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천지원자력발전소

천지원자력발전소
위치
천지원자력발전소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천지원자력발전소
천지원자력발전소
관리
공식이름천지원자력발전소
나라대한민국 대한민국
위치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석리 일대
좌표북위 36° 28′ 01″ 동경 129° 25′ 30″ / 북위 36.467° 동경 129.425°  / 36.467; 129.425
상태착공 중지
운영자한국수력원자력
원자로
계획중2 X 1,340 MWe
형태가압수형 원자로
원자로업체한국전력기술
터빈업체두산에너빌리티

천지원자력발전소(Cheonji Nuclear Power Plant)는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석리·노물리·매정리와 축산면 경정리 일대에 건설이 취소된 원자력발전소다. 당초 천지 1호기는 2026년, 천지 2호기는 2027년 상업운전을 시작할 예정이었다.

역사[편집]

  • 2012년 9월 14일 : 전원개발사업<천지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 지정 고시[1]
  • 2013년 2월 22일 :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공고[2]
  • 2015년 7월 22일 :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공고[3]
  • 2015년 11월 18일 : 천지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 보상계획 열람·공고[4]
  • 2017년 10월 24일 : 정부는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방침과 계획된 신규원전 건설계획은 백지화하기 국무회의에서 의결[5]
  • 2017년 12월 29일 :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공고[6]
  • 2018년 6월 15일 : 한국수력원자력 이사회에서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 조기폐쇄와 삼척 대진원자력발전소 2기와 함께 건설 백지화를 의결[7]
  • 2021년 3월 29일 : 산업통상자원부는 영덕 천지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 지정 철회를 의결[8]

발전설비 현황[편집]

발전방식 발전원 설비용량 상업운전 개시일 원자로형 소계 (MW)
원자력 원자력 1호기 1,400MW 착공 중지 가압경수로 (APR-1400) 2,800
2호기 1,400MW
설비용량 총계 2,800MW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지식경제부고시제2012-216호(전원개발사업<천지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 지정)”. 《대한민국 관보》. 2012년 9월 14일. 2024년 6월 2일에 확인함. 
  2.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3~2027)”.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3년 2월 22일. 2024년 6월 2일에 확인함. 
  3.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확정 공고”.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5년 7월 22일. 2024년 6월 2일에 확인함. 
  4. “천지원자력발전소 건설사업 보상계획 열람·공고”. 《경상북도개발공사》. 2015년 11월 18일. 2024년 6월 2일에 확인함. 
  5. 김형석; 이정주 (2017년 10월 25일). “정부, 신고리 5·6호기 건설재개 방침과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 확정”.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4년 6월 2일에 확인함. 
  6.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 확정 공고”.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17년 12월 29일. 2024년 6월 2일에 확인함. 
  7. 김동현 (2018년 6월 15일). “한수원, 월성 1호기 조기폐쇄·신규원전 4기 백지화 의결(종합)”. 《연합뉴스》.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 
  8. 정민규 (2021년 3월 29일). “영덕 천지원자력발전소 예정구역 지정 철회”.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2024년 6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