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부 전자문서지갑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부 전자문서지갑(政府 電子文書紙匣)은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전자증명서를 발급받거나 공공 마이데이터를 내려받아 보관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다른 곳으로 전송하기 위한 수단이다. 현재 행정안전부가 운영하고 있다.

보관할 수 있는 행정정보[편집]

전자증명서[편집]

이용자는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으로부터 발급받은 전자증명서를 정부 전자문서지갑에 보관할 수 있다.

  • 2019년 12월 18일, 정부 전자문서지갑에 주민등록표등·초본을 전자증명서로 발급하기 시작했다.[1]
  • 2020년 2월 14일에는 발급 가능한 전자증명서에 건축물대장 등 12종이 추가되었다.[1]
  • 2022년 7월 기준으로, 발급 가능한 전자증명서의 수는 318종이다.

공공 마이데이터[편집]

이용자는 행정기관이나 공공기관으로부터 내려받은 공공 마이데이터를 정부 전자문서지갑에 보관할 수 있다.

연계된 앱[편집]

구분 앱 이름 운영기관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공공앱 정부24 행정안전부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공공앱 모바일 공무원증 행정안전부 열람, 조회 -
공공앱 영사민원24 외교부 열람, 조회 -
공공앱 손택스 국세청 열람, 조회 -
공공앱 경찰민원모바일 경찰청 열람, 조회 -
공공앱 스마트뱅킹 우정사업본부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공공앱 서울지갑 서울특별시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공공앱 B PASS 부산광역시 열람, 조회 -
공공앱 대구아이디 대구광역시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공공앱 경남전자지갑 경상남도 열람, 조회 -
공공앱 내곁에국민연금 국민연금공단 열람, 조회 -
공공앱 경기똑D 경기도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공공앱 한국장학재단 한국장학재단 열람, 조회 -
민간앱 SOL 신한은행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NH스마트뱅킹 NH농협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우리WON뱅킹 우리은행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IM뱅크 대구은행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SB톡톡 저축은행중앙회 열람, 조회 -
민간앱 사이버창구 미래에셋생명보험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스마트모바일창구 교보생명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페이판My월렛 신한카드 열람, 조회 -
민간앱 Initial[2] 에스케이텔레콤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PASS by KT 케이티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페이코(PAYCO) NHN페이코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Toss[3] 비바 리퍼블리카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NAVER[4] 네이버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카카오톡[5] 카카오 열람, 조회 신청, 발급
민간앱 CheckPay 쿠콘 열람, 조회 신청, 발급

각주[편집]

  1. Q. 전자증명서, 언제부터 사용할 수 있나요?, 정부 전자문서지갑 웹사이트 내 FAQ, 2022년 7월 26일 확인.
  2. 2020년 10월 21일, SK텔레콤의 이니셜(initial) 앱에서 정부 전자문서지갑 연계 서비스를 개시했다. (관련기사: "SKT, 정부24에서 전자증명서 발급받는 '이니셜' 서비스 출시", 뉴스1, 2020년 10월 21일 작성, 2022년 7월 26일 확인.)
  3. 2021년 8월 17일, 토스 앱에서 정부 전자문서지갑 연계 서비스를 개시했다. (관련기사: "토스, 주민등록등본까지 발급한다…전자문서지갑 서비스 시작", 한국경제, 2021년 8월 17일 작성, 2022년 7월 26일 확인.)
  4. 2022년 4월 7일, 네이버 앱에서 정부 전자문서지갑 연계 서비스를 개시했다. (관련기사: "네이버, 앱에서 주민등록등본 등 17종 증명서 발급", 전자신문, 2022년 4월 7일 작성, 2022년 7월 26일 확인.)
  5. 2022년 4월 15일, 카카오톡에서 정부 전자문서지갑 연계 서비스를 개시했다. (관련기사: "카톡 지갑 전자증명서 서비스 개시…공공문서 발급·제출 가능", 연합뉴스, 2022년 4월 15일 작성, 2022년 7월 26일 확인.)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