닐기리긴꼬리나무쥐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시궁쥐족 |
속: | 긴꼬리나무타기쥐속 |
종: | 닐기리긴꼬리나무쥐 (V. nilagirica) |
학명 | |
Vandeleuria nilagirica | |
Jerdon, 1867[1] | |
닐기리긴꼬리나무쥐의 분포 | |
![]() 닐기리긴꼬리나무쥐의 분포 지역 | |
보전상태 | |
|
닐기리긴꼬리나무쥐[2][3] 또는 인도긴꼬리나무쥐[4](Vandeleuria nilagirica)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5] 인도에서 발견된다.[1][3][6][7][8] 실제로 아시아긴꼬리나무타기쥐의 아종이 아닌지 논란이 있었지만, 현재는 별도의 종으로 간주되는 추세이다.[5]
각주
[편집]- ↑ 가 나 다 “Vandeleuria nilagirica”.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1.1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1년 6월 27일에 확인함.
- ↑ Animals and Plants Unique to India. Lntreasures.com. Retrieved on 2012-12-28.
- ↑ 가 나 Sanjay Molur & Mewa Singh (2009). “Non-volant small mammals of the Western Ghats of Coorg District, southern India”. 《Journal of Threatened Taxa》 1 (12): 589–608. doi:10.11609/jott.o2330.589-608.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7월 16일에 확인함. PDF 보관됨 2012-11-01 - 웨이백 머신
- ↑ Mammals of India – OSAI Environmental Organisation, Tamil Nadu, India 보관됨 2011-07-26 - 웨이백 머신. Greenosai.org. Retrieved on 2012-12-28.
- ↑ 가 나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https://web.archive.org/web/20100911034218/http://www.zoosprint.org/ZoosPrintNewsLetter/Small_mammal_mail_1%282%29Aug-Dec09.pdf Small Mammal Mail]. Volume 1 Number 2 (Aug–Dec 2009) zoosprint.org
- ↑ WWF ecoregion. “South Western Ghats montane rain forests”.
- ↑ Don E. Wilson; DeeAnn M. Reeder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HU Press. 1517–쪽. ISBN 978-0-8018-8221-0.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닐기리긴꼬리나무쥐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닐기리긴꼬리나무쥐의 사진
- 닐기리긴꼬리나무쥐[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