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
(칸 (칭호)에서 넘어옴)

동양식 등작 |
---|
![]() |
황제 / 천황 / 천자 / 천왕 / 태왕 무상가한 / 천가한 / 가한 / 선우 |
국왕 / 친왕 / 군왕 / 한 |
국공 / 군공 / 현공 / 콩타이지 |
열후 / 관내후 / 방백 |
중양식 등작 |
---|
![]() |
칼리파 / 샤한샤 / 삼라트 / 파디샤 마하라자디라자 / 차크라바르티 / 차트라파티 카간 / 파라오 / 만사 아미르 알무미닌 / 느구서 너거스트 |
마하라자 / 말리크 / 샤 / 술탄 / 칸 / 멜렉 벤탄 / 니잠 / 데이 / 나와브 / 초걀 / 가자파티 |
라자 / 샤자다 / 미르자 / 유바라자 / 사르다르 아미르 / 케디브 / 세나파티 / 사만타 / 나야크 샤이크 / 파샤 / 콩타이지 |
아타베그 / 만카리 / 바하두르 / 산자크 베이 |
자민다르 / 베이 / 샨 샤히브 / 베그자다 |
랄라 / 아가 / 하지네다르 |
사만타 / 자민다르 / 만카리 / 벨라라르 / 파샤 베이 / 베그자다 / 미르자 |
크샤트리야 / 맘루크 / 시파히 |
|
칸(몽골어: ᠬᠠᠨ Qan, 튀르키예어: Han) 또는 한(만주어: ᡥᠠᠨ Han, 페르시아어: خان Khān, 汗)은 튀르크, 만주, 몽골에서 황제, 왕을 이르는 칭호이다. 몽골이 원나라를 건국했을 때 한정으로 한자 혼용어인 "대칸"(大Khān)이 황제라는 의미로 불리기도 했지만 일릭 가한, 칭기스 칸과 같이 "칸"은 원래부터 황제를 뜻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역사[편집]
칸(한), 카간(가한)은 튀르크어로 우두머리를 뜻하며 기원전부터 부여에서 가(加)와 같은 호칭이 사용되었으며 AD 283년, 289년에 선비족 또한 호칭 사용 기록이 중국 사서에 기록되어 있다.[1][2]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이 글은 역사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