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장보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삼장보살
서울특별시 봉은사 삼장보살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5호)
서울특별시 봉은사 삼장보살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35호)
중국어 三藏菩薩
한국어 삼장보살

삼장보살(三藏菩薩)은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장보살(地藏菩薩), 지지보살(持地菩薩)을 하나로 묶어 마치 하나의 보살처럼 부르는 용어이다. 현재는 모든 영가천도를 지장보살에게 의지하지만, 원래는 하늘 세계는 천장보살이, 지상 세계는 지지보살이, 지하 세계(명부)는 지장보살이 각각 관장했었다.[1]

삼장보살도[편집]

한국에서는 삼장보살들을 하나의 보살처럼 같이 그린 탱화인 삼장보살도를 조선초기부터 그리기 시작하여, 18세기와 19세기에는 많이 조성되어었다. 이에 대한 유래는 분명치는 않으나, 중국 송나라 지반(志磐)의『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에 기록되어 있고, 중국 원나라명나라에 삼장보살도를 많이 그렸다고 한다.[2]

각주[편집]

  1. 박, 혜원. “큐레이터 추천 소장품 - 삼장보살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2023년 12월 1일에 확인함. 하늘 세계를 관장하는 천장보살(天藏菩薩), 지상 세계를 관장하는 지지보살(持地菩薩), 지하 명부세계를 관장하는 지장보살(地藏菩薩)을 합친 것이 삼장보살이니 
  2. 김, 정희. “삼장보살상 (三藏菩薩像)”.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3년 12월 1일에 확인함. 삼장보살은 상계교주(上界敎主)인 천장보살, 음부교주(陰府敎主)인 지지보살, 유명계교주(幽冥界敎主)인 지장보살 등 천상과 지상, 지하의 교주로 신앙되는 세 보살을 칭한다. 그러나 삼장보살에 대해서는 소의경전이 알려진 바가 없어 도상이나 명칭이 어디에서 유래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송나라 때 지반(志磐)이 찬술한『법계성범수륙승회수재의궤(法界聖凡水陸勝會修齋儀軌)』에는 삼장의궤가 중단의궤로 기록되었으며 원·명대(元·明代)의 수륙화(水陸畵)에 천장·지장·지지보살이 그려져 있어 일찍이 수륙재와 관련되어 새롭게 도상이 성립된 것으로 생각된다. ~~~ 우리나라에서는 조선전기부터 삼장보살도가 조성되어, 조선후기 18, 19세기에 제작된 많은 작품들이 남아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