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학
입학(入學)은 학생이 교육을 받기 위해 학교에 들어가는 것, 또는 반대로 학교가 새로운 학생을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입학을 기념하는 행사를 입학식이라고도 한다.
목차
세계의 입학 제도[편집]
대한민국의 입학 제도[편집]
대한민국의 공교육제도에서는 6·3·3·4 학제를 채택하였으며(유치원은 제외), 학생은 초등학교 입학 6년 뒤에 중학교, 그 3년 뒤에 고등학교 입학을 하게 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나이는 2010년 현행법 기준으로 만 6세이며, 보호자의 뜻에 따라 그 시기를 1년 앞당기거나 뒤로 미룰 수 있다.[1] 만 6세라는 기준 나이를 1년 줄여서 만 5세로 하는 방안이 2009년부터 대통령직속 미래기획위원회에 의해 추진되고 있는데,[2] 이에 대해서 찬반의 논란이 있다.[3] 입학 시기는 일반적으로 3월 2일 ~ 3월 4일이다.[1]
세계의 입학 제도[편집]
여러 나라는 각자의 실정에 따라 다양한 입학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OECD 가입국 중 20개 나라의 초등 교육 기관 입학 나이는 2005년 기준으로 영국에서 만 5세, 한국 등 16개 나라에서 만 6세, 덴마크 등 세 나라에서 만 7세이다.
학년은 일반적으로 북반구에서는 8~9월에, 남반구에서는 1~2월에 시작한다. 남반구에 위치한 호주는 2월에, 북반구의 대만·독일·미국 등은 8월에 입학을 실시하며 중국, 영국에서는 9월에 학년을 시작한다. 예외적으로 한국은 3월에, 북한과 일본은 4월에 시작한다.[4][5][6]
세계의 입학 시기[편집]
입학 연령[편집]
|
입학 시기[편집]
|
세계의 입학식[편집]
대한민국의 입학식[편집]
대한민국에서는 학년이 시작되는 3월에 맞추어 입학식을 한다. 이 시기에 대한민국의 계절은 봄으로, 입학식 때의 학생 복장은 학교에 따라 교복을 착용하거나, 따로 정하지 않은 평상복을 착용한다.
세계의 입학식[편집]
입학식은 학년이 시작되는 시기에 실시하게 된다. 따라서 9월에 입학식을 하는 북반구와 2~3월에 학년이 시작되는 남반구에서 공히 각국의 가을에 입학을 하게된다. 예외가 한국과 일본이다.
참고 문헌[편집]
- ↑ 가 나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시행 2010. 6.29.][대통령령 제22234호, 2010. 6.29. 일부개정]”. 법제처. 2010년 6월 29일. 2010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보도자료)미래기획위원회, 이명박 정부의 저출산 대응전략 제시” (HWP). 미래기획위원회. 2009년 11월 25일. 2010년 11월 21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해당 게시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참조.
- ↑ 홍지영 (취재), 주용진(영상 취재), 위원양(영상 편집) (2009년 11월 25일). “만5세 조기취학 '찬반논란'…넘어야 할 산 많다”. SBS. 2010년 11월 21일에 확인함.
- ↑ 가 나 https://en.wikipedia.org/wiki/Academic_term
- ↑ 한국도 일제시대에는 일본처럼 4월이었으며 해방후 이승만 정권기까지 4월 입학을 실시했으나 1962년부터 3월로 한달 앞당겨졌다.
- ↑ 일본에서 4월에 학년이 시작되는 이유는 일본의 정부회계년도 기준일이 4월 1일이기 때문이다.
- ↑ 하지만 대한민국은 세는나이 관습에따라 여러 사회적 갈등이 있었고 2009년 이후로는 만 6세가 되더라도 1~2월생들은 1년 입학을 유예하도록 권고하는 제도가 생겼다. 1,2월생들은 만7세가 되면 입학한다.
- ↑ 김기동 (2009년 12월 6일). “주요국 취학연령… 英만 5세, 대부분 국가는 6세”. 세계일보. 2010년 11월 21일에 확인함. 일부분참조.
같이 보기[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