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체 범주: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ko:단체 대상 문서를 가리키도록 이중 넘겨주기 고침
단체 대상에서 분리
1번째 줄: 1번째 줄:
[[호모토피 이론]]에서, '''단체 범주'''(單體範疇, {{llang|en|simplicial category}})는 공집합이 아닌 [[유한 집합|유한]] [[정렬 집합]]들의 범주이다.<ref>{{서적 인용 | last1=Goerss | first1=Paul G. | last2=Jardine | first2=John Frederick | title=Simplicial homotopy theory | publisher=Birkhäuser | series=Progress in Mathematics | isbn=978-3-7643-6064-1 | 날짜=1999 | volume=174 |언어=en}}</ref><ref>{{서적 인용 | last1=Gelfand | first1=Sergei I. | last2=Manin | first2=Yuri I. |저자고리2=유리 마닌| title=Methods of homological algebra | doi=10.1007/978-3-662-12492-5 | 출판사=Springer | 총서 =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 언어=en}}</ref><ref>{{저널 인용 | 이름=Edward B. | 성= Curtis | doi=10.1016/0001-8708(71)90015-6 | 제목=Simplicial homotopy theory|저널=Advances in Mathematics|권=6|호=2|날짜=1971-04 |쪽=107–209|mr=279808|언어=en}}</ref><ref>{{저널 인용|제목=An elementary illustrated introduction to simplicial sets|arxiv=0809.4221|이름=Greg|성=Friedman|날짜=2012|bibcode=2008arXiv0809.4221F|저널=Rocky Mountain Journal of Mathematics|권=42|호=2|쪽=353–423|doi=10.1216/RMJ-2012-42-2-353|mr=2915498|zbl=06035442|issn=0035-7596|언어=en}}</ref> 임의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單體對象, {{llang|en|simplicial object}})은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자 (수학)|함자]]이다. 이는 일종의 [[위상 공간 (수학)|위상]]을 가지는 대상으로 여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상”은 [[특이 호몰로지]]에서의 특이 [[단체 (수학)|단체]]들을 사용하여 대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특히, 집합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은 '''[[단체 집합]]'''이라고 한다.
#넘겨주기 [[단체 대상]]

== 정의 ==
단체 범주의 개념은 [[범주론]]을 사용하여 매우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추상적이다. 대신 이와 동치인, 더 복잡하지만 더 구체적인 정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범주 (수학)|범주]] <math>\mathcal C</math>의 '''단체 대상'''(單體對象, {{llang|en|simplicial object}})은 단체 범주 위의, <Math>\mathcal C</math> 값을 갖는 [[준층]]이다. 즉, [[함자 (수학)|함자]] <math>\triangle^{\operatorname{op}}\to\mathcal C</math>이다. 단체 대상의 '''사상'''은 [[준층]]의 사상, 즉 함자 사이의 [[자연 변환]]이다. 단체 대상의 범주는
:<math>\operatorname s(\mathcal C)=\mathcal C^{\triangle^{\operatorname{op}}}</math>
로 표기한다.

'''단체 집합'''은 [[집합]]의 범주 위의 단체 대상이다. 즉, <math>\triangle^{\operatorname{op}}</math>에서 집합과 함수의 범주 <math>\operatorname{Set}</math>로 가는 [[함자 (수학)|함자]]이다. 단체 집합들의 범주는 보통 <math>\operatorname{sSet}</math>라고 쓴다. 다른 범주 위의 단체 대상 역시 마찬가지로 불린다. 예를 들어, '''단체 아벨 군'''(單體Abel群, {{llang|en|simplicial Abelian group}})은 [[아벨 군]]의 범주 <math>\operatorname{Ab}</math> 위 단체 대상이다.

=== 순서론적 정의 ===
모든 [[정렬 집합]]과 [[증가 함수]]의 범주 <math>\operatorname{Ord}</math>를 생각하자.

'''첨가 단체 범주'''({{llang|en|augmented simplex category}}) <math>\triangle_+</math>는 <math>\operatorname{Ord}</math> 가운데, [[유한 집합]]만으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이다.

