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십이후
칠십이후(七十二候)는 고대 중국에서 고안된 계절을 나타내는 방식 중 하나이다. 이십사절기(二十四節氣)를 약 5일씩 3개로 나누었다.
각 칠십이후의 명칭은 기상(氣象)의 움직임과 동식물의 변화를 알리는 단문으로 되어 있다. 그 중에는 「雉入大水爲蜃」(꿩이 바다에 들어가 큰 참치가 된다)와 같은 실제로는 있을 수 없는 일도 포함되어 있다.
고대 중국의 것이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24절기에 비교해, 72후의 명칭은 여러 번 변경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에도시대에 들어가 시부카와 하루미 등 역학자(易學者)에 의해 일본의 기후풍토(氣候風土)에 맞게 개정되어 「본조칠십이후」(本朝七十二候)가 만들어졌다. 현재는 1874년(메이지 7년)의 「약본력(略本曆)」에 게재된 칠십이후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이쿠의 계어에는 중국의 칠십이후에 의한 것도 일부 남아 있다.
칠십이후 일람[편집]
이십사절기 二十四節氣 |
후 候 |
![]() |
![]() | ||
---|---|---|---|---|---|
이름 | 의미 | 이름 | 의미 | ||
입춘 立春 |
初候 | 東風解凍 동풍해동 |
동풍이 두꺼운 얼음을 녹이기 시작 | 東風解凍 동풍해동 |
동풍이 두꺼운 얼음을 녹이기 시작 |
次候 | 黃鶯睍睆 황앵현환 |
섬휘파람새가 산리에서 울기 시작 | 蟄蟲始振 칩충시진 |
겨울 바구니 벌레가 움직이기 시작한다 | |
末候 | 魚上冰 어상빙 |
깨진 얼음 사이에서 물고기가 튀어 나온다 | 魚陟負冰 어척부빙 |
깨진 얼음 사이에서 물고기가 튀어 나온다 | |
우수 雨水 |
初候 | 土脈潤起 토맥윤기 |
비가 내리고 흙이 습기를 포함 | 獺祭魚 달제어 |
수달이 잡은 물고기를 나란히 먹는다 |
次候 | 霞始靆 하시체 |
노을이 흔들리기 시작한다 | 鴻雁來 홍안래 |
참새가 날아오기 시작 | |
末候 | 草木萌動 초목맹동 |
초목이 싹트기 시작 | 草木萌動 초목맹동 |
초목이 싹트기 시작 | |
경칩 驚蟄 |
初候 | 蟄蟲啓戶 칩충계호 |
겨울 바구니 벌레가 나온다 | 桃始華 도시화 |
복숭아꽃이 피기 시작 |
次候 | 桃始笑 도시소 |
복숭아꽃이 피기 시작 | 倉庚鳴 창경명 |
꾀꼬리가 울리기 시작한다 | |
末候 | 菜蟲化蝶 채충화접 |
애벌레가 우화하고 나비가 된다 | 鷹化爲鳩 응화위구 |
매가 비둘기로 모습을 바꾼다 | |
춘분 春分 |
初候 | 雀始巢 작시소 |
참새가 둥지를 짓기 시작한다 | 玄鳥至 현조지 |
제비가 남쪽에서 온다 |
次候 | 櫻始開 앵시개 |
벚꽃이 피기 시작 | 雷乃發聲 뢰내발성 |
멀리서 번개 소리가 나기 시작 | |
末候 | 雷乃發聲 뢰내발성 |
멀리서 번개 소리가 나기 시작 | 始雷 시뇌 |
처음으로 번개가 친다 | |
청명 清明 |
初候 | 玄鳥至 현조지 |
제비가 남쪽에서 온다 | 桐始華 동시화 |
오동나무 꽃이 피기 시작한다 |
次候 | 鴻雁北 홍안북 |
참새가 북쪽으로 건너가 | 田鼠化爲鴽 전서화위여 |
애급쥐가 메추라기가 됨 | |
末候 | 虹始見 홍시견 |
비 후 무지개가 나오기 시작 | 虹始見 홍시견 |
비 후 무지개가 나오기 시작 | |
곡우 穀雨 |
初候 | 葭始生 가시생 |
갈대가 새싹을 불기 시작 | 萍始生 평시생 |
부유초가 싹트기 시작 |
次候 | 霜止出苗 상지출묘 |
서리가 끝나고 벼 모종이 성장 | 鳴鳩拂其羽 명구불기우 |
나루하토가 깃털을 지불 | |
末候 | 牡丹華 모단화 |
모란 꽃이 피는 | 戴勝降於桑 대승강어상 |
후투티가 뽕나무에 멈추고 누에를 낳는다 | |
입하 立夏 |
初候 | 蛙始鳴 와시명 |
개구리가 울리기 시작 | 螻蟈鳴 루국명 |
땅강아지가 울기 시작 |
次候 | 蚯蚓出 구인출 |
지렁이가 지상에 빠져 나간다 | 蚯蚓出 구인출 |
지렁이가 지상에 빠져 나간다. | |
末候 | 竹笋生 죽순생 |
죽순이 자랍니다 | 王瓜生 왕과생 |
왕과 열매가 살기 시작한다 | |
소만 小滿 |
初候 | 蠶起食桑 잠기식상 |
누에가 뽕나무를 활발히 먹기 시작 | 苦菜秀 고채수 |
고채가 자주 덤불 |
次候 | 紅花榮 홍화영 |
홍화가 활발하게 피어 | 靡草死 미초사 |
냉이 등 논에서 자라는 풀이 시들어 | |
末候 | 麥秋至 맥추지 |
밀이 익고 밀가을 | 小暑至 소서지 |
드디어 더위가 더해지기 시작한다 | |
망종 芒種 |
初候 | 螳螂生 당랑생 |
사마귀가 태어난다 | 螳螂生 당랑생 |
사마귀가 태어난다 |
次候 | 腐草爲螢 부초위형 |
썩은 잔디가 찐 반딧불이 | 鵙始鳴 결시명 |
때까치가 울리기 시작함 | |
末候 | 梅子黃 매자황 |
매화 열매가 황반으로 익는다 | 反舌無聲 반설무성 |
반설조가 울리지 않게 된다 | |
하지 夏至 |
初候 | 乃東枯 내동고 |
꿀풀가 시들어 | 鹿角解 록각해 |
사슴이 뿔을 떨어뜨린다 |
次候 | 菖蒲華 창포화 |
창포의 꽃이 피는 | 蜩始鳴 조시명 |
매미가 울리기 시작함 | |
末候 | 半夏生 반하생 |
반하가 자란다 | 半夏生 반하생 |
반하가 자란다 | |
소서 小暑 |
初候 | 溫風至 온풍지 |
따뜻한 바람이 불어온다 | 溫風至 온풍지 |
따뜻한 바람이 불어온다 |
次候 | 蓮始開 연시개 |
연꽃이 열리기 시작 | 蟋蟀居壁 실솔거벽 |
귀뚜라미가 벽에 울린다 | |
末候 | 鷹乃學習 응내학습 |
수리매는 나는 법을 배운다 | 鷹乃學習 응내학습 |
수리매는 나는 법을 배운다 | |
대서 大暑 |
初候 | 桐始結花 동시결화 |
오동나무 꽃이 내년에 싹을 얹는다 | 腐草爲螢 부초위형 |
썩은 잔디가 찐 반딧불이 |
次候 | 土潤溽暑 토윤욕서 |
흙이 젖고 덥다 | 土潤溽暑 토윤욕서 |
흙이 젖고 덥다 | |
末候 | 大雨時行 대우시행 |
때때로 폭우가 내린다 | 大雨時行 대우시행 |
때때로 폭우가 내린다 | |
입추 立秋 |
初候 | 涼風至 량풍지 |
시원한 바람이 서기 시작 | 涼風至 량풍지 |
시원한 바람이 서기 시작 |
次候 | 寒蟬鳴 한선명 |
저녁매미가 울기 시작한다 | 白露降 백로강 |
아침 이슬이 내리기 시작 | |
末候 | 蒙霧升降 몽무승강 |
깊은 안개가 들어갈 수 있다 | 寒蟬鳴 한선명 |
저녁매미가 울기 시작한다 | |
처서 處暑 |
初候 | 綿柎開 면부개 |
솜에 싸인 꽃받침이 열린다 | 鷹乃祭鳥 응내제조 |
매가 잡은 새를 나란히 먹는다 |
次候 | 天地始肅 천지시숙 |
드디어 더위가 진정 | 天地始肅 천지시숙 |
드디어 더위가 진정 | |
末候 | 禾乃登 화내등 |
열매를 맺는 쌀 | 禾乃登 화내등 |
열매를 맺는 쌀 | |
백로 白露 |
初候 | 草露白 초로백 |
잔디에 내린 이슬이 하얗게 빛난다 | 鴻雁來 홍안래 |
참새가 날아오기 시작 |
次候 | 鶺鴒鳴 척령명 |
할미새가 울리기 시작 | 玄鳥歸 현조귀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간다 | |
末候 | 玄鳥去 현조거 |
제비가 남쪽으로 돌아간다 | 羣鳥養羞 군조양수 |
많은 새들이 음식을 저장 | |
추분 秋分 |
初候 | 雷乃收聲 뢰내수성 |
번개가 울리지 않는다 | 雷乃收聲 뢰내수성 |
번개가 울리지 않는다 |
次候 | 蟄蟲壞戶 칩충괴호 |
벌레가 땅에 파는 구멍을 막는다 | 蟄蟲壞戶 칩충괴호 |
벌레가 땅에 파는 구멍을 막는다 | |
末候 | 水始涸 수시후 |
들판의 물이 마르기 시작했다 | 水始涸 | 들판의 물이 마르기 시작했다 | |
한로 寒露 |
初候 | 鴻雁來 홍안래 |
참새가 날아오기 시작 | 鴻雁來賓 홍안래빈 |
참새가 다수 날아와 손님이 된다 |
次候 | 菊花開 국화개 |
국화꽃이 피는 | 雀入大水爲蛤 작입대수위합 |
참새가 바다에 들어가 대합이 된다 | |
末候 | 蟋蟀在戶 실솔재호 |
귀뚜라미가 문 근처에서 울린다 | 菊有黃華 국유황화 |
국화꽃이 피어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