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겨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겨울철에서 넘어옴)

겨울온대 또는 냉대 지방의 사계절 중 하나로 한대 지방에서도 일부지역은 나타난다.

겨울철, 동계(冬季), 동절(冬節), 동기(冬期)라고도 하며, 냉대의 경우 온대보다 더 춥다.

만일 겨울이 없어진다면 정체 불명의 해충들이 출현하여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정의

[편집]

기상학에 따른 구분

[편집]

기상학에서는 기온 변화에 따라 계절을 구분한다.

대한민국 기상청은 9일동안 일 평균기온이 5°C 미만 내려간 후, 다시 올라가지 않을 때, 그 첫번째 날을 겨울의 시작일로 정의한다.[1][2][3][4][5]

이는 다음 같이 더 세분화한다.[6]

  • 초겨울, 늦겨울 : 일평균기온이 5°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30°C 이하
  • 한겨울 : 일평균기온이 0°C 이하이고 일최저기온이 -35°C 이하

일반적인 구분

[편집]

천문학에 따른 구분

[편집]

천문학에서는 동지점(또는 동지, 12월 22일 경)에서 춘분점(또는 춘분, 3월 20일 경)까지를 말한다.[9][10]

절기에 따른 구분

[편집]

절기로는 입동(11월 7일 경)에서 입춘(2월 4일 경)까지를 말한다. (약 90일간이다. 아래에 언급된 기상학적 겨울 참고)

나라별 현황

[편집]

대한민국

[편집]

대한민국 기상청에서는 상기에서 언급한 것처럼, 겨울의 시작일을 9일간 일평균 기온의 평균값이 5°C 미만으로 내려간 뒤 다시 올라가지 않은 첫날로 정의한다.

이 기준으로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과 서울의 10년 단위 평균 겨울 시작일과 종료일, 그리고 길이 (기간) 를 보면, 다음과 같다.[11][12]

  • 전국 6개 지점 (강릉, 대구, 목포, 부산, 서울, 인천) 의 1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연도 시작일 ~ 종료일 기간 비율
1 1912년 ~ 1920년 11월 30일 ~ 3월 16일 107일 29.3%
2 1921년 ~ 1930년 11월 28일 ~ 3월 18일 111일 30.4%
3 1931년 ~ 1940년 11월 29일 ~ 3월 18일 110일 30.1%
4 1941년 ~ 1950년 11월 30일 ~ 3월 13일 104일 28.5%
5 1951년 ~ 1960년 12월 2일 ~ 3월 14일 103일 28.2%
6 1961년 ~ 1970년 11월 29일 ~ 3월 13일 105일 28.8%
7 1971년 ~ 1980년 12월 1일 ~ 3월 14일 104일 28.5%
8 1981년 ~ 1990년 11월 28일 ~ 3월 9일 102일 27.9%
9 1991년 ~ 2000년 12월 2일 ~ 3월 1일 90일 24.7%
10 2001년 ~ 2010년 12월 5일 ~ 3월 7일 93일 25.5%
11 2011년 ~ 2020년 12월 2일 ~ 2월 26일 87일 23.8%
  • 서울의 10년 단위 겨울 시작일, 종료일, 길이 (기간)
순번 연도 시작일 ~ 종료일 기간 비율
1 1912년 ~ 1920년 11월 17일 ~ 3월 28일 132일 36.2%
2 1921년 ~ 1930년 11월 17일 ~ 3월 23일 127일 34.8%
3 1931년 ~ 1940년 11월 22일 ~ 3월 23일 122일 33.4%
4 1941년 ~ 1950년 11월 24일 ~ 3월 23일 120일 32.9%
5 1951년 ~ 1960년 11월 25일 ~ 3월 18일 114일 31.2%
6 1961년 ~ 1970년 11월 23일 ~ 3월 25일 123일 33.7%
7 1971년 ~ 1980년 11월 19일 ~ 3월 17일 119일 32.6%
8 1981년 ~ 1990년 11월 23일 ~ 3월 13일 111일 30.4%
9 1991년 ~ 2000년 11월 23일 ~ 3월 6일 104일 28.5%
10 2001년 ~ 2010년 11월 30일 ~ 3월 11일 102일 27.9%
11 2011년 ~ 2020년 11월 23일 ~ 3월 11일 109일 29.9%

사진

[편집]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기상청에서는 우리나라의 계절 구분을 어떻게 하나요? (네이버 지식in. 2023년 6월 15일)
  2. 우리나라 109년 기후변화 분석보고서 (2021년 4월 30일) 11쪽, 14쪽, 43쪽 참고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열린마당 → 발간물 → 기후변화 시나리오)
  3.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기상청 기상자료개방포털 → 기후통계분석 → 평년값 → 우리나라 기후평년값 → 그래프
  4. 기후평년값(1991~2020) 기후표
  5. 쉽게 말하면, 하루 평균기온이 5°C 미만인 경우이다.
  6.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겨울'
  7. 기온 상승으로인해, 이상기후, 기상이변, 기후변화가 일어나서, 기상청에서는 계절 길이를 재조정하기로 했다. 이에 따르면, 여름은 기존에는 6월~8월, 3개월 간이었으나, 앞으로는 5월~9월이 될 전망이다. 따라서, 봄, 가을, 겨울 길이도 조정된다. [단독. 5월도 9월도 ‘여름’ 된다...기상청장 “사계절 재설정 논의”. (조선일보. 2024년 7월 3일) 여름이 길어져… 기상청, 계절별 길이 조정 착수 (조선일보. 2024년 9월 2일) 기상청, 이상 기후 탓 117년 만에 ‘사계절’ 재조정한다… 어떻게? (조선일보. 2024년 9월 13일)
  8. 과거 음력을 썼을 때에는 음력 10월, 음력 11월, 음력 12월을 겨울로 보았다. 음력 10월은 맹동, 음력 11월은 중동, 음력 12월은 계동이었다.
  9. 계절#천문학적 계절 변화 참고
  10. 하지만 한국천문연구원에 따르면, 천문학에서는 계절 구분을 하지 않는다.
  11. 관측자료 기상청 기후정보포털 → 국가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 → 과거 기후변화 → 관측자료 → 기타분석 → 계절길이
  12. 일별자료 기상청 날씨누리 → 관측·기후 → 육상 → 과거관측 (1960년부터 자료가 있음)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