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동부산투루스쥐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속: | 시궁쥐속 |
종: | 남동부산투루스쥐 (R. salocco) |
학명 | |
Rattus salocco | |
Tate & Archbold, 1935 | |
보전상태 | |
|
남동부산투루스쥐 또는 살로코쥐(Rattus salocco)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 포유류이다.[2] 남동부노랑꼬리쥐로도 불린다. 인도네시아 술라웨시섬의 토착종이다.[1][3]
분류학[편집]
노랑꼬리쥐(Rattus xanthurus)의 아종 또는 이명으로 간주되기도 하지만, 2005년 세계의 포유류 종(Mammal Species of the World) 제3판에서 오퍼섬쥐의 근연종이며 별도의 종으로 동정되었다.
특징[편집]
중간 크기의 설치류로 몸길이는 209~211mm이고, 꼬리 길이는 258~265mm이다. 발 길이는 38~41mm, 귀 길이는 23~25mm이다.[3] 등 쪽 털은 갈색빛 회색이고 털 끝이 갈색인 반면에 배 쪽은 흰색과 누르스름한 색이며, 목 부위는 누르스름한 색조를 띤다. 귀는 비교적 작다. 다리는 작은 흰색 털로 덮여 있다.[3] 중족골에 짙은 줄무늬가 있다. 꼬리 길이가 몸길이보다 길고 꼬리 끝이 희다. 암컷은 가슴에 두 쌍, 서혜부에 두 쌍의 젖꼭지를 갖고 있다.
생태[편집]
육상성 동물이다.[3]
분포 및 서식지[편집]
술라웨시섬 남동부 반도의 두 곳에서만 알려져 있다. 해발 300~1,500m의 산악 숲에서 서식한다.[3]
보전 상태[편집]
분포 지역 크기와 개체수 상태에 대하여 최근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 "정보부족종"으로 분류하고 있다.[3]
각주[편집]
- ↑ 가 나 Gerrie, R. & Kennerley, R. 2017. Rattus salocco.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7: e.T136700A22446430. http://dx.doi.org/10.2305/IUCN.UK.2017-2.RLTS.T136700A22446430.en. Downloaded on 09 August 2018.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다 라 마 바 G.H.H.Tate & R.Archbold, Results of the Archbold Expeditions No.2. Twelve apparently new forms of Rattus from the Indo-Australian Region, in American Museum Novitates, nº 802, 19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