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심채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Ipomoea aquatica Forssk. |
100 g (3.5 oz)당 영양가 | |
---|---|
에너지 | 79 kJ (19 kcal) |
3.14 g | |
식이 섬유 | 2.1 g |
0.2 g | |
2.6 g | |
비타민 | 함량 %DV† |
비타민 A (동등) | 39% 315 μg |
티아민 (B1) | 3% 0.03 mg |
리보플라빈 (B2) | 8% 0.1 mg |
나이아신 (B3) | 6% 0.9 mg |
판토테산 (B5) | 3% 0.141 mg |
비타민 B6 | 7% 0.096 mg |
엽산 (B9) | 14% 57 μg |
비타민 C | 66% 55 mg |
무기질 | 함량 %DV† |
칼슘 | 8% 77 mg |
철분 | 13% 1.67 mg |
마그네슘 | 20% 71 mg |
망간 | 8% 0.16 mg |
인 | 6% 39 mg |
칼륨 | 7% 312 mg |
나트륨 | 8% 113 mg |
아연 | 2% 0.18 mg |
†백분율은 대략적으로 성인 기준 권고안을 사용한 추정치임. 출처: USDA Nutrient Database |
공심채(空心菜, 空芯菜, Ipomoea aquatica 또는 water spinach)는 잎채소로 자라는 반수생적 열대 식물이다. 옹채(壅菜), 죽협채(竹葉菜), 통심채(通心菜), 등채(藤菜)라고도 한다.
이름[편집]
중국어로는 웡차이(蕹菜)나 쿵신차이(空心菜)로, 광둥어로는 퉁초이(通菜)나 웅초이(蕹菜)로 부른다. 베트남어로는 라우무옹(rau muống), 태국어로는 팍붕(ผักบุ้ง), 인도네시아어·말레이시아어로는 캉쿵(kangkung), 필리핀어로는 캉콩(kangkong)으로 부른다. Morning glory라고도 한다.
이름 그대로 줄기 가운데가 비어[空] 있기 때문에 공심채라는 이름이 붙었다.
요리[편집]
열대 식물이니 만큼 주로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지방에서 즐겨 먹는다.
중국식 공심채 볶음으로 차오콩신차이(炒空心菜)은 물에 데쳐 기본 양념으로 간하여 살짝 볶아내어 씹는 맛이 있고 담백하다. 또한 태국식 공심채 볶음은 팍붕 파이댕이라고 한다.
경작[편집]
각주[편집]
- ↑ Austin, Daniel F. F.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Convolvulaceae) a Food Gone Wild." Ethnobotany Research and Applications 5 (2007): 123-46. Web.
- ↑ Pinker, I., U. Bubner, and M. Böhme. "Selection of water spinach (Ipomoea aquatica Forssk.)-genotypes for protected cultivation in temperate regions." 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igenous Vegetables and Legumes. Prospectus for Fighting Poverty, Hunger and Malnutrition 752. 2006.
외부 링크[편집]
![]() |
이 글은 가지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