'''단체 범주'''({{llang|en|augmented simplex category}}) <math>\triangle_+</math>는 <math>\operatorname{Ord}</math> 가운데, [[공집합]]이 아닌 [[유한 집합]]만으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이다.

다시 말해, 첨가 단체 범주는 단체 범주에 공집합을 “첨가”한 것이다.

이는 엄밀히 말하면 [[작은 범주]]가 아니지만, 같은 [[순서형]]의 [[정렬 집합]]은 서로 [[동형]]이므로, <math>\triangle</math> 및 <math>\triangle_+</math>는 각각 [[가산 무한]] 개의 [[동형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math>\triangle_+</math>의 동형류들은 [[자연수]](유한 [[순서수]])에 대응하며, <math>\triangle</math>의 동형류들은 양의 정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들과 [[범주의 동치|동치]]인 [[작은 범주]]들을 취할 수 있다.

=== 대수적 정의 ===
'''첨가 단체 범주''' <math>\triangle_+</math>는 하나의 [[모노이드 대상]] <math>e</math>로 생성되는 자유 [[모노이드 범주]] <math>(\mathcal C,\otimes)</math>이다. 즉, <math>\triangle_+</math>의 대상은
:<math>\overbrace{e\otimes e\otimes\dotsb\otimes e}^n\qquad(n\in\mathbb N)</math>
의 꼴이며, 사상들은 <math>e</math>의 모노이드 연산
:<math>\mu \colon e^{\otimes2} \to e</math>
:<math>\eta \colon e^{\otimes0} \to e</math>
가 된다.

첨가 단체 범주 <math>\triangle_+</math>에서, [[시작 대상]] <math>e^{\otimes0}</math> 및 이를 [[정의역]] 또는 [[공역 (수학)|공역]]으로 갖는 모든 [[사상 (수학)|사상]]들을 삭제한 [[충만한 부분 범주]]를 '''단체 범주''' <math>\triangle</math>라고 한다.

=== 위상수학적 정의 ===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math>\triangle^{\operatorname{op}}</math>는 다음과 같은 [[작은 범주]]이다.
* <math>\triangle^{\operatorname{op}}</math>의 대상들은 각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에 대하여 <math>\Delta_n</math>이다. 이를 '''<math>n</math>차원 단체'''({{llang|en|<math>n</math>-simplex}})라고 한다.
이 범주의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사상들의 (유한 개의) 합성으로 주어진다.
* 각 양의 정수 <math>n\in\mathbb Z^+</math> 및 <math>i\in\{0,1,\dots,n\}</math>에 대하여, 사상 <math>\partial_{n,i}\colon \Delta_n\to \Delta_{n-1}</math>. 이를 '''면 사상'''({{llang|en|face morphism}})이라고 하며, 이는 <math>n+1</math>개의 면을 갖는 <math>n</math>차원 단체의 <math>i</math>번째 면을 뜻한다.
* 각 자연수 <math>n\in\mathbb N</math> 및 <math>i\in\{0,1,\dots,n\}</math>에 대하여, 사상 <math>s_{n,i}\colon \Delta_n\to \Delta_{n+1}</math>. 이를 '''퇴화 사상'''({{llang|en|degeneracy map}})이라고 한다. 이는 <math>i</math>번째 꼭짓점이 <math>i+1</math>번째 꼭짓점과 일치하는 퇴화 특이 단체를 뜻한다.
이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단체 항등식'''(單體恒等式, {{llang|en|simplicial identity}})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면의 면) <math>\partial^i_{n-1}\circ\partial^j_n=\partial^{j-1}_{n-1}\circ\partial^i_n\qquad(0\le i<j\le n)</math>
* (퇴화 단체의 퇴화 단체) <math>s^i_{n+1}\circ s^j_n=s^{j+1}_{n+1}\circ s^i_n\qquad(0\le i\le j\le n)</math>
* (퇴화 단체의 면) <math>\partial^i_{n+1}\circ s^j_n=
\begin{cases}
s^{j-1}_{n-1}\circ\partial^i_n&i<j\\
\operatorname{id}_{\Delta_n}& i=j,j+1\\
s^j_{n-1}\circ\partial^{i-1}_n& i >j+1
\end{cases}\qquad(0\le i\le n+1,\;0\le j\le n)</math>

'''단체 범주''' <math>\triangle</math>는 <math>\triangle^{\operatorname{op}}</math>의 [[반대 범주]]이다.

