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량 사상: 두 판 사이의 차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4번째 줄: 24번째 줄:


== 초켈러 몫공간 ==
== 초켈러 몫공간 ==
[[초켈러 다양체]]의 경우에도 몫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 초켈러 다양체 <math>M</math>은 세 개의 [[선형독립]] 심플렉틱 구조 <math>\omega_I</math> (<math>I=1,2,3</math>)을 가진다. [[군의 작용]] <math>G\times M\to M</math>이 세 개의 심플렉틱 구조를 모두 보존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세 개의 서로 다른 운동량 사상 <math>\mu_I\colon M\to\mathfrak g^*</math>이 존재한다. 이들을 합쳐서
[[초켈러 다양체]]의 경우에도 몫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ref>{{저널 인용|이름=Nigel J.|성=Hitchin|저자고리=나이절 히친|공저자=A. Karlhede, U. Lindström, M. Roček|제목=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 | url=http://projecteuclid.org/getRecord?id=euclid.cmp/1104116624 | mr = 877637 | zbl = 0612.53043 | 날짜=1987-12 | 저널=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 issn=0010-3616 | 권=108 | 호=4 | 쪽=535–589|bibcode=1987CMaPh.108..535H|doi=10.1007/BF01214418|언어고리=en}}</ref> 초켈러 다양체 <math>M</math>은 세 개의 [[선형독립]] 심플렉틱 구조 <math>\omega_I</math> (<math>I=1,2,3</math>)을 가진다. [[군의 작용]] <math>G\times M\to M</math>이 세 개의 심플렉틱 구조를 모두 보존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세 개의 서로 다른 운동량 사상 <math>\mu_I\colon M\to\mathfrak g^*</math>이 존재한다. 이들을 합쳐서
:<math>\mu\colon M\to\mathfrak g^*\times\mathbb R^3</math>
:<math>\mu\colon M\to\mathfrak g^*\times\mathbb R^3</math>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36번째 줄: 36번째 줄: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주석}}
* {{책 인용|제목=Momentum Maps and Hamiltonian Reduction|doi=10.1007/978-1-4757-3811-7|isbn=978-0-8176-4307-2|성=Ortega|이름=Juan-Pablo|공저자=Tudor S. Ratiu|기타=Progress in Mathematics 22|출판사=Birkhäuser|날짜=2004|언어고리=en}}
* {{책 인용|제목=Momentum Maps and Hamiltonian Reduction|doi=10.1007/978-1-4757-3811-7|isbn=978-0-8176-4307-2|성=Ortega|이름=Juan-Pablo|공저자=Tudor S. Ratiu|기타=Progress in Mathematics 22|출판사=Birkhäuser|날짜=2004|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Reduction of symplectic manifolds with symmetry|이름=Jerrold|성=Marsden|공저자=Alan Weinstein|저널=Reports on Mathematical Physics|권=5|호=1|날짜=1974-02|쪽=121–130|doi=10.1016/0034-4877(74)90021-4|issn=0034-4877|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Reduction of symplectic manifolds with symmetry|이름=Jerrold|성=Marsden|공저자=Alan Weinstein|저널=Reports on Mathematical Physics|권=5|호=1|날짜=1974-02|쪽=121–130|doi=10.1016/0034-4877(74)90021-4|issn=0034-4877|언어고리=en}}
* {{책 인용|제목=Kähler and Symplectic Manifolds: Quotient Constructions|이름=Ana|성=Rovi|기타=석사 학위 논문|출판사=University of Oxford|날짜=2011-08-31|url=http://www.maths.gla.ac.uk/~arovi/images/ThesisOxford.pdf|언어고리=en}}
* {{책 인용|제목=Kähler and symplectic manifolds: quotient constructions|이름=Ana|성=Rovi|기타=석사 학위 논문|출판사=University of Oxford|날짜=2011-08-31|url=http://www.maths.gla.ac.uk/~arovi/images/ThesisOxford.pdf|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Symmetry reduction in symplectic and Poisson geometry|이름=Juan-Pablo|성=Ortega|공저자=Tudor S. Ratiu|저널=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권=69|호=1|쪽=11–60|날짜=2004-07|doi=10.1007/s11005-004-0898-x|issn=0377-9017|언어고리=en}}
* {{저널 인용|제목=Symmetry reduction in symplectic and Poisson geometry|이름=Juan-Pablo|성=Ortega|공저자=Tudor S. Ratiu|저널=Letters in Mathematical Physics|권=69|호=1|쪽=11–60|날짜=2004-07|doi=10.1007/s11005-004-0898-x|issn=0377-9017|언어고리=en}}



2013년 10월 10일 (목) 07:29 판

심플렉틱 기하학에서, 운동량 사상(運動量寫像, 영어: momentum map 모멘텀 맵[*], 영어: moment map 모먼트 맵[*])은 심플렉틱 다양체 위의 군의 작용을 생성하는 해밀토니언이다. 해밀턴 역학에서의 운동량각운동량을 일반화한 것이다.

정의

심플렉틱 다양체라고 하고, 리 군이라고 하고, 그 리 대수라고 하자. 군 표현 가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는 심플렉틱 자기동형사상(심플렉틱 형식 를 보존하는 미분자기동형사상 )들의 군이다.

리 대수의 원소 에 대하여, 위에는 작용의 무한소 생성원인 다음과 같은 벡터장 가 존재한다.

작용 운동량 사상 는 임의의 에 대하여 다음을 만족시키는 함수다.

이를 지표 표기법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접다발 의 지표이고, 는 리 대수 의 지표다.

심플렉틱 몫공간

콤팩트 리 군일 경우, 부분공간 의 작용에 대하여 불변이다. 이 경우 의 심플렉틱 구조를 물려받는다. 즉, 몫공간 심플렉틱 다양체를 이룬다. 이를 심플렉틱 몫공간(영어: symplectic quotient) 또는 마스덴-와인스타인 몫공간(영어: Marsden-Weinstein quotient)이라고 하며, 라고 쓴다. 이 경우

이다.

켈러 몫공간

켈러 다양체심플렉틱 구조복소 구조를 갖춘다. 켈러 다양체 위에 콤팩트 리 군 가 작용하고, 이 작용이 심플렉틱 구조 및 복소 구조 를 보존한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해당하는 운동량 사상 이 존재하며,

켈러 다양체이다.

초켈러 몫공간

초켈러 다양체의 경우에도 몫공간을 정의할 수 있다.[1] 초켈러 다양체 은 세 개의 선형독립 심플렉틱 구조 ()을 가진다. 군의 작용 이 세 개의 심플렉틱 구조를 모두 보존시킨다고 하자. 그렇다면 이에 대한 세 개의 서로 다른 운동량 사상 이 존재한다. 이들을 합쳐서

을 정의하자. 그렇다면

는 초켈러 다양체를 이룬다. 그 차원은

이다.

가 1차원 아벨 리 군 이라고 하자. 그렇다면 해밀턴 벡터장(영어: Hamiltonian vector field) 를 생성시키는 해밀토니언이다.

참고 문헌

  1. Hitchin, Nigel J.; A. Karlhede, U. Lindström, M. Roček (1987년 12월). “Hyper-Kähler metrics and supersymmetry”. 《Communications in Mathematical Physics》 108 (4): 535–589. Bibcode:1987CMaPh.108..535H. doi:10.1007/BF01214418. ISSN 0010-3616. MR 877637. Zbl 0612.53043.