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성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
편집 요약 없음 |
||
'''항성시'''(恒星時,sidereal time)
춘분점이 자오면에 왔을 때(자오선 경과)를 0시로 하고, 다음번 0시까지 걸리는 시간을 1항성일(恒星日)로 하는데,
1평균 항성일을 평균 태양시로 나타내면 약 23시 56분 4.0916초이다. 이 항성일을 다시 24시 시분초 체계로 분할하여 항성시 체계로 사용하는 것이다.
춘분점은 항성계에 대하여 일정불변한 위치에 있는 것이 아니고, [[세차]](歲差)·[[장동]](章動)을 위해서 천구상의 위치를 바꾼다. 그래서, 세차 한 가지만을 받아 움직인다고 가상한 춘분점을 기준으로 한 항성시를 '평균 항성시 (mean sidereal time)',
천체 목표를 측정하는 경우의 기준(영점)으로 자오면을 취한다.<ref>자오면은, 어떤 지점의 연직선(중력의 방향, 수평면 또는 수은면에 수직인 방향)을 포함하며, 지구의 자전축에 평행한 면을 말한다.</ref>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