=== 정의 사이의 관계 ===
이 정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순서론적 정의 !! 대수적 정의 !! 위상수학적 정의
|-
| [[집합의 크기|크기]] <math>n+1</math>의 [[정렬 집합]] <math>(S,\le)</math> || <math>e^{\otimes(n+1)}</math> || <math>n</math>차원 단체 <math>\Delta_n</math>
|-
| [[증가 함수]] <math>f_i^n\colon k\in\{0,\dots,n-1\}\mapsto\begin{cases}
k&k<i\\
k+1&k\ge i\end{cases}</math>
| 모노이드 곱 <math>\overbrace{\operatorname{id}_e \otimes\dotsb\otimes\operatorname{id}_e}^i \otimes \mu \otimes \overbrace{\operatorname{id}_e \otimes \dotsb\otimes\operatorname{id}_e}^{n-i-2}</math>
| 면 사상 <math>\partial_n^i\colon\Delta_n\to\Delta_{n-1}</math>
|-
| [[증가 함수]] <math>g_i^n\colon k\in\{0,\dots,n+1\}\mapsto\begin{cases}
k&k\le i\\
k-1&k>i\end{cases}</math>
| 모노이드 항등원 <math>\overbrace{\operatorname{id}_e \otimes\dotsb\otimes\operatorname{id}_e}^i \otimes \eta \otimes \overbrace{\operatorname{id}_e \otimes \dotsb\otimes\operatorname{id}_e}^{n-i}</math>
| 퇴화 사상 <math>s_n^i\colon\Delta_n\to\Delta_{n+1}</math>의 반대 사상
|}
모든 증가 함수 <math>\{0,1,\dots,n\}\to\{0,1,\dots,k\}</math>는 <math>f_i^n</math> 및 <math>g_i^n</math>와 같은 함수들의 [[함수의 합성|합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 성질 ==
=== 범주론적 성질 ===
<math>\mathcal C</math>가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이며, [[완비 범주]]이자 [[쌍대 완비 범주]]라고 하자. 그렇다면, [[쌍대곱]] 함자
:<math>\mathcal C\times\operatorname{Set}\to\mathcal C</math>
:<math>(X,S)\mapsto X^{\sqcup X}=\coprod_{s\in S}X</math>
가 존재하며, [[자연 동형]]
:<math>\hom_{\mathcal C}(X^{\sqcup S},Y)\cong \hom_{\operatorname{Set}}(S,\hom_{\mathcal C}(X,Y))</math>
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함자
:<math>\operatorname s(\mathcal C)\times\operatorname{sSet}\to\operatorname s(\mathcal C)</math>
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math>\hom_{\operatorname s(\mathcal C)}(X,Y)</math>
는 자연스럽게 [[단체 집합]]을 이룬다. 이에 따라, 단체 대상 범주 <math>\operatorname s(\mathcal C)</math>는 [[단체 집합]]의 [[데카르트 모노이드 범주]] 위의 [[풍성한 범주]]를 이룬다.

==== 첨가 단체 범주 ====
첨가 단체 범주 <math>\triangle_+</math>의 경우, 다음과 같은 [[모노이드 범주]]를 이룬다.
:<math>\{0,1,\dotsc,m-1\} \otimes \{0,1,\dotsc,n-1\} = \{0,1,\dotsc,m+n-1\}</math>
(그 항등원은 <math>\{0\}</math>인데, 이는 <math>\triangle</math>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위와 같이 [[모노이드 범주]]를 이루지 못한다.)

=== 단체 가군 ===
[[아벨 범주]] <math>\mathcal A</math> 속의 단체 대상 <math>M_\bullet</math>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면 사상이
:<math>\partial_{n,i} \colon M_n \to M_{n-1} \qquad (0\le i \le n)</math>
이라고 하면,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math>\partial_n \colon M_n \to M_{n-1}</math>
:<math>\partial_n = \sum_{i=0}^n (-)^i \partial_{n,i}</math>
그렇다면, <math>(M_\bullet,\partial_\bullet)</math>은 [[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math>M_\bullet</math>의 '''호몰로지'''란 이 [[사슬 복합체]]의 [[호몰로지]]를 뜻한다.

