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고속
![]() Kumho Buslines | |
산업 분야 | 운수업 |
---|---|
창립 | 1948년 9월 |
창립자 | 박인천 |
전신 | 광주택시 |
후신 | 금호산업㈜ |
해체 | 1999년 2월 23일 |
국가 | ![]() |
본사 | 고속사업부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동 시외사업부 본사 광주광역시 서구 광천동 |
사업 내용 | 고속버스, 전세버스, 자동주유기사업 |
![]() | |
산업 분야 | 운수업 |
---|---|
창립 | 2006년 10월 1일 |
창립자 | 금호고속주식회사 |
전신 | 금호홀딩스주식회사 |
분할 | 전세사업부문: 금호고속관광㈜ (2014.2) |
국가 | ![]() |
본사 | 고속사업부 본사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반포로 194 (반포동) 시외사업부 본사 및 본점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광천동) |
핵심 인물 | 박삼구 (대표이사 회장) 이덕연 (대표이사 사장) 김현철 (대표이사 사장) |
사업 내용 | 고속버스, 자동주유기사업 |
자본금 | 16,557,500,000원 (2017.12) |
매출액 | 1,701,969,120,350원 (2017) |
영업이익 | 27,690,482,146원 (2017) |
순이익 | 129,177,809,448원 (2017) |
자산총액 | 2,998,321,124,463원 (2017.12) |
주요 주주 | 박삼구 외 특수관계인: 69.97% 기타: 30.03% |
종업원 | 2,226명 (2017.12) |
웹사이트 | 금호고속 |
금호고속(錦湖高速, Kumho Buslines)은 여객 운송업을 주 업종으로 하는 광주광역시를 거점으로 한 기업이다. 1948년에 세운 광주여객자동차가 시초이며 1993년 금호고속으로 사명을 변경하기 이전에는 거북이 그림과 함께 "광주고속"이라는 이름을 썼다.
연혁[편집]
- 1946년 4월: 박인천, 광주택시 설립
- 1948년 9월: 주식회사 광주여객자동차 설립
- 1968년 10월: 경부선 고속버스 사업 인가
- 1970년 5월: 고속버스 운행 개시
- 1971년 11월: 호남선 고속버스 사업 인가
- 1972년 12월: 주식회사 광주고속으로 상호 변경
- 1984년 10월: 주식회사 금호건설과 합병
- 1987년 12월: 동서울 기점(대전,서대구,대구한진,부산,전주월드컵경기장,전주,광주,광양,동광양) 운행 개시
- 1991년 7월: 광주 우치동물원(금호패밀리랜드) 사업 추가
- 1992년 3월: 자동주유기(C.L.S) 사업 개시
- 1992년 6월: 광주 서구 광천동터미널 신축 이전
- 1992년 10월: 우등고속버스 운행개시
- 1993년 12월: 주식회사 금호고속으로 상호 변경
- 1995년 4월: 중국 진출
- 2002년 5월: 전세버스 사업 추가
- 2005년 9월: 코오롱고속 인수, 합병
- 2006년 8월: 광천동터미널 리모델링, 유스퀘어 개관
- 2006년 10월: 금호터미널(주)와 물적 분할
- 2007년 11월: 베트남 진출
- 2008년 4월: 속리산고속 인수
- 2008년 8월: 캄보디아 노선 운행 (베트남 - 캄보디아)
- 2009년 5월: 유스퀘어 문화관 개장
- 2011년 11월: 금호산업에서 분리
- 2012년: 전국 고속버스 회사 중 최초로 전 차량을 LED 행선판으로 교체 (속리산고속 포함)[1]
- 2012년 8월: 금호산업이 보유지분 전체를 사모투자전문회사에 매각,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 계열분리[2]
- 2013년 1월: KH고속투자 합병
- 2014년 2월: 전세사업부 서울법인 설립
- 2015년 5월: 금호터미널이 사모투자전문회사의 보유지분 전체를 매입, 금호터미널 계열사 및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재편입[3]
- 2015년 7월: 안성지점 폐쇄
- 2015년 10월: 금호터미널이 보유지분 전체를 칸서스KHB주식회사에 매각, 금호아시아나그룹에서 계열 재분리[4]
- 2015년 10월: 부산광역시 사상구 새벽로223번길 49 (괘법동)에 지점 설치
- 2017년 6월: 칸서스KHB주식회사가 보유하고 있던 주식 전부를 제이앤케이제삼차주식회사가 매수함에 따라 금호아시아나그룹으로 재편입.
- 2017년 11월: 금호홀딩스에 합병.
- 2018년: 회사명을 금호고속 주식회사로 변경.
운행 차량[편집]
- 기아 뉴 그랜버드 그린필드
- 기아 뉴 그랜버드 파크웨이
- 기아 뉴 그랜버드 선샤인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선샤인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실크로드
- 기아 뉴 그랜버드 이노베이션 프리미엄 골드 익스프레스
운행 노선[편집]

2015년 11월 기준이다.[5]
운행업체 | 보유 노선수 | 등록 대수 | |||||||
---|---|---|---|---|---|---|---|---|---|
노선 합계 | 직행 | 일반 | 고속 | 대수 합계 | 직행 | 일반 | 고속 | 예비 | |
금호고속 | 382 | 285 | - | 97 | 1,108 | 430 | - | 673 | 5 |
코오롱고속의 인수·합병을 시초로 하여, 광진고속의 운수권 양도 및 양수, 가야강남고속의 일부 노선 인수, 속리산고속의 인수로 공격적으로 노선을 확충하고 있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를 거점으로 시외버스가 운행하고 고속버스는 전국적 대부분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사진[편집]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본점 및 지점 현황[편집]
- 본점: 광주광역시 서구 무진대로 904 (광천동)
- 화순: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 옥리길 14-21
- 부천: 경기도 부천시 오정로 79 (삼정동)
- 정비공장: 광주광역시 남구 송암로 78 (송하동)
- 부산: 부산광역시 사상구 새벽로223번길 49 (괘법동)
각주[편집]
- ↑ 소속회사 전차량 LED 행선판으로 최초교체로 한 것 뿐이지 실제 차량최초 LED 행선판 부착 회사는 중앙고속이다.
-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금호산업주식회사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처분결정' 공시(2012.7.27, 2012.8.9 정정) 확인.
-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금호터미널주식회사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공시(2015.5.27) 확인.
-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금호고속 '최대주주등의주식보유변동'(2015.10.2.) 확인.
- ↑ 시외버스 면허대수 현황, 전라남도청 도로교통과, 2015년 11월 6일 작성.
외부 링크[편집]
금호아시아나그룹 | ||
---|---|---|
계열사 | ![]() | |
기타 | ||
이전 계열사 | ||
관련 항목 | ||
웹사이트: kumhoasiana.co.kr |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
---|
전라남도의 버스 기업 | |
---|---|
시내버스 업체 | |
시외버스 업체 | |
마을버스 업체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