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과나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무화과나무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미분류): 속씨식물군
(미분류): 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장미군
목: 장미목
과: 뽕나무과
속: 무화과나무속
종: 무화과나무
학명
Ficus carica
L. 1753
보전상태


최소관심(LC): 절멸위협 조건 만족하지 않음
평가기관: IUCN 적색 목록 3.1[출처 필요]

무화과열매

무화과나무(無花果-)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나무이다. 아라비아 서부 및 지중해 연안 원산의 낙엽이 지는 활엽관목으로서, 뽕나무과 낙엽활엽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남부에서 재배한다. 높이는 3m가량이다. 열매는 무화과이다.

외관[편집]

잎은 크고 보통 손가락 모양으로 갈라져 있다. 봄에서 여름에 걸친 시기에 엷은 홍색의 꽃이 핀다. 무화과나무의 열매인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는 과실이라고 해서 무화과라고 하나 실제로 꽃은 과실 내에서 피며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열매는 씨방이 큰 꽃받침 속에 형성되고 살이 많은 은화과이며 가을에 검은 자색으로 익는다.

효능[편집]

Fig, raw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310 kJ (74 kcal)
19.2 g
당분16.3 g
식이 섬유3 g
0.3 g
0.8 g
비타민함량 %DV
비타민 A (동등)
1%
7 μg
티아민 (B1)
5%
0.06 mg
리보플라빈 (B2)
4%
0.05 mg
나이아신 (B3)
3%
0.4 mg
판토테산 (B5)
6%
0.3 mg
비타민 B6
8%
0.1 mg
엽산 (B9)
2%
6 μg
비타민 C
2%
2 mg
비타민 E
1%
0.11 mg
비타민 K
4%
4.7 μg
무기질함량 %DV
칼슘
4%
35 mg
철분
3%
0.4 mg
마그네슘
5%
17 mg
망간
6%
0.13 mg
2%
14 mg
칼륨
5%
232 mg
나트륨
0%
1 mg
아연
2%
0.15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79 g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Fig, dried, uncooked
100 g (3.5 oz)당 영양가
에너지1,041 kJ (249 kcal)
63.9 g
당분47.9 g
식이 섬유9.8 g
0.93 g
3.3 g
비타민함량 %DV
비타민 A (동등)
0%
0 μg
티아민 (B1)
7%
0.085 mg
리보플라빈 (B2)
7%
0.082 mg
나이아신 (B3)
4%
0.62 mg
판토테산 (B5)
9%
0.43 mg
비타민 B6
8%
0.11 mg
엽산 (B9)
2%
9 μg
비타민 C
1%
1 mg
비타민 E
2%
0.35 mg
비타민 K
15%
15.6 μg
무기질함량 %DV
칼슘
16%
162 mg
철분
15%
2 mg
마그네슘
19%
68 mg
망간
24%
0.51 mg
10%
67 mg
칼륨
14%
680 mg
나트륨
1%
10 mg
아연
6%
0.55 mg
기타 성분함량
수분79 g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무화과는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작용을 촉진시켜 주며, 펙틴이 풍부해 변비에 효과가 있다.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를 함유하고 있는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과 변비는 물론 설사와 각혈, 신경통, 빈혈, 부인병, 피부질환 등을 치료하는 데 활용한다.[1]

서식지[편집]

무화과나무 생산량 – 2018
국가 (톤)
튀르키예의 기 튀르키예
306,499
이집트의 기 이집트
189,339
모로코의 기 모로코
128,380
알제리의 기 알제리
109,214
이란의 기 이란
59,339
스페인의 기 스페인
47,750
시리아의 기 시리아
35,300
미국의 기 미국
28,874
튀니지의 기 튀니지
25,696
알바니아의 기 알바니아
24,448
브라질의 기 브라질
23,674
전 세계
1,135,316
출처: 유엔 FAOSTAT[2]

아라비아 서부 및 지중해 연안이 원산지로, 한국에서는 중·남부와 제주도에 분포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건강정보] 무화과 효능... 소화촉진·변비 개선·강장·암 치료&빈혈·부인병 개선”. 《미래한국》. 2018년 9월 18일. 2018년 11월 10일에 확인함. 
  2. “Raw fig production in 2018; Crops/World Regions/Production Quantity from picklists”.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19. 2020년 6월 7일에 확인함.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