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여래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치성광여래에서 넘어옴)

칠성여래
중국어 七星如來
한국어 칠성여래
숭배 정보
권능 비, 풍년, 장수, 재물

칠성여래(七星如來) 또는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불교여래 중 하나이다. 그는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에 두고, 북두칠성인 칠성군과 그 보처 28숙 및 성군들을 거느리고 있다고 한다.[1] 중국 도교의 영향을 받았다고 하며, 민간신앙과 불교가 혼합된 복잡한 형태를 띤다.

인도의 구요신앙이 중국으로 전래되었고, 도교의 북극성 신앙에 섞여 들어서 8세기 후반 ~ 9세기 초에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신앙이 탄생하였다.[2]

<석문의범> 칠성청(七星請)에는 치성광여래와 북두칠성을 각각의 존재로 보지만,[3] 사실 '치성광'이라는 뜻은 '밝기가 유별란 빛'이라는 뜻으로 북두칠성 중에 북극성을 가리킨다.[4] 도교에서는 별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는데, 이것이 불교로 편입되면서 여러 대상이 융합된 것으로 보인다.

도교에서는 북극성을 자미대제(紫微大帝)라고 부르며, 모든 복덕을 관장하는 존재로 본다. 그 아래 일월신을 두고 7개의 별에 각기 이름과 권능을 부여했다.[5] 불교 사찰에서 칠성여래를 봉안한 칠성각을 보면, 보통 탱화로 그리는데 치성광여래와 일광월광여래를 삼존불로, 7개 별은 칠여래로 의인화하여 함께 그린다.[6] 즉, 북두칠성 7개의 별에 각각 있는 7명의 부처라고 본다.

칠성여래는 비를 내려 풍년이 들게 해주고, 수명과 재물을 관장한다고 한다. 현세에서 복을 얻기 위해 기도를 하는 대상이다.[7]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법보신문, 법보신문 (2004년 8월 17일). “치성광 여래에 공양 올리며”. 《법보신문》. 법보신문사.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치성광 부처님은 일광보살과 월광보살을 좌우 보처로 하고, 북두칠성인 칠성군과 그 보처 28숙 및 성군들을 휘하에 거느리고 있다. 
  2. 정, 진희. “고려 치성광여래(熾盛光如來) 신앙 고찰 The Study of Tejaprabha Buddha Faith in Goryeo”. 2013, vol.36, no.3, 통권 132호 pp. 314-341 (28 pages). 한국학중앙연구원: 28쪽. doi:10.25024/ksq.36.3.201309.314. 중국으로 전래되었던 인도의 구요신앙은 도교의 북극성 신앙과 습합되어 8세기 후반에서 9세기 초반 치성광여래 신앙으로 탄생하였고, 
  3. 구, 미래 (2020년 8월 15일). “[구미래의 불교 세시의례] <14> 칠석의 칠성기도”.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치성광여래님과 북두칠성님의 지혜와 신통력은 헤아릴 수 없이 커서, 일체 중생의 마음을 헤아려 갖가지 방편의 힘으로써 뭇 생명의 무량한 고통을 없애 주시고, 오래도록 천상에 머물며 인간세계를 비추어 수명과 복덕을 내리십니다.” <석문의범> 칠성청(七星請 
  4. 박, 부영 (2004년 3월 6일). “한국불교신앙의 뿌리를 찾아서 11- 칠성신앙”.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북극성의 밝기가 유별나 치성(熾盛)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금륜불정치성광여래(金輪佛頂熾盛光如來)에서 나온 말이다. 
  5. 구, 미래 (2020년 8월 15일). “[구미래의 불교 세시의례] <14> 칠석의 칠성기도”.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도교의 칠성신 체계는 북극성을 자미대제(紫微大帝)라 하여 모든 복덕을 관장하는 존재로 삼았으며, 그 아래 일월신을 두고 7개의 별에 각기 이름과 맡은 바 능력을 부여했다. 
  6. 박, 부영 (2004년 3월 6일). “한국불교신앙의 뿌리를 찾아서 11- 칠성신앙”.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치성광여래 일광월광여래의 삼존불과 칠여래를 함께 모신다. 
  7. 박, 부영 (2004년 3월 6일). “한국불교신앙의 뿌리를 찾아서 11- 칠성신앙”. 《불교신문》. 불교신문. 2023년 11월 30일에 확인함. 칠성은 주로 비를 내려 풍년을 이루게 하고, 수명을 연장해주며, 재물을 준다는 믿음의 대상이다. 현세이익적 기복 신앙의 전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