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성당

신비한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30일 (수) 13:44 판 (차단된 유저의 반달행위 복원)
서울 명동성당
(서울 明洞聖堂)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사적
종목사적 제258호
(1977년 11월 22일 지정)
면적1,668㎡
시대대한제국
소유(재)천주교서울대교구유지재단
위치
주소서울특별시 중구 명동2가 1-8번지
좌표북위 37° 33′ 51″ 동경 126° 59′ 14.3″ / 북위 37.56417° 동경 126.987306°  / 37.56417; 126.987306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한국 천주교 서울대교구 주교좌 명동대성당, 통칭 명동성당(明洞聖堂)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2가에 있는 천주교 서울대교구대성당이다. 한반도에서 처음으로 지어진 대규모의 고딕 양식 기독교 교회당이자, 한국 최초의 본당(사제가 상주하며 사목하는 성당)이다. 1977년 11월 22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58호로 지정되었다.

개요

명동성당은 서울대교구의 주교좌가 있는 주교좌 성당으로, 현재 교구장은 2012년 서울대교구장에 착좌한 염수정이며, 본당 주임은 고찬근이다. 주보성인은 '원죄 없이 잉태되신 복되신 동정 마리아'다. 주변에 가톨릭 회관, 성 바오로 서원, 다양한 문화시설 등이 있다.

2009년 외벽 벽돌 보수공사가 이뤄졌다. 2011년 이후 언덕 남쪽에 별관을 짓는 개발공사 중이다.

역사

천주교 박해가 풀린 뒤 1883년 조선 교구는 종현지역(현재의 명동성당 자리)의 침계 윤정현(梣溪 尹定鉉)의 저택과 대지를 구매하여 신학생 교육을 위한 공간으로 이용하였다. 그의 집은 바깥채만도 60칸이 넘는 넓은 집이어서 처음에는 한옥 그대로 교회로 이용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1887년(고종 24)에 본격적으로 성당 신축을 위한 정지작업이 시작되었다. 조선 정부는 천주교측에 작업 중지와 토지권의 포기를 요구하지만 천주교측은 공사를 강행했다.[1]

이후 저택을 허문 뒤 1892년 8월 5일 정초식을 하고 공사를 시작했다. 프랑스에서 온 유진 코스트 신부가 교회의 설계와 공사 감독을 맡았으나 1896년 사망한 뒤 프와넬 신부가 남은 공사를 마무리해 1898년 5월 29일 공사를 완료하고 성당의 축성식을 열었다. 원래 이름은 종현성당(鐘峴聖堂)이었으나 1945년에 명동성당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1980년대에는 민주화 운동에 관련된 수배자나 시위대가 전두환 군사 독재정권의 탄압을 피해 명동성당으로 모여들어 민주화 운동의 성지로 인식되기도 하였다.[2] 김수환 추기경이 선종하여 교황장으로 장례를 치르기 전에는 조문 인파로 긴 행렬을 보였다. [3][4]

금교령의 원인

명동성당의 건설은 한국 사회에 큰 물의를 일으켰다. 1888년 4월 조선 정부는 금교령을 발표하며 천주교를 탄압했는데 이 원인이 명동성당 건립 때문이었다. 당시 고종황제는 왕궁보다 더 높은 자리에 훨씬 높은 건물이 올라 가는 것에 분개했다. 특히 이 저택과 부지는 평소 청백리로 소문났던 침계 윤정현을 위해 고종황제가 직접 하사한 집[5] 이었기에 고종의 분노는 더 컸다. 고종은 천주교 측에 당장 건축의 중단을 요구했지만 천주교측은 고종의 요구를 거절했다. 결국 고종황제는 금교령을 발표해 천주교및 개신교의 전도활동을 막았다.[6] 4월 28일 조선의 독판교섭통상사무 조병식이 미국, 러시아, 이탈리아 3국 공사에게 기독교 전교를 금하라는 조회문을 통보한 것이다. 명동성당 건설로 인한 조선 정부의 금교령 발표로 천주교 뿐만 아니라 개신교 선교사들까지 선교활동에 발목이 묶였다.[7]

역대 주임신부

  1. 마리장구스타브 블랑 (1882~1890)
  2. Doucet (1890~1892)
  3. 빅토르루이 푸아넬 (1892~1926)
  4. Marie Pierre Paul Villemot (1926~1942)
  5. 이기준 토마스 (1942~1950)
  6. 장금구 요한 크리소스토모 (1950~1957)
  7. 양기섭 베드로 (1957~1962)
  8. 이종순 라우렌시오 (1962~1963)
  9. 신인식 바오로 (1963~1964)
  10. 황민성 베드로 (1964~1965)
  11. 이계중 요한 (1965~1968)
  12. 이문근 요한 (1968~1971)
  13. 최석우 안드레아 (1971~1972)
  14. 김몽은 요한 (1972~1978)
  15. 경갑룡 요셉 (1978~1982)
  16. 김수창 야고보 (1982~1986)
  17. 김병도 프란치스코 (1986~1988)
  18. 정의채 바오로 (1988년~1988)
  19. 조순창 가시미로 (1988~1994)
  20. 장덕필 니콜라오 (1994~1999)
  21. 백남용 바오로 (1999~2003)
  22. 이성만 토마스 (2003~2004)
  23. 박신언 라파엘 (2004~2010)
  24. 여형구 미카엘 (2010~2013)
  25. 고찬근 루카 (2013~)

미사 시간

<주일미사>

미사장소 미사시간
대성당(오전) 07:00 09:00 10:00 11:00 12:00
대성당(오후) 16:00 17:00 18:00 19:00(청년) 21:00
소성당 09:00(중고등부) 11:00(초등부/솔봉이)
특전미사 18:00 19:00
영어미사(English Mass) 09:00

사제단

사제

  • 주임신부 : 고찬근 (루카)
  • 부주임신부 : 이종환 (요셉)
  • 보좌신부 : 우연호 (레오), 윤용상 (세례자요한), 박재득 (테오도로), 김민호 (베네딕토)

수도자

  • 황성연 (안나), 신정수 (엘리사벳), 김용자 (아녜스 골롬바), 구선옥 (바울라)

찾아가는 길

사진

각주

  1. 《답사여행의 길잡이 15》(서울, 초판 2004, 5쇄 2009, 돌베개)
  2. http://news.donga.com/3/all/20120621/47199877/1
  3.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528659
  4.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071316
  5. “명동성당 재개발 현장에 고종 하사 옛 집터” (MBN). 2011년 12월9일에 확인함. 
  6. “[한국선교 130년 최초 선교사 알렌 이야기] (18) 알렌 외교관인가 선교사인가” (국민일보). 2014년 6월6일에 확인함. 
  7. 손윤탁《한국 개신교 초기의 선교 역사》

참고 자료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