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린석회암쥐
![]() | |
---|---|
![]() 폴린석회암쥐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시궁쥐족 |
속: | 폴린석회암쥐속 (Saxatilomys) Musser, 2005 |
종: | 폴린석회암쥐 (S. paulinae) |
학명 | |
'Saxatilomys paulinae' | |
Musser et al., 2005 | |
보전상태 | |
폴린석회암쥐(Saxatilomys paulinae)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폴린석회암쥐속(Saxatilomys)의 유일종이다. 라오스 중부와 베트남에서 발견된다. 라오스의 캄무안 주 캄무안 석회암 자연 생물다양성 보전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으며, 베트남 꽝빈 성에서도 발견되었다.[3] 속명 Saxatilomys은 "바위 속(among the rocks)"을 의미하는 라틴어 "saxatilis"와 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mys"의 합성어에서 유래했다.[4]
특징[편집]
폴린석회암쥐는 근연속으로 추정되는 흰배쥐속(Niviventer)와 페아나무쥐속(Chiromyscus)과 겉모습이 닮았다. 폴린석회암쥐는 "반가시 털의 진한 회색을 띠는 상체, 부분 탈색이 된 진한 회색의 하체, 아주 볼록한 형태의 발바닥, 원시적인 형태의 두개골과 치아 특징의 조합" 등이 다른 동양구(인도말라얀) 속의 종들과 구별되는 특징이다.[4]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5]과 2016년 로우 등(Rowe et al.)[6]의 연구에 기초한 계통 분류이다.
쥐아과 |
| ||||||||||||||||||||||||||||||||||||||||||||||||||||||||||||||||||||||||||||||||||||
각주[편집]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Kennerley, R. & Laginha Pinto Correia, D. Saxatilomys paulinae. 2016-02-04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Nguyen, Nghia; Nguyen, Dang; Ngo, Tuong; Nguyen, Duy (2015). “New data on recently described rodent species Paulina's Limestone Rat Saxatilomys paulinae Musser, Smith, Robinson & Lunde, 2005 (Mammalia: Rodentia)”. 《Biodiversity Data Journal》 3: e4961. doi:10.3897/BDJ.3.e4961.
- ↑ 가 나 Musser, G.G., Smith, A.L., Robinson, M.F. & Lunde, D.P. (November 2005). “Description of a New Genus and Species of Rodent (Murinae, Muridae, Rodentia) from the Khammouan Limestone National Biodiversity Conservation Area in Lao PDR”. 《American Museum Novitates》 3497: 1–31. doi:10.1206/0003-0082(2005)497[0001:DOANGA]2.0.CO;2. ISSN 0003-0082.
- ↑ Emilie Lecompte, Ken Aplin, Christiane Denys, François Catzeflis, Marion Chades, Pascale Chevret: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In: BMC Evolutionary Biology. Bd. 8, 199, 2008, S. 1–21, doi 10.1186/1471-2148-8-199.
- ↑ 가 나 Kevin C. Rowe, Anang S. Achmadi and Jacob A. Esselstyn. 2016.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Journal of Mammalogy. DOI: 10.1093/JMammal/gyw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