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펌프 억제제
양성자펌프 억제제 | |
---|---|
약물 클래스 | |
![]() 양성자펌프 억제제의 일반적인 화학적 구조 | |
클래스 식별자 | |
이용 | 위산 분비 억제 |
ATC 코드 | A02BC |
작용 기전 | 효소 억제제 |
생물학적 대상 | H+/K+ ATPase |
임상 데이터 | |
Drugs.com | Drug Classes |
WebMD | MedicineNet |
외부 링크 | |
MeSH | D054328 |
위키데이터 |
양성자펌프 억제제(영어: proton-pump inhibitors, PPI)는 위산 분비를 현저하고 지속적이게 억제하는 약물의 일종으로, 부작용이 상대적으로 적어 흔히 처방되는 약물이다.[1] PPI는 위 기능을 보호하는데 H2 차단제와 함께 공격인자를 억제하는 약제로 분류된다.[2][3] PPI는 가장 강력한 위산 분비 억제제로 꼽히며[4] 기능적으로는 유사하지만 작용 기전이 다른 H2 차단제를 상당부분 대체하였다.
PPI는 세계에서 가장 널리 판매되는 약물 중 하나이며, 처음으로 개발된 PPI인 오메프라졸은 세계보건기구의 필수 의약품 목록에 있으며,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으로서 의료체계에 반드시 필요한 약물이다.[5] PPI로 분류되는 약제마다 비용의 차이가 있으며,[6] 약물 종류에 따라 한 약제가 다른 약제보다 효과가 있다는 확실한 증거는 없다.[6][7]
약제별 효과 비교[편집]
FDA의 PPI 약제별 승인사항은 다음과 같다.
Indication | 오메프라졸 | 에소메프라졸 | 란소프라졸 | 덱스란소프라졸 | 판토프라졸 | 라베프라졸 |
---|---|---|---|---|---|---|
위식도역류질환 | ||||||
미란성 식도염 - 초치료 | 예 | 예 | 예 | 예 | 예 | 예 |
미란성 식도염 - 유지치료 | 예 | 예 | 예 | 예 | 예 | 예 |
비미란성 식도염(NERD) | 예 | 예 | 예 | 예 | 아니오 | 예 |
소화성궤양 | ||||||
십이지장궤양 - 초치료 | 예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예 |
십이지장궤양 - 유지치료 | 아니오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위궤양 - 초치료 | 예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NSAID 관련 궤양 - 초치료 | 아니오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NSAID 관련 궤양 - 예방 | 아니오 | 예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졸링거-엘리슨 증후군 | 예 | 예 | 예 | 아니오 | 예 | 예 |
H. pylori의 치료 | ||||||
2제 요법 | 예 | 아니오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아니오 |
3제 요법 | 예 | 예 | 예 | 아니오 | 아니오 | 예 |
각주[편집]
- ↑ 유종선 (2006). “소화기질환에서 양성자펌프 차단제의 이용”. 《대한소화기학회지》 (대한소화기학회) 47: 181–190. 2020년 2월 5일에 확인함.
- ↑ Azizollahi, Hamid Reza; Rafeey, Mandana (2016). “Efficacy of proton pump inhibitors and H2 blocker in the treatment of symptomatic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in infants”. 《Korean Journal of Pediatrics》 (대한소아과학회) 59 (5): 226–230. doi:10.3345/kjp.2016.59.5.226. PMC 4897158. PMID 27279887. 2020년 2월 5일에 확인함.
- ↑ 이보람 (2013). “우리나라의 프로톤 펌프 억제제 사용 현황”. 《HIRA 정책동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7 (2): 55–62.
- ↑ Sachs, G.; Shin, J. M.; Howden, C. W. (2006). “Review article: The clinical pharmacology of proton pump inhibitors”. 《Alimentary Pharmacology and Therapeutics》 23: 2–8. doi:10.1111/j.1365-2036.2006.02943.x. PMID 16700898.
- ↑ [[World Health Organization|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밴쿠버 양식 오류 (도움말)
- ↑ 가 나 “[99]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proton pump inhibitors”. 《Therapeutics Letter》. 2016년 6월 28일. ISSN 2369-8691. 2016년 7월 14일에 확인함.
- ↑ Dean, Laura (2010년 10월 1일). 《Comparing Proton Pump Inhibitors》. 《PubMed Health》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US)). 2016년 7월 16일에 확인함.
- ↑ Strand, Daniel S.; Kim, Daejin; Peura, David A. (2017년 1월 15일). “25 Years of Proton Pump Inhibitors: A Comprehensive Review”. 《Gut and Liver》 11 (1): 27–37. doi:10.5009/gnl15502. PMC 5221858. PMID 27840364.
외부 링크[편집]
- “Proton pump inhibitors”. 《MedlinePlus Medical Encyclopedia》.
- 유종선 (2006). “소화기질환에서 양성자펌프 차단제의 이용”. 《대한소화기학회지》 (대한소화기학회) 47: 181–190.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분류 |
---|
![]() |
이 글은 의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