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
(동계에서 넘어옴)


기상학 관련 문서 | ||||||||||||
날씨 | ||||||||||||
---|---|---|---|---|---|---|---|---|---|---|---|---|
계절 | ||||||||||||
|
||||||||||||
폭풍 | ||||||||||||
강수 | ||||||||||||
기상학 | ||||||||||||
겨울은 온대 또는 냉대 지방의 네 계절 중 하나다. 한대 지방에서도 일부지역은 나타난다. 겨울철, 동계(冬季), 동절(冬節), 동기(冬期)라고도 한다. 냉대의 경우 온대보다 더 춥다.
정의[편집]
일반적인 구분[편집]
천문학에 따른 구분[편집]
천문학에서는 동지점(또는 동지, 12월 22일 경)에서 춘분점(또는 춘분, 3월 20일 경)까지를 말한다.[2][3]
절기에 따른 구분[편집]
절기로는 입동(11월 7일 경)에서 입춘(2월 4일 경)까지를 말한다.
기상학에 따른 구분[편집]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9일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미만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을 겨울의 시작일로 정의한다.[4][5][6][7][8] 이는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한다.[9]
- 초겨울, 늦겨울 : 일평균기온이 5°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0°C 이하
- 한겨울 : 일평균기온이 0°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5°C 이하
사진[편집]
-
눈이 쌓인 나무
-
-
-
각주[편집]
- ↑ 과거 음력을 썼을 때에는 음력 10월, 음력 11월, 음력 12월을 겨울로 보았다. 음력 10월은 맹동, 음력 11월은 중동, 음력 12월은 계동이었다.
- ↑ 계절#천문학적 계절 변화 참고
- ↑ 하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천문학에서는 계절 구분을 하지 않는다.
- ↑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 ↑ 쉽게 말하면, 하루 평균기온이 5°C 미만인 경우임
- ↑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2021년 5월 31일) Archived 2023년 2월 9일 - 웨이백 머신 11쪽, 14쪽, 43쪽 참고 (기후변화홍보포털 - 정보마당 - 기후자료실 - 전체)
-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한국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후통계분석 - 평년값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 ↑ 기후평년값(1991~2020) 기후표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겨울'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겨울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겨울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겨울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겨울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다음백과 미러)
- 겨울 - 네이버 학생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