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로로설폰산
| |||
이름 | |||
---|---|---|---|
IUPAC 이름
Sulfurochloridic acid
| |||
별칭
Chlorosulfuric acid,
Chlorosulfonic acid, Chlorosulphonic acid, Chlorinesulfonic acid, Chlorinesulphonic acid, Chloridosulfonic acid, Chloridosulphonic acid, Sulfuric chlorohydrin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9.304 | ||
EC 번호 |
|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
UNII | |||
UN 번호 | 1754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HSO3Cl | |||
몰 질량 | 116.52 g mol−1 | ||
겉보기 | colorless liquid | ||
밀도 | 1.753 g cm−3 | ||
녹는점 | −80 °C (−112 °F; 193 K) | ||
끓는점 | 151 to 152 °C (304 to 306 °F; 424 to 425 K) (755 mmHg or 100.7 kPa) | ||
hydrolysis | |||
other solvents에서의 용해도 | reacts with alcohols soluble in chlorocarbons | ||
굴절률 (nD)
|
1.433 | ||
구조 | |||
tetrahedral | |||
위험 |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CSC 1039 | ||
GHS 그림문자 | ![]() ![]() | ||
신호어 | 위험 | ||
H314, H335 | |||
P260, P261, P264, P271, P280, P301+330+331,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10, P312, P321, P363, P403+233, P405, P50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관련 화합물 | |||
관련 화합물
|
Sulfuryl chloride Sulfuric acid |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클로로술폰산(Chlorosulfuric acid) 또는 염화술폰산은 화학식 HSO3Cl을 가지는 염화가 일어난 설폰산으로, 초강산의 한 종류이다.
구조 및 특성[편집]
황 원자를 중심으로 3개의 산소와 1개의 염소가 서로 반발하여 정사면체 모양의 분자 구조를 가지게 된다. 고순도의 클로로설폰산은 얻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며, 과량의 삼산화 황과 함께 방치하면 황산과 염화 피로황산(S2O5Cl2)으로 분해된다.[2]
- 2HSO3Cl + SO3 → H2SO4 + S2O5Cl2
제조[편집]
산업적인 용도로 대량 제조되는 클로로설폰산은 염산에 삼산화 황을 가하여 만든다.
- HCl + SO3 → ClSO3H
교육을 목적으로 소량 제조되는 클로로설폰산은 오염화 인(PCl5)과의 반응으로도 얻을 수 있다. 두번째 제조법은 작은 실험실 규모의 작업에 더 적합하다.
- PCl5 + H2SO4 → HSO3Cl + POCl3 + HCl
용도[편집]
- 클로로설폰산은 세제 및 화학 반응의 중간생성물로서 유용한 알킬술폰산염을 제조하는 데 사용된다.
- ROH + ClSO3H → ROSO3H + HCl
- 사카린의 초기 합성은 톨루엔과 클로로설폰산의 반응으로 시작하여 오쏘 및 파라 클로로설폰산톨루엔의 유도체를 제공하고, 이어서 벤조산 유도체는 암모니아로 고리화되고 염기로 중화되어 사카린을 형성한다.
- CH3C6H5 + 2HSO3Cl → CH3C6H4SO2Cl + H2SO4 + HCl
안전성[편집]
클로로설폰산은 물과 격렬하게 반응하여 황산과 염화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며, 일반적으로 용액에서 증기가 올라오는 형태로 관찰된다. 사용할 때는 적절한 환기와 같은 예방 조치를 준수해야 한다.
관련 할로젠화술폰산[편집]
각주[편집]
- ↑ http://www.newenv.com/resources/nfpa_chemicals
- ↑ Maas, Joachim; Baunack, Fritz (2000년 6월 15일). “Chlorosulfuric Acid”. Weinheim, Germany: Wiley-VCH Verlag GmbH & Co. KGaA. ISBN 35273067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