(이 정의에서, 퇴화 사상 <math>s_{n,i} \colon M_n \to M_{n+1}</math>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 돌트-칸 대응 ===
<math>\mathcal A</math>가 [[아벨 범주]]라고 하고, 그 속의 단체 대상들의 범주를 <math>\operatorname s(\mathcal A)=[\triangle^{\operatorname{op}},\mathcal A]</math>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 범주는 <math>\mathcal A</math> 위의,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 등급을 갖는 [[사슬 복합체]]들의 범주 <math>\operatorname{Ch}_{\ge0}(\mathcal A)</math>와 [[범주의 동치|동치]]이며, 이는 또한 [[모형 범주]]의 [[퀼런 동치]]를 이룬다. 이를 '''돌트-칸 대응'''(Dold–Kan對應, {{llang|en|Dold–Kan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
:<math>\operatorname s(\mathcal A)\simeq\operatorname{Ch}_{\ge0}(\mathcal A)</math>

== 예 ==
=== 신경 ===
{{본문|신경 (범주론)|신경}}
[[작은 범주]] <math>\mathcal C</math>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표준적인 단체 집합 <math>\operatorname{nerve}\mathcal C</math>가 존재하며, 이를 <math>\mathcal C</math>의 '''[[신경 (범주론)|신경]]'''이라고 한다. 신경은 [[2-범주]]의 함자
:<math>\operatorname{nerve}\colon\operatorname{Cat}\to\operatorname{sSet}</math>
를 정의한다.

=== 쌍대 모노이드 대상 ===
{{본문|모노이드 대상}}
첨가 단체 범주 <math>\triangle_+</math>는 하나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모노이드 범주]]이므로, 다음 세 개념이 서로 [[동치]]이다.
* [[모노이드 범주]] <math>(\mathcal C,\otimes)</math> 속의 [[모노이드 대상]]
* [[함자 (수학)|함자]] <math>\triangle_+ \to \mathcal C</math>
* <math>\mathcal C^{\operatorname{op}}</math> 속의 첨가 단체 대상
특히, 모든 [[모노이드 대상]]은 그 [[반대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을 이룬다.

특히, 만약 <math>\mathcal C=\hom_{\operatorname{Cat}}(\mathcal D,\mathcal D)</math>가 [[자기 함자]]의 범주라고 하자. 그 속의 [[모노이드 대상]]은 [[모나드 (범주론)|모나드]]이며, 이 개념은 [[반대 범주]] <math>\hom_{\operatorname{Cat}}(\mathcal D,\mathcal D)^{\operatorname{op}}</math> 속의 첨가 단체 대상과 [[동치]]이다.

=== 막대 복합체 ===
{{본문|막대 복합체}}
{{본문|호흐실트 호몰로지}}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등장하는 [[막대 복합체]]와 [[호흐실트 사슬 복합체]]는 둘 다 [[가군]] [[범주 (수학)|범주]] 속의 단체 대상을 이룬다.

== 참고 문헌 ==
{{각주}}

== 바깥 고리 ==
* {{eom|title=Simplicial object in a category}}
* {{nlab|id=simplicial object|title=Simplicial object}}
** {{nlab|id=simplicial group|title=Simplicial group}}
*** {{nlab|id=model structure on simplicial groups|title=Model structure on simplicial groups}}
** {{nlab|id=simplicial ring|title=Simplicial ring}}
** {{nlab|id=simplicial Lie algebra|title=Simplicial Lie algebra}}
** {{nlab|id=simplicial object in Cat|title=Simplicial object in Cat}}
** {{nlab|id=simplicial presheaf|title=Simplicial presheaf}}
** {{nlab|id=simplicial topological space|title=Simplicial topological space}}
** {{nlab|id=simplicial manifold|title=Simplicial manifold}}
* {{nlab|id=cosimplicial object|title=Cosimplicial object}}
** {{nlab|id=cosimplicial algebra|title=Cosimplicial algebra}}
* {{nlab|id=simplicial identities|title=Simplicial identities}}
* {{nlab|id=simplex category|title=Simplex category}}
* {{nlab|id=Dold-Kan correspondence}}
* {{nlab|id=monoidal Dold-Kan correspondence|title=Monoidal Dold-Kan correspondence}}
* {{웹 인용|url=http://math.columbia.edu/~dejong/wordpress/?p=3453 | 제목=Simplicial modules | 웹사이트=Stacks Project Blog | 날짜=2013-08-01 | 이름=Johan |성=de Jong | 언어=en}}
* {{웹 인용|url=http://www.math.harvard.edu/~amathew/SCR.pdf | 제목=Simplicial commutative rings Ⅰ | 이름=Akhil | 성=Mathew | 언어=en}}

