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향교
![]() | |
![]() | |
종목 | 유형문화재 제75호 (1978년 3월 31일 지정) |
---|---|
수량 | 4동 |
시대 | 조선시대 |
위치 | |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교동 211번지 |
좌표 | 북위 36° 27′ 30″ 동경 127° 6′ 59″ / 북위 36.45833° 동경 127.11639° |
정보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
공주향교(公州鄕校)는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향교이다. 1978년 3월 31일 충청남도의 유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었다.
개요[편집]
조선 초기에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지내며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나라에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처음 지은 정확한 연대는 알지 못하나, 원래 웅진동 송산 기슭에 있던 것을 인조 원년(1623)에 지금의 위치로 옮겨지었다고 전한다. 그 뒤 여러 차례의 보수가 있었고, 1954년 문묘·명륜당·동재·존경각 등을 보수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외삼문을 들어서면 강당인 명륜당이 있고 그 양쪽에 동재와 존경각이 있다. 뒤쪽 한층 높은 곳에 있는 내삼문을 들어서면 정면에 사당인 대성전이 있으며, 그 양쪽에 동무와 서무가 있다. 즉 교육공간은 앞쪽에, 제사공간은 뒤쪽에 구분하여 배치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노비·책 등을 지급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1894) 이후 교육기능은 없어지고 제사기능만 남아있다
현지 안내문[편집]
각주[편집]
참고 자료[편집]
- 공주향교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