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봉낙타: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25번째 줄:


한편 낙타를 뜻하는 '''캐멀'''(Camel)이라는 명칭은 박트리아낙타라고도 하는 [[쌍봉낙타]]와 [[야생쌍봉낙타]]까지 아우르는 말로 이것은 라틴어 단어 카멜루스({{lang|la|Camelus}}) 또는 그리스어 단어 카멜로스(kamēlos),<ref>{{OxfordDictionaries.com|Camel|accessdate=31 January 2016}}</ref> 또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단어, 예컨대 [[히브리어]]의 가말({{lang|he|גמל}}) 또는 [[아랍어]]의 가말({{lang|ar|جمل}}) 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된다.<ref>{{MerriamWebsterDictionary|Camel|accessdate=31 January 2016}}</ref> 한자로 낙타(駱駝)라고 하는 것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며, 낙타를 뜻하는 낙타 낙(駱)과 낙타 타(駝)는 모두 말마변을 부수로 하는 형성자이다. 옛말로 '약대'라고도 한다.<ref>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항목 “약대01”</ref>
한편 낙타를 뜻하는 '''캐멀'''(Camel)이라는 명칭은 박트리아낙타라고도 하는 [[쌍봉낙타]]와 [[야생쌍봉낙타]]까지 아우르는 말로 이것은 라틴어 단어 카멜루스({{lang|la|Camelus}}) 또는 그리스어 단어 카멜로스(kamēlos),<ref>{{OxfordDictionaries.com|Camel|accessdate=31 January 2016}}</ref> 또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단어, 예컨대 [[히브리어]]의 가말({{lang|he|גמל}}) 또는 [[아랍어]]의 가말({{lang|ar|جمل}}) 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된다.<ref>{{MerriamWebsterDictionary|Camel|accessdate=31 January 2016}}</ref> 한자로 낙타(駱駝)라고 하는 것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며, 낙타를 뜻하는 낙타 낙(駱)과 낙타 타(駝)는 모두 말마변을 부수로 하는 형성자이다. 옛말로 '약대'라고도 한다.<ref>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항목 “약대01”</ref>

== 분류 ==
{{분기도|align=left|제목=
|설명=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작성된 현생 낙타과 계통도 속에서 단봉낙타의 위치<ref name="cui2007">{{cite journal|last1=Cui|first1=P.|last2=Ji|first2=R.|last3=Ding|first3=F.|last4=Qi|first4=D.|last5=Gao|first5=H.|last6=Meng|first6=H.|last7=Yu|first7=J.|last8=Hu|first8=S.|last9=Zhang|first9=H.|title=A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of the wild two-humped camel (''Camelus bactrianus ferus''): an evolutionary history of Camelidae|journal=BMC Genomics|date=2007|volume=8|issue=1|pages=241|doi=10.1186/1471-2164-8-241|url=http://bmcgenomics.biomedcentral.com/articles/10.1186/1471-2164-8-241|pmid=17640355|pmc=1939714}} {{open access}}</ref>
|분기도={{분지군|style=font-size:90%;line-height:100%;width:300px;
|1={{분지군
|1={{분지군
|분류1=[[라마족]]
|1={{분지군
|1=[[알파카]]
|2={{분지군
|1=[[비쿠냐]]
|2={{분지군
|1=[[라마]]
|2=[[과나코]]
}}
}}
}}
|분류2=[[낙타족]]
|2={{분지군
|1='''단봉낙타'''
|2={{분지군
|1=[[야생쌍봉낙타]]
|2=[[쌍봉낙타]]
}}
}}
}}
}} }} }}

