense of GOD: An Invitation to the Skeptical[21] Viking ISBN 9780525954156 ebk. ISBN 9780698194366

번역된 저서[편집]

  • 팀켈러의 정의란 무엇인가: 하나님의 은혜가 어떻게 우리를 정의롭게 만드는가 ( 최종훈 옮김, 두란노서원, 2012)[1] : 켈러는 이 책에서 복음주의자들이 사회정의를 포함하여 사역을 해야 한다고 역설하고 있다.

각주[편집]

  1. “Paperback Nonfiction”. 《The New York Times. 2016년 8월 28일에 확인함. 
  2. 프린스턴대, 팀 켈러 목사에게 카이퍼상 주지 않기로
  3. Langer, Emily (2023년 5월 19일). “Timothy Keller, evangelical minister with national flock, dies at 72”. 《The Washington Post. 2023년 5월 19일에 확인함. 
  4. The Pittsburgh Press (Pittsburgh, Pennsylvania), January 31, 1975, Fri, pg. 10 (accessible on newspapers.com)
  5. 2013 obituary, https://lankfordfuneralhome.com/tribute/details/545/William-Keller/obituary.html[깨진 링크]
  6. "William B. Keller ... there's plenty to alk about!" The Morning Call (Allentown, Pennsylvania)August 14, 1965, SatPage 12 (accessible on newspapers.com)
  7. Langer, Emily (2023년 5월 19일). “Timothy Keller, evangelical minister with national flock, dies at 72”. 《The Washington Post. 2023년 5월 19일에 확인함. 
  8. “Faculty – Part Time”. Westminster Theological seminary. 2007년 4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3월 30일에 확인함. 
  9. Hart, D. G. (2013). 〈Looking for Communion in all the Wrong Places: Tim Keller and Presbyterian Ecclesiology〉. 《Engaging with Keller: Thinking Through the Theology of an Influential Evangelical》. 217쪽. 
  10. “Conservative Christianity after the Christian Right”. 《Faith Angle Forum》 (미국 영어). 2023년 1월 18일에 확인함. 
  11. "Tim Keller," Bigthink.com.
  12. Kumar, Anugrah (2022년 6월 18일). “Tim Keller's son shares update on dad's treatment: 'Things were scary for a bit … he is doing much better'. 《The Christian Post》. 
  13. “Tim Keller diagnosed with cancer: 'God has been remarkably present'. Fox News. 2020년 6월 8일. 2020년 7월 6일에 확인함. 
  14. Keller, Timothy (2021년 3월 7일). “Growing My Faith in the Face of Death”. 《The Atlantic》 (영어). 2022년 2월 16일에 확인함. 
  15. Timothy Keller [timkellernyc] (2021년 12월 3일). “I have Stage IV pancreatic cancer. But it is endlessly comforting to have a God who is both infinitely more wise and more loving than I am. He has plenty of good reasons for everything he does and allows that I cannot know, and therein is my hope and strength.” (트윗). 
  16. Lea, Jessica (2023년 5월 18일). “Tim Keller Will Now Receive Hospice Care at Home: 'I Can't Wait To See Jesus'. 《Church Leaders》. 2023년 5월 19일에 확인함. 
  17. Roberts, Sam (2023년 5월 20일). “Rev. Timothy Keller, 72, Is Dead; Pioneering Manhattan Evangelist”. 《The New York Times》. B11면. 2023년 5월 21일에 확인함. 
  18. 팀 켈러 목사 "한국교회, 권력남용 문제 회개하고 고민해야", 연합뉴스, 2018/03/06
  19. 팀 켈러 “포스트모던 시대, 복음 전하는 7가지 방법, 기독일보,Mar 05, 2018
  20. “An Examination of Tim Keller's Views on the Trinity” (미국 영어). 2017년 7월 26일. 2021년 2월 16일에 확인함. 
  21. Keller, Timothy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