[[분류:호모토피 이론]]
[[분류:호몰로지 대수학]]
[[분류:범주론]]

2017년 7월 29일 (토) 10:26 판

호모토피 이론에서, 단체 범주(單體範疇, 영어: simplicial category)는 공집합이 아닌 유한 정렬 집합들의 범주이다.[1][2][3][4] 임의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單體對象, 영어: simplicial object)은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를 정의역으로 하는 함자이다. 이는 일종의 위상을 가지는 대상으로 여길 수 있으며, 이 경우, “위상”은 특이 호몰로지에서의 특이 단체들을 사용하여 대수적으로 나타내어진다. 특히, 집합의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은 단체 집합이라고 한다.

정의

단체 범주의 개념은 범주론을 사용하여 매우 간단하게 정의할 수 있으나 이는 매우 추상적이다. 대신 이와 동치인, 더 복잡하지만 더 구체적인 정의를 사용할 수도 있다.

범주 단체 대상(單體對象, 영어: simplicial object)은 단체 범주 위의, 값을 갖는 준층이다. 즉, 함자 이다. 단체 대상의 사상준층의 사상, 즉 함자 사이의 자연 변환이다. 단체 대상의 범주는

로 표기한다.

단체 집합집합의 범주 위의 단체 대상이다. 즉, 에서 집합과 함수의 범주 로 가는 함자이다. 단체 집합들의 범주는 보통 라고 쓴다. 다른 범주 위의 단체 대상 역시 마찬가지로 불린다. 예를 들어, 단체 아벨 군(單體Abel群, 영어: simplicial Abelian group)은 아벨 군의 범주 위 단체 대상이다.

순서론적 정의

모든 정렬 집합증가 함수의 범주 를 생각하자.

첨가 단체 범주(영어: augmented simplex category) 가운데, 유한 집합만으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이다.

단체 범주(영어: augmented simplex category) 가운데, 공집합이 아닌 유한 집합만으로 구성된 충만한 부분 범주이다.

다시 말해, 첨가 단체 범주는 단체 범주에 공집합을 “첨가”한 것이다.

이는 엄밀히 말하면 작은 범주가 아니지만, 같은 순서형정렬 집합은 서로 동형이므로, 는 각각 가산 무한 개의 동형류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의 동형류들은 자연수(유한 순서수)에 대응하며, 의 동형류들은 양의 정수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들과 동치작은 범주들을 취할 수 있다.

대수적 정의

첨가 단체 범주 는 하나의 모노이드 대상 로 생성되는 자유 모노이드 범주 이다. 즉, 의 대상은

의 꼴이며, 사상들은 의 모노이드 연산

가 된다.

첨가 단체 범주 에서, 시작 대상 및 이를 정의역 또는 공역으로 갖는 모든 사상들을 삭제한 충만한 부분 범주단체 범주 라고 한다.

위상수학적 정의

단체 범주의 반대 범주 는 다음과 같은 작은 범주이다.

  • 의 대상들은 각 자연수 에 대하여 이다. 이를 차원 단체(영어: -simplex)라고 한다.

이 범주의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사상들의 (유한 개의) 합성으로 주어진다.

  • 각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사상 . 이를 면 사상(영어: face morphism)이라고 하며, 이는 개의 면을 갖는 차원 단체의 번째 면을 뜻한다.
  • 각 자연수 에 대하여, 사상 . 이를 퇴화 사상(영어: degeneracy map)이라고 한다. 이는 번째 꼭짓점이 번째 꼭짓점과 일치하는 퇴화 특이 단체를 뜻한다.