단봉낙타는 [[쌍봉낙타]](<small>[[학명]]</small>: ''C. bactrianus'')와 [[야생쌍봉낙타]](<small>[[학명]]</small>: ''C. ferus'')와 같은 속인 [[낙타속]]에 속하며, 더 나아가서는 [[라마]]·[[알파카]]·[[과나코]]·[[비쿠냐]]와 같은 [[낙타과]]에 속한다.<ref name=msw3>{{MSW3|id=14200115|page=646}}</ref><ref name=colin>{{cite book|last1=Groves|first1=C.|last2=Grubb|first2=P.|authorlink1=Colin Groves|authorlink2=Peter Grubb (zoologist)|title=Ungulate Taxonomy|year=2011|publisher=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isbn=978-1-4214-0093-8|page=32}}</ref>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으로 [[낙타속]]의 동물들을 [[기재]]하였고, 그 이름은 그의 저서인 《동물지(動物誌)》에 실려 있으며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로 나뉘어져 있다.<ref>{{cite book|last1=de Buffon|first1=C.|authorlink=Georges-Louis Leclerc, Comte de Buffon|title=Natural History, General and Particular|date=1791|publisher=Alexander Strahan|page=121|location=London, UK|url=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item/77169#page/135/mode/1up}}</ref><ref>{{cite book|last=Smith|first1=W.|last2=Anthon|first2=C.|title=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year=1870|publisher=[[Harper (publisher)|Harper and Brothers Publishers]]|location=New York, USA|edition=3rd|page=204}}</ref> 현재 쓰이는 단봉낙타의 학명은 [[스웨덴]]의 생물학자 [[칼 폰 린네]]가 1758년 부여한 것이며, 그의 저서인 《[[자연의 체계]]》 제10편에 실려 있다.<ref name=SN>{{cite book|last1=Linnaeus|first1=C.|authorlink=Carl Linnaeus|title=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date=1758|publisher=Laurentius Salvius|location=Stockholm, Sweden|page=65|edition=[[10th edition of Systema Naturae|10th]]|url=https://www.biodiversitylibrary.org/page/726965}}</ref> 1927년, [[영국]]의 [[수의학자]] [[아놀드 리스]]가 단봉낙타의 기본 습성으로 개체군을 분류했다. 그는 단봉낙타들을 몸집은 작지만 근육질이어서 짐낙타로 유용한 언덕낙타와, 소량의 짐을 운반하거나 사람을 태우기에 좋은 사막형과 많은 짐을 옮길 수 있는 강변형으로 세분화되는 초원낙타로 나누었으며, 이 두 유형 사이 중간 정도 되는 특징을 보유한 낙타도 있다고 하였다.<ref name="camel">{{cite book|last=Mukasa-Mugerwa|first=E.|title=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A Bibliographical Review|year=1981|publisher=[[International Livestock Centre for Africa]]|location=Addis Ababa, Ethiopia|url=http://pdf.usaid.gov/pdf_docs/PNAAP013.pdf|pages=1–147}} {{open access}}</ref>


== 각주 ==
== 각주 ==

2018년 6월 12일 (화) 15:12 판

단봉낙타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강: 포유강
목: 소목
과: 낙타과
속: 낙타속
종: 단봉낙타 (C. dromedarius)
학명
Camelus dromedarius
Linnaeus, 1758
단봉낙타의 분포

단봉낙타(單峯駱駝, 학명: Camelus dromedarius)는 가축화된 낙타의 한 종으로, 아라비아낙타라고도 한다. 낙타속에 속한 현생 3종 중 가장 작은 낙타로, 다 자란 수컷은 어깨 높이가 1.8-2m, 암컷은 1.7-1.9m 정도이며 몸무게는 수컷이 400-600kg, 암컷이 300-540kg으로 수컷이 암컷에 비하여 더 크고 무겁다. 단봉낙타는 다른 종류의 낙타들과 비교했을 때 목이 길다랗고 섬세한 곡선을 그리고, 가슴과 배 부분이 납작하며 혹은 하나뿐이다. 몸 색깔은 보통 탁한 갈색이며, 혹은 약 20cm 정도 높이인데 이 혹은 대부분의 성분이 지방이며 결합 조직으로 얽혀 있다.

주로 낮에 활발히 활동하는 주행성 동물이며 20여 마리 안팎으로 무리를 짓는데, 건장한 수컷이 우두머리를 맡는다. 주식은 사막에서 자생하는 건생식물들이며, 체수분의 30%에 해당하는 수분을 잃어도 버틸 수 있도록 사막 환경에 알맞게 적응했다. 짝짓기는 일 년에 한 번만 이루어지며 우기가 찾아올 때 즈음 최고조에 이른다. 한 배에 한 마리씩, 15개월의 임신기간을 거쳐 새끼를 낳는다.

단봉낙타는 가축화가 이루어진 낙타로, 거의 2,000년이 가도록 야생 개체가 나타나지 않았다. 처음으로 단봉낙타의 가축화가 이루어진 시기는 4,000년 전이라 추정되며, 그 위치는 소말리아 또는 아라비아 반도라고 한다. 그 전까지는 사하라 사막과 같이 건조한 북아프리카중동 등지에서 야생 단봉낙타가 서식했던 것으로 보인다. 가축으로 쓰이는 단봉낙타는 구대륙의 건조 기후 지대에서 사육되는데, 주로 아프리카 대륙에서 이용한다. 그러나 호주에서는 야생화된 단봉낙타 집단이 발생하기도 한다. 단봉낙타에게서 얻는 고기와 낙타젖은 상업적으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반도의 소수민족들의 주식이 되며, 짐이나 사람을 옮기는 운송용 가축으로도 유용하게 쓰인다.

어원

단봉낙타를 일컫는 영단어 드로메더리(Dromedary)는 고대 프랑스어 단어 'dromedaire', 또는 후기 라틴어 단어 'dromedarius'에서 따온 것으로 보이며, 이 단어들은 모두 '달리는', '달리는 것'을 뜻하는 그리스어 단어 드로마스(δρομάς)가 어원이다.[1][2] 그리스에서는 이 낙타를 가리켜 드로마스 카멜로스(δρομάς κάμηλος), 즉 '달리는 낙타'라고 일컬었다.[1][3] 영어로 'Dromedary'라는 단어가 사용된 기록은 14세기에 처음 남아 있다.[4] 아라비아 반도가 원생지로 유력한 데에서 비롯되어 아라비아낙타(Arabian Camel)로 불리기도 한다.[5] 중국·대한민국에서는 쌍봉낙타와 대비하여 혹이 하나뿐이라고 하여 단봉(單峰, 單峯)이라고 일컫는다.

