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아족사이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디아족사이드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7-Chloro-3-methyl-4H-1,2,4-benzothiadiazine 1,1-dioxide
식별 정보
CAS 등록번호 364-98-7
ATC 코드 C02DA01 V03AH01
PubChem 3019
드러그뱅크 DB01119
ChemSpider 2911
화학적 성질
화학식 C8H7ClN2O2S 
분자량 ?
SMILES eMolecules & PubChem
물리적 성질
녹는점 330–331 °C (626–628 °F)
약동학 정보
생체적합성 ?
단백질 결합 90%
동등생물의약품 ?
약물 대사 산화황산염 접합
생물학적 반감기 21~45시간
배출 콩팥
처방 주의사항
허가 정보

US Daily Med:바로가기

임부투여안전성 C(오스트레일리아)
법적 상태
투여 방법 경구 투여, 정맥 주사

디아족사이드(Diazoxide)는 프로글리셈(Proglycem) 등의 상품명으로 판매되는 약물로, 여러 가지 특이한 원인으로 발생한 저혈당의 치료에 이용된다.[2] 디아족사이드 치료의 적응증인 저혈당의 원인으로는 수술로 절제가 불가능한 췌장 신경내분비종양(섬세포종양), 또는 류신 감수성이 있다.[2] 또한 설폰요소제 독성 치료 시 난치성 사례인 경우에도 사용 가능하다.[3] 일반적으로 경구 투여한다.[2]

흔한 부작용으로는 고혈당, 체액 저류, 저혈소판증, 빈맥, 체모 성장 증가, 구역질이 있다.[2] 그 외의 보다 심각한 부작용에는 폐동맥고혈압, 심부전이 있다.[2] 티아지드 계열 이뇨제와 화학적으로 유사하다.[2]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키며 포도당 방출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작용한다.[2]

디아족사이드는 1973년 미국에서 의학적 사용을 승인받았다.[2] 현재 WHO 필수 의약품 목록에 수록되어 있다.[4][5] 복제약으로도 이용 가능하다.[6]

의학적 사용[편집]

디아족사이드는 급성 고혈압이나 악성 고혈압 치료를 위해 혈관확장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7]

또한 디아족사이드는 췌장 베타세포ATP 감수성 칼륨 통로를 열어 인슐린 분비를 억제한다. 따라서 인슐린종이나 선천성 고인슐린증과 같은 질병이 있는 환자에서 고인슐린혈증으로 인해 발생한 저혈당증을 치료할 목적으로도 쓰인다.[8]

한편 디아족사이드는 AMPA 수용체카이닌산 수용체의 양성 알로스테릭 조절제로도 작용하는데, 이 때문에 인지 강화제로 이용될 수 있다고 제안된 바 있다.[9]

작용 기전[편집]

디아족사이드는 칼륨 통로에 작용하여 인슐린 분비를 방해한다.[10] 상술하였듯, 디아족사이드의 작용 기전은 췌장에서 인슐린을 생산하는 베타세포의 ATP 감수성 칼륨 통로를 강력하게 개방하는 것이다. 칼륨 통로가 열리면 세포막과분극되면서 칼슘의 유입이 감소하며, 따라서 인슐린 분비가 차례로 감소한다.[3] 이러한 작용 기전은 설폰요소제와 정반대이다. 설폰요소제는 인슐린 분비량을 증가시키는 약물로, 주로 제2형 당뇨병의 치료에 이용되는 당뇨병약이다.

부작용[편집]

미국 식품의약국은 2015년 7월, 디아족사이드 치료를 받은 신생아와 영아에서 폐동맥고혈압 발생 위험이 있다고 강조하는 안전 경고를 발표했다.[11] 나트륨과 수분의 저류가 소아와 성인 모두에서 흔히 보고되는데, 이뇨제 병용 투여로 대개 치료 가능하다. 심장 예비력이 감소한 환자에서는 울혈성 심부전 발생을 촉진할 위험이 있다.[12]

당뇨병성 케톤산증이나 고삼투압성 고혈당 증후군이 드물지만 아주 빠르게 나타나기도 한다.[12]

참고 문헌[편집]

  1. “Product monograph brand safety updates”. 《Health Canada》. 2016년 7월 7일. 2024년 4월 3일에 확인함. 
  2. “Diazoxide Monograph for Professionals”. 《Drugs.com》 (영어). 2019년 10월 11일에 확인함. 
  3. Doyle ME, Egan JM (March 2003). “Pharmacological agents that directly modulate insulin secretion”. 《Pharmacological Reviews》 55 (1): 105–131. doi:10.1124/pr.55.1.7. PMID 12615955. S2CID 11121340. 
  4.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9).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1st list 2019》.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25771. WHO/MVP/EMP/IAU/2019.06. License: CC BY-NC-SA 3.0 IGO. 
  5.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1). 《World Health Organization model list of essential medicines: 22nd list (2021)》.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hdl:10665/345533. WHO/MHP/HPS/EML/2021.02. 
  6. 《British national formulary : BNF 76》 76판. Pharmaceutical Press. 2018. 708쪽. ISBN 9780857113382. 
  7. van Hamersvelt HW, Kloke HJ, de Jong DJ, Koene RA, Huysmans FT (August 1996). “Oedema formation with the vasodilators nifedipine and diazoxide: direct local effect or sodium retention?”. 《Journal of Hypertension》 14 (8): 1041–1045. doi:10.1097/00004872-199608000-00016. PMID 8884561. S2CID 3283469. 클로즈드 액세스
  8. Huang Q, Bu S, Yu Y, Guo Z, Ghatnekar G, Bu M, Yang L, Lu B, Feng Z, Liu S, Wang F (January 2007). “Diazoxide prevents diabetes through inhibiting pancreatic beta-cells from apoptosis via Bcl-2/Bax rate and p38-beta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Endocrinology》 148 (1): 81–91. doi:10.1210/en.2006-0738. PMID 17053028.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9. Randle JC, Biton C, Lepagnol JM (November 1993). “Allosteric potentiation by diazoxide of AMPA receptor currents and synaptic potentials”. 《European Journal of Pharmacology》 247 (3): 257–265. doi:10.1016/0922-4106(93)90193-D. PMID 8307099. 클로즈드 액세스
  10. Panten U, Burgfeld J, Goerke F, Rennicke M, Schwanstecher M, Wallasch A, Zünkler BJ, Lenzen S (April 1989). “Control of insulin secretion by sulfonylureas, meglitinide and diazoxide in relation to their binding to the sulfonylurea receptor in pancreatic islets”. 《Biochemical Pharmacology》 38 (8): 1217–1229. doi:10.1016/0006-2952(89)90327-4. PMID 2650685. 
  11. “FDA Drug Safety Communication: FDA warns about a serious lung condition in infants and newborns treated with Proglycem (diazoxide)” (보도 자료).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15년 7월 16일. 2015년 7월 19일에 확인함. 
  12. “약학정보원”. 2024년 4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