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에스페란토 대회
![]() |
언어 |
---|
역사 |
주요 문서 |
문화 |
조직 |
교육 |
에스페란티도 및 개선안 |
세계 에스페란토 대회(에스페란토: Universala Kongreso de Esperanto, 약자 UK)는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가 주관하는, 매년 열리는 세계 대회다. 1905년부터 개최되었으며,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14년, 1916~1919년, 1940~1946년에는 열리지 않았지만, 그 외 다른 해에는 현재까지 꾸준히 열리고 있다. 세계 대회의 위치는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 위원회(UEA Estraro)에서 정하고, 매년 다른 도시에서 열린다.
세계 대회 목록[편집]


회 연도 개최지 개최국 참가 인원 103 2018 리스본 포르투갈
102 2017 서울 대한민국
1168 101 2016 니트라 슬로바키아
1252 100 2015 릴 프랑스
2698 99 2014 부에노스 아이레스 아르헨티나
706 98 2013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1034 97 2012 하노이 베트남
848 96 2011 코펜하겐 덴마크
1458[1] 95 2010 하바나 쿠바
1002[2] 94 2009 비아위스토크 폴란드
1860 93 2008 로테르담 네덜란드
1845 92 2007 요코하마 일본
1901 91 2006 피렌체 이탈리아
2209 90 2005 빌뉴스 리투아니아
2235 89 2004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2031 88 2003 예테보리 스웨덴
1791 87 2002 포르탈레자 브라질
1484 86 2001 자그레브 크로아티아
1691 85 2000 텔아비브 이스라엘
1212 84 1999 베를린 독일
2712 83 1998 몽펠리에 프랑스
3133 82 1997 애들레이드 오스트레일리아
1224 81 1996 프라하 체코
2972 80 1995 탐페레 핀란드
2443 79 1994 서울 대한민국
1776 78 1993 발렌시아 스페인
1863 77 1992 빈 오스트리아
3033 76 1991 베르겐 노르웨이
2400 75 1990 하바나 쿠바
1617 74 1989 브라이턴 영국
2280 73 1988 로테르담 네덜란드
2321 72 1987 바르샤바 폴란드
5946 71 1986 베이징 중화인민공화국
2482 70 1985 아우크스부르크 서독
2311 69 1984 밴쿠버 캐나다
802 68 1983 부다페스트 헝가리
4834 67 1982 안트베르펜 벨기에
1899 66 1981 브라질리아 브라질
1749 65 1980 스톡홀름 스웨덴
1807 64 1979 루체른 스위스
1630 63 1978 바르나 불가리아
4414 62 1977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1199 61 1976 아테네 그리스
1266 60 1975 코펜하겐 덴마크
1227 59 1974 함부르크 서독
1651 58 1973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오늘날
세르비아)
1638 57 1972 포틀랜드 미국
923 56 1971 런던 영국
2071 55 1970 빈 오스트리아
1987 54 1969 헬싱키 핀란드
1857 53 1968 마드리드 스페인
1769 52 1967 로테르담 네덜란드
1265 51 1966 부다페스트 헝가리
3975 50 1965 도쿄 일본
1710 49 1964 헤이그 네덜란드
2512 48 1963 소피아 불가리아
3472 47 1962 코펜하겐 덴마크
1550 46 1961 해러게이트(Harrogate) 영국
1646 45 1960 브뤼셀 벨기에
1930 44 1959 바르샤바 폴란드
3256 43 1958 마인츠 서독
2021 42 1957 마르세유 프랑스
1468 41 1956 코펜하겐 덴마크
2200 40 1955 볼로냐 이탈리아
1687 39 1954 하를럼 네덜란드
2353 38 1953 자그레브 유고슬라비아 (오늘날
크로아티아)
1760 37 1952 오슬로 노르웨이
1614 36 1951 뮌헨 서독
2040 35 1950 파리 프랑스
2325 34 1949 본머스 영국
1534 33 1948 말뫼 스웨덴
1761 32 1947 베른 스위스
1370 제2차 세계 대전 31 1939 베른 스위스
765 30 1938 런던 영국
1602 29 1937 바르샤바 폴란드
1120 28 1936 빈 오스트리아
854 27 1935 로마 이탈리아 왕국
1442 26 1934 스톡홀름 스웨덴
2042 25 1933 쾰른 독일
950 24 1932 파리 프랑스
1650 23 1931 크라쿠프 폴란드
900 22 1930 옥스퍼드 영국
1211 21 1929 부다페스트 헝가리
1200 20 1928 안트베르펜 벨기에
1494 19 1927 그단스크 단치히 자유시 (오늘날 폴란드)
905 18 1926 에든버러 영국
960 17 1925 제네바 스위스
953 16 1924 빈 오스트리아
3400 15 1923 뉘른베르크 바이마르 공화국
4963 14 1922 헬싱키 핀란드
850 13 1921 프라하 체코슬로바키아 (오늘날
체코)
2561 12 1920 헤이그 네덜란드
408 제1차 세계 대전 11 1915 샌프란시스코 미국
163 10 1914 파리 프랑스
(전쟁 때문에 취소) 9 1913 베른 스위스
1203 8 1912 크라쿠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늘날
폴란드)
1000 7 1911 안트베르펜 벨기에
1800 6 1910 워싱턴 D.C. 미국
357 5 1909 바르셀로나 스페인
1500 4 1908 드레스덴 독일 제국
1500 3 1907 케임브리지 영국
1317 2 1906 제네바 스위스
1200 1 1905 불로뉴쉬르메르 프랑스
688
사진[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1905년 제1회 세계 대회에 참석한 사람들. 가운데는 라자로 자멘호프다.
-
1913년 세계 대회 포스터
-
세계 대회의 폐막식에서는 이전 대회 조직 위원회에서 다음 대회 조직위원회에 에스페란토기를 증정하는 것이 관례다. 사진은 2003년 대회에서 스웨덴 조직위가 중국 조직위에 깃발을 넘기는 모습.
-
세계 대회에서는 서로 다른 나라의 대표들이 서로 인사(Landaj Salutoj)하는 것이 관례다. 사진은 2008년 세계 대회의 인사.
-
2008년 세계 대회에서 클레이 마갈량이스(Clay Magalhães)가 연설하는 모습.
각주[편집]
- ↑ “Vikinga Voĉo, n-ro 6 (La kongresa Kuriero de la 96-a Universala Kongreso de Esperanto” (PDF). 2011년 8월 2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29일에 확인함.
- ↑ Gazetaraj Komunikoj de UEA: N-ro 391 (2010-07-28)
외부 링크[편집]
각 대회 별 사이트:
참고 문헌[편집]
- van Dijk, Ziko (2005). 《Sed homoj kun homoj. Universalaj Kongresoj de Esperanto 1905-2005》. 로테르담: [[세계 에스페란토 협회|Universala Esperanto-Asocio]]. 19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