한편 낙타를 뜻하는 캐멀(Camel)이라는 명칭은 박트리아낙타라고도 하는 쌍봉낙타야생쌍봉낙타까지 아우르는 말로 이것은 라틴어 단어 카멜루스(Camelus) 또는 그리스어 단어 카멜로스(kamēlos),[6] 또는 셈어파에 속하는 언어들의 단어, 예컨대 히브리어의 가말(גמל) 또는 아랍어의 가말(جمل) 에서 비롯되었다고 추정된다.[7] 한자로 낙타(駱駝)라고 하는 것의 어원은 확실하지 않으며, 낙타를 뜻하는 낙타 낙(駱)과 낙타 타(駝)는 모두 말마변을 부수로 하는 형성자이다. 옛말로 '약대'라고도 한다.[8]

분류

라마족

알파카

비쿠냐

라마

과나코

낙타족

단봉낙타

야생쌍봉낙타

쌍봉낙타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작성된 현생 낙타과 계통도 속에서 단봉낙타의 위치[9]

단봉낙타는 쌍봉낙타(학명: C. bactrianus)와 야생쌍봉낙타(학명: C. ferus)와 같은 속인 낙타속에 속하며, 더 나아가서는 라마·알파카·과나코·비쿠냐와 같은 낙타과에 속한다.[10][11] 기원전 4세기 고대 그리스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처음으로 낙타속의 동물들을 기재하였고, 그 이름은 그의 저서인 《동물지(動物誌)》에 실려 있으며 단봉낙타와 쌍봉낙타로 나뉘어져 있다.[12][13] 현재 쓰이는 단봉낙타의 학명은 스웨덴의 생물학자 칼 폰 린네가 1758년 부여한 것이며, 그의 저서인 《자연의 체계》 제10편에 실려 있다.[14] 1927년, 영국수의학자 아놀드 리스가 단봉낙타의 기본 습성으로 개체군을 분류했다. 그는 단봉낙타들을 몸집은 작지만 근육질이어서 짐낙타로 유용한 언덕낙타와, 소량의 짐을 운반하거나 사람을 태우기에 좋은 사막형과 많은 짐을 옮길 수 있는 강변형으로 세분화되는 초원낙타로 나누었으며, 이 두 유형 사이 중간 정도 되는 특징을 보유한 낙타도 있다고 하였다.[15]

각주

  1. δρομάς. Liddell, Henry George; Scott, Robert; A Greek–English Lexicon at the Perseus Project.
  2. “Dromedary”. 《OxfordDictionaries.com》.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6년 1월 27일에 확인함. 
  3. 하퍼, 더글러스. “dromedary”. 《온라인 어원 사전. 2016년 5월 5일에 확인함. 
  4. Heller, L.; Humez, A.; Dror, M. (1984). 《The Private Lives of Words》 1판. Abingdon, UK: Routledge & Kegan Paul. 58–9쪽. ISBN 978-0-7102-0006-8. 
  5. Nowak, R.M. (1999).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2 6판.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78–81쪽. ISBN 978-0-8018-5789-8. 
  6. “Camel”. 《OxfordDictionaries.com》. 옥스퍼드 대학교 출판부. 2016년 1월 31일에 확인함. 
  7. “Camel”. 《메리엄-웹스터 사전. 2016년 1월 31일에 확인함.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항목 “약대01”
  9. Cui, P.; Ji, R.; Ding, F.; Qi, D.; Gao, H.; Meng, H.; Yu, J.; Hu, S.; Zhang, H. (2007). “A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 sequence of the wild two-humped camel (Camelus bactrianus ferus): an evolutionary history of Camelidae”. 《BMC Genomics》 8 (1): 241. doi:10.1186/1471-2164-8-241. PMC 1939714. PMID 17640355.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10. Wilson, D.E.; Reeder, D.M., 편집.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646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11. Groves, C.; Grubb, P. (2011). 《Ungulate Taxonomy》.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32쪽. ISBN 978-1-4214-0093-8. 
  12. de Buffon, C. (1791). 《Natural History, General and Particular》. London, UK: Alexander Strahan. 121쪽. 
  13. Smith, W.; Anthon, C. (1870). 《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3판. New York, USA: Harper and Brothers Publishers. 204쪽. 
  14. Linnaeus, C. (1758). 《Systema Naturæ Per Regna Tria Naturae》 10판. Stockholm, Sweden: Laurentius Salvius. 65쪽. 
  15. Mukasa-Mugerwa, E. (1981). 《The Camel (Camelus dromedarius): A Bibliographical Review》 (PDF). Addis Ababa, Ethiopia: International Livestock Centre for Africa. 1–147쪽.  오픈 액세스로 게시된 글 - 무료로 읽을 수 있습니다

외부 링크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