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부껑충쥐
보이기
북부껑충쥐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물쥐족 |
속: | 노토미스속 |
종: | 북부껑충쥐 (N. aquilo) |
학명 | |
Notomys aquilo | |
Thomas, 1921 | |
보전상태 | |
|
북부껑충쥐(Notomys aquilo)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아른험랜드부터 코버그 반도 사이의 오스트레일리아 북부 해안에서만 발견된다. 몸무게는 25~30g 정도이고, 상체는 갈색 하체는 흰색을 띤다. 꼬리 길이가 몸길이의 150%가 될 정도로 길고, 뒷발도 최대 4cm로 길다.[3] 히스황야와 초원의 모래흙 지역에서 서식한다. 야행성 동물이다. 먹이는 씨앗이고, 식물이나 무척추동물을 먹기도 한다. 두 발로 도약을 하며 움직인다.[4] 일부는 굴 속에서 모여 산다.[3][4] 북부껑충쥐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소는 화재 양상과 가축의 영향과 같은 서식지 변경이다. 야생 고양이가 밤에 굴을 지켜보다가 여러 마리를 잡아먹을 수도 있다.[4][5][6]
각주
[편집]- ↑ Baillie, J. 1996. Notomys aquilo. 2011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Downloaded on 23 September 2011.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가 나 Notomys aquilo. Archived 2011년 3월 28일 - 웨이백 머신 Northern Territory Government Department of Natural Resources, Environment, and the Arts.
- ↑ 가 나 다 Notomys aquilo. Archived 2011년 8월 16일 - 웨이백 머신 Queensland Government Environment and Resource Management.
- ↑ Jones, Ann (2015년 3월 14일). “The engineering mouse builds its dream house”. 《Off Track》. ABC Radio National.
- ↑ “Notomys aquilo”. 《NCBI Taxonomy Browser》. 4425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