이 사상들은 다음과 같은 단체 항등식(單體恒等式, 영어: simplicial identity)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면의 면)
  • (퇴화 단체의 퇴화 단체)
  • (퇴화 단체의 면)

단체 범주 반대 범주이다.

정의 사이의 관계

이 정의 사이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순서론적 정의 대수적 정의 위상수학적 정의
크기 정렬 집합 차원 단체
증가 함수 모노이드 곱 면 사상
증가 함수 모노이드 항등원 퇴화 사상 의 반대 사상

모든 증가 함수 와 같은 함수들의 합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성질

범주론적 성질

국소적으로 작은 범주이며, 완비 범주이자 쌍대 완비 범주라고 하자. 그렇다면, 쌍대곱 함자

가 존재하며, 자연 동형

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함자

가 존재하며, 이에 따라

는 자연스럽게 단체 집합을 이룬다. 이에 따라, 단체 대상 범주 단체 집합데카르트 모노이드 범주 위의 풍성한 범주를 이룬다.

첨가 단체 범주

첨가 단체 범주 의 경우, 다음과 같은 모노이드 범주를 이룬다.

(그 항등원은 인데, 이는 에 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는 위와 같이 모노이드 범주를 이루지 못한다.)

단체 가군

아벨 범주 속의 단체 대상 을 생각하자. 그렇다면, 면 사상이

이라고 하면, 다음을 정의할 수 있다.

그렇다면, 사슬 복합체를 이룬다. 호몰로지란 이 사슬 복합체호몰로지를 뜻한다.

(이 정의에서, 퇴화 사상 들은 사용되지 않는다.)

돌트-칸 대응

아벨 범주라고 하고, 그 속의 단체 대상들의 범주를 라고 하자. 그렇다면, 이 범주는 위의, 자연수 (음이 아닌 정수) 등급을 갖는 사슬 복합체들의 범주 동치이며, 이는 또한 모형 범주퀼런 동치를 이룬다. 이를 돌트-칸 대응(Dold–Kan對應, 영어: Dold–Kan correspondence)이라고 한다.

신경

작은 범주 가 주어졌을 때, 이에 대응하는 표준적인 단체 집합 가 존재하며, 이를 신경이라고 한다. 신경은 2-범주의 함자

를 정의한다.

쌍대 모노이드 대상

첨가 단체 범주 는 하나의 원소로 생성되는 자유 모노이드 범주이므로, 다음 세 개념이 서로 동치이다.

  • 모노이드 범주 속의 모노이드 대상
  • 함자
  • 속의 첨가 단체 대상

특히, 모든 모노이드 대상은 그 반대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을 이룬다.

특히, 만약 자기 함자의 범주라고 하자. 그 속의 모노이드 대상모나드이며, 이 개념은 반대 범주 속의 첨가 단체 대상과 동치이다.

막대 복합체

호몰로지 대수학에서 등장하는 막대 복합체호흐실트 사슬 복합체는 둘 다 가군 범주 속의 단체 대상을 이룬다.

참고 문헌

  1. Goerss, Paul G.; Jardine, John Frederick (1999). 《Simplicial homotopy theory》. Progress in Mathematics (영어) 174. Birkhäuser. ISBN 978-3-7643-6064-1. 
  2. Gelfand, Sergei I.; Manin, Yuri I. 《Methods of homological algebra》.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 doi:10.1007/978-3-662-12492-5. 
  3. Curtis, Edward B. (1971년 4월). “Simplicial homotopy theory”. 《Advances in Mathematics》 (영어) 6 (2): 107–209. doi:10.1016/0001-8708(71)90015-6. MR 279808. 
  4. Friedman, Greg (2012). “An elementary illustrated introduction to simplicial sets”. 《Rocky Mountain Journal of Mathematics》 (영어) 42 (2): 353–423. arXiv:0809.4221. Bibcode:2008arXiv0809.4221F. doi:10.1216/RMJ-2012-42-2-353. ISSN 0035-7596. MR 2915498. Zbl 06035442.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