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부밤색쥐
보이기
![]() | |
---|---|
생물 분류ℹ️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쥐목 |
과: | 쥐과 |
아과: | 쥐아과 |
족: | 물쥐족 |
속: | 오스트레일리아쥐속 |
종: | 서부밤색쥐 (P. nanus) |
학명 | |
Pseudomys nanus | |
(Gould, 1858) | |
보전상태 | |
|
서부밤색쥐(Pseudomys nanus)는 쥐과에 속하는 설치류의 일종이다.[2] 오스트레일리아 북부와 인근 여러 섬의 토착종으로 주로 퀸즐랜드주와 노던준주에서 널리 발견된다.[1][3]
생태
[편집]서부밤색쥐는 초원과 모래흙 위의 유칼립투스 숲에서 서식한다.[1] 야행성 동물로 낮 동안에 주로 풀로 된 둥지에서 시간을 보낸다. 먹이는 주로 토착 풀과 씨앗으로 이루어져 있다. 번식은 대개 우기철 동안에 이루어지지만 좋아하는 조건에 따라 연중 번식을 하기도 한다.[4] 암컷은 임신 기간 22~24일 이후에 3~5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완전히 성장하면 몸무게가 약 70g이 되고 평균 몸길이는 10cm 정도이다.[5]
1999년 연구에 의하면, 서부밤색쥐는 먹지 않고도 운동 이후에 글리코겐을 회복하는 데 뛰어난 능력을 갖고 있다.[6]
각주
[편집]- ↑ 가 나 다 “Pseudomys nanu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15.2판》 (영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2008. 2015년 9월 8일에 확인함.
- ↑ Musser, G.G.; Carleton, M.D. (2005). “Superfamily Muroidea” [쥐상과]. Wilson, D.E.; Reeder, D.M.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94–1531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Western Chestnut Mouse occurrence map”.
- ↑ “A guide to the mammals of Barrow Island” (PDF). 2017년 1월 1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25일에 확인함.
- ↑ "Pseudomys nanus" - 생명의 백과사전
- ↑ Bräu, L.; Nikolovski, S.; Palmer, T. N.; Fournier, P. A. (1999). “Glycogen repletion following burst activity: A carbohydrate‐sparing mechanism in animals adapted to arid environments?”. 《Journal of Experimental Zoology》 284 (3): 271–275. doi:10.1002/(sici)1097-010x(19990801)284:3<271::aid-jez4>3.0.co;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