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긴꼬리나무타기쥐
![]() | |
---|---|
![]() 아시아긴꼬리나무타기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시궁쥐족 |
속: | 긴꼬리나무타기쥐속 |
종: | 아시아긴꼬리나무타기쥐 (V. oleracea) |
학명 | |
'Vandeleuria oleracea' | |
(Bennett, 1832) | |
학명이명 | |
Vandeleuria badius (Blyth, 1859) | |
보전상태 | |
아시아긴꼬리나무타기쥐(Vandeleuria oleracea)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된다.[2]
특징[편집]
머리부터 몸까지 길이는 7~9cm이고, 꼬리 길이는 10~12cm이다. 불그스레한 갈색의 상체는 옆구리 쪽으로 갈수록 연한 누르스름한 갈색을 띤다. 하체는 연한 갈색의 흰색이다. 꼬리는 기늘고 길며 진한 색을 띠고, 꼬리 끝은 붓꼬리 모양의 털이 없다.[3][4][5][6]
각주[편집]
- ↑ Vandeleuria oleracea. Mammal Species of the World. Bucknell.edu. Retrieved on 2012-12-28.
- ↑ 가 나 Molur, S., Nameer, P.O., Lunde, D. & Aplin, K. (2008). Vandeleuria oleracea. In: IUCN 2012.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2.2.
- ↑ Prakash, K. L.; Aswathanarayana, N. V. (1976). “Chromosome complexity in the Indian long-tailed tree mouse”. 《The Journal of heredity》 67 (4): 249–250. PMID 972253.
- ↑ Raman, R.; Sharma, T. (1976). “Unique multiple sex chromosomes of the tree mouse Vandeleuria o. Oleracea: Identification of X1 and X2”. 《Heredity》 37 (3): 435–439. doi:10.1038/hdy.1976.109. PMID 1070486.
- ↑ Callahan, R.; Meade, C.; Todaro, G. J. (1979). “Isolation of an endogenous type C virus related to the infectious primate type C viruses from the Asian rodent Vandeleuria oleracea”. 《Journal of Virology》 30 (1): 124–131. PMC 353306. PMID 90155.
- ↑ Gropp, A.; Markwong, A.; Marshall, J.; Kim, Y. J. (1972). “Robertsonian Chromosomal Variation in the Longtailed Tree Mouse (Vandeleuria)”. 《Journal of Zoological Systematics and Evolutionary Research》 10: 210–214. doi:10.1111/j.1439-0469.1972.tb00798.x.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아시아긴꼬리나무타기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