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
황경 | 절기 | 양력 |
---|---|---|
봄 | ||
315° | 입춘 | 2/4~5 |
330° | 우수 | 2/18~19 |
345° | 경칩 | 3/5~6 |
0° | 춘분 | 3/20~21 |
15° | 청명 | 4/4~5 |
30° | 곡우 | 4/20~21 |
여름 | ||
45° | 입하 | 5/5~6 |
60° | 소만 | 5/21~22 |
75° | 망종 | 6/5~6 |
90° | 하지 | 6/21~22 |
105° | 소서 | 7/7~8 |
120° | 대서 | 7/22~23 |
가을 | ||
135° | 입추 | 8/7~8 |
150° | 처서 | 8/23~24 |
165° | 백로 | 9/7~8 |
180° | 추분 | 9/22~23 |
195° | 한로 | 10/8~9 |
210° | 상강 | 10/23~24 |
겨울 | ||
225° | 입동 | 11/7~8 |
240° | 소설 | 11/22~23 |
255° | 대설 | 12/7~8 |
270° | 동지 | 12/21~22 |
285° | 소한 | 1/5~6 |
300° | 대한 | 1/20~21 |
대서(大暑)는 24절기의 12번째로 태양 황경이 120도가 될 때이다.
소서와 입추 사이의 절기로 일년 중 가장 무더운 시기이다. 양력으로는 7월 22일, 7월 23일경에, 음력으로는 6월에 해당한다.
기후[편집]
- 대서는 '몹시 심한 더위'라는 뜻으로 날씨가 몹시 덥고 장마가 지기 쉬운 때이다.
풍속[편집]
- 소서·대서 무렵에는 논이나 밭의 잡초를 뽑아내고 풀·짚 등을 섞어서 거름을 만들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였다. 특히 과일맛이 좋은 때로, 비가 적게 오면 더욱 맛이 좋다고 한다.
참고 문헌[편집]
![]() |
이 